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 제약사들 성장세 무섭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휴온스·대원제약
매출 2000억 돌파
매출 2000억 돌파
중견 제약사인 휴온스와 대원제약이 지난해 나란히 매출 2000억원을 돌파했다. 제약업계에서 매출 2000억원은 중견 제약사가 대형 제약사로 발돋움하는 문턱으로 보기 때문에 이들의 성장세가 눈길을 끈다.
휴온스(대표 윤성태)는 중견 제약사 중 가장 빠른 성장 속도를 보이고 있다. 이 회사는 지난해 매츨 2450억원을 기록해 처음으로 2000억원을 넘어섰다. 영업이익이 513억원에 달했다. 매출은 34%, 이익은 70% 급증했다. 2011년 처음 1000억원대 매출을 기록한 이후 4년 만에 2000억원대에 올라선 것이다.
전문의약품에 집중하는 기존 업체와 달리 필러, 인공점안제 등 웰빙의약품은 물론 수탁생산도 하는 등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갖추고 있는 게 강점이다. 한 박자 빠른 투자로 충북 제천에 최첨단 의약품 생산공장을 갖춘 덕분에 위탁생산 의약품도 지난해 43% 늘었다. 휴온스의 자회사인 휴메딕스는 필러를 전문으로 생산하고 있다. 생산과 판매를 수직계열화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봤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필러 관련 매출은 지난해 162%나 뛰었다. 올해 안에 중국에 합작으로 설립한 인공점안제 공장이 본격적으로 가동될 예정이어서 높은 성장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중견 전문의약품업체 중에서는 개량신약 강자로 떠오른 대원제약(대표 백승호·백승열)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이 회사는 2012년 이후 매년 20% 안팎의 매출 증가율을 보이며 전문의약품 시장에서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2012년 1382억원이었던 매출은 지난해 2167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영업이익은 23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은 18.8%, 영업이익은 29.6% 증가한 것. 다양한 개량신약이 효자 노릇을 하고 있다.
위염치료제(오티렌)를 비롯 혈압치료제(리피원) 소염진통제(펠루비) 등 내놓은 개량신약마다 연 100억원대 매출을 달성하는 대형 품목으로 성장하고 있다. 수출 국가도 지난해 45개국으로 늘어나는 등 공급처도 다변화하고 있다. 이존아단 HMC증권 연구원은 “올해도 개량신약과 복합제 등 11개 신제품이 출시되는 만큼 10% 이상의 성장률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업계는 지난해 1조원 클럽에 가입한 상위 제약사뿐 아니라 중견 제약사의 가파른 성장세도 제약업계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형호 기자 chsan@hankyung.com
휴온스(대표 윤성태)는 중견 제약사 중 가장 빠른 성장 속도를 보이고 있다. 이 회사는 지난해 매츨 2450억원을 기록해 처음으로 2000억원을 넘어섰다. 영업이익이 513억원에 달했다. 매출은 34%, 이익은 70% 급증했다. 2011년 처음 1000억원대 매출을 기록한 이후 4년 만에 2000억원대에 올라선 것이다.
전문의약품에 집중하는 기존 업체와 달리 필러, 인공점안제 등 웰빙의약품은 물론 수탁생산도 하는 등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갖추고 있는 게 강점이다. 한 박자 빠른 투자로 충북 제천에 최첨단 의약품 생산공장을 갖춘 덕분에 위탁생산 의약품도 지난해 43% 늘었다. 휴온스의 자회사인 휴메딕스는 필러를 전문으로 생산하고 있다. 생산과 판매를 수직계열화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봤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필러 관련 매출은 지난해 162%나 뛰었다. 올해 안에 중국에 합작으로 설립한 인공점안제 공장이 본격적으로 가동될 예정이어서 높은 성장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중견 전문의약품업체 중에서는 개량신약 강자로 떠오른 대원제약(대표 백승호·백승열)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이 회사는 2012년 이후 매년 20% 안팎의 매출 증가율을 보이며 전문의약품 시장에서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2012년 1382억원이었던 매출은 지난해 2167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영업이익은 23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은 18.8%, 영업이익은 29.6% 증가한 것. 다양한 개량신약이 효자 노릇을 하고 있다.
위염치료제(오티렌)를 비롯 혈압치료제(리피원) 소염진통제(펠루비) 등 내놓은 개량신약마다 연 100억원대 매출을 달성하는 대형 품목으로 성장하고 있다. 수출 국가도 지난해 45개국으로 늘어나는 등 공급처도 다변화하고 있다. 이존아단 HMC증권 연구원은 “올해도 개량신약과 복합제 등 11개 신제품이 출시되는 만큼 10% 이상의 성장률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업계는 지난해 1조원 클럽에 가입한 상위 제약사뿐 아니라 중견 제약사의 가파른 성장세도 제약업계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형호 기자 chs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