기재부, 향후 5년 투자방향·예산규모 결정 '중기예산심의' 시작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올해부터 2020년까지 중점 예산의 투자 방향과 예산 규모를 정하는 심의가 시작된다.
28일 기획재정부 예산실은 2016년부터 2020년까지의 국가 재정운용 계획을 결정하는 중기예산 심의를 오는 4월까지 진행한다고 밝혔다.
예산안 국회 제출기한이 작년보다 10일 단축되면서 올해 중기예산 심의 일정도 작년보다 10여 일 당겨졌다.
예산실은 중기예산 심의에 앞서 2월 한 달간 찾아가는 예산 설명회를 18차례 개최하고 8회에 걸친 전문가 간담회를 여는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의견을 수렴한 것으로 알려졌다.
예산실장과 국·과장들은 정부 부처를 방문해 각 부처의 얘기를 듣고 복지·일자리·산업 등 각 분야 전문가들로부터 재정운용방향에 대한 의견을 받았다.
지난주까지는 사회간접자본(SOC), 일자리 등 15개 분야에 대한 국가재정운용계획 작업반을 구성해 분야별 회의를 진행했다.
기재부가 중기예산심의 결과를 바탕으로 4월 말에 각 부처에 지출한도를 통보하면 각 부처는 이를 바탕으로 5월 말까지 기재부에 예산을 요구하게 된다.
확정된 중기예산심의 결과는 9월 2일 국회에 제출되는 2017년 예산안과 함께 2016∼2020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반영된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28일 기획재정부 예산실은 2016년부터 2020년까지의 국가 재정운용 계획을 결정하는 중기예산 심의를 오는 4월까지 진행한다고 밝혔다.
예산안 국회 제출기한이 작년보다 10일 단축되면서 올해 중기예산 심의 일정도 작년보다 10여 일 당겨졌다.
예산실은 중기예산 심의에 앞서 2월 한 달간 찾아가는 예산 설명회를 18차례 개최하고 8회에 걸친 전문가 간담회를 여는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의견을 수렴한 것으로 알려졌다.
예산실장과 국·과장들은 정부 부처를 방문해 각 부처의 얘기를 듣고 복지·일자리·산업 등 각 분야 전문가들로부터 재정운용방향에 대한 의견을 받았다.
지난주까지는 사회간접자본(SOC), 일자리 등 15개 분야에 대한 국가재정운용계획 작업반을 구성해 분야별 회의를 진행했다.
기재부가 중기예산심의 결과를 바탕으로 4월 말에 각 부처에 지출한도를 통보하면 각 부처는 이를 바탕으로 5월 말까지 기재부에 예산을 요구하게 된다.
확정된 중기예산심의 결과는 9월 2일 국회에 제출되는 2017년 예산안과 함께 2016∼2020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반영된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