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의 배당수익률(주당 배당금/주가)이 사상 처음으로 10년 만기 국채 금리를 넘어섰다고 한국경제신문이 보도했다.저성장 장기화로 시장금리는 낮아지고, 투자처를 찾지 못한 기업들은 배당을 늘리면서 배당수익률과 국채 금리의 역전 현상이 일어난 것이다.◆ 한국전력, 지난해 배당 6배 늘려금융정보 제공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중 2015 회계연도 배당금을 결정한 357곳의 배당수익률(지난 26일 기준)은 1.76%로 나타났다.배당수익률은 주당 배당금을 현재 주가로 나눈 값으로, 투자금에 대해 배당을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2013년(1.18%)과 2014년(1.2%) 1%대 초반 수준이던 배당수익률은 지난해부터 크게 늘었다.전체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중 배당수익률 상승폭이 가장 큰 곳은 골프존유원홀딩스였다.골프존유원홀딩스의 지난해 배당수익률은 8.11%로 전년(1.98%)보다 6.13%포인트 올랐다.현대차(2.01%)는 처음으로 2%를 넘어섰고, 한국전력은 2014년 배당액(3,210억원)의 6배가 넘는 1조9천억원 수준의 배당을 계획하고 있다.반면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지난 26일 기준 1.778%로 전날보다 0.024%포인트 하락했다.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 5.691%에서 2011년 3%대(3.784%)에 진입한 뒤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중국 경기 둔화와 일본의 마이너스 금리정책 도입, 국내 경제지표 부진 등 대내외 악재가 이어지면서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올해 들어서만 0.0298%포인트 떨어졌다.시장금리는 내리고, 배당수익률은 오르면서 두 지표는 11일 각각 1.766%와 1.88%로 0.1%포인트 이상 벌어지기도 했다.◆ `저성장` 일본 경제구조 닮아전문가들은 배당수익률과 국채 금리의 역전 현상을 저성장의 늪에 빠진 일본형 경제 구조를 닮아가는 신호로 보고 있다.일본은 배당수익률이 10년물 국채 금리를 앞선 2007년 이후 그 격차가 좁혀지지 않고 있다.지난달 마이너스 금리정책 도입으로 일본의 10년물 국채 금리는 -0.22%까지 떨어졌다.독일은 배당수익률(3.36%)과 10년 만기 국채 금리(0.137%)의 격차가 3%포인트 이상 벌어졌다.저성장 국면이 이어지면서 기업들이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점도 배당수익률 상승에 일조했다.박현준 한국투자신탁운용 코어운용본부장은 "`오늘을 위한 배당` 대신 `내일을 위한 투자`가 바람직한 것은 알고 있지만 경기 불확실성으로 선뜻 투자에 나서는 기업이 많지 않다"며 "사내유보금이 쌓이면 주주의 배당 요구도 높아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여기에 정부가 올해부터 3년 동안 적용하기로한 `기업소득환류세제(기업 이익 중 배당과 투자·임금 증가분을 제한 유보금에 대해 과세)`도 영향을 미쳤다는 설명이다.배당수익률 상승으로 자산운용과 재테크 시장에도 변화가 예상된다.이경수 메리츠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지수가 박스권에 계속 머물러 있으면 수익을 안정적으로 올릴 수 있는 배당주의 매력이 높아진다"며 "배당금을 안정적으로 지급하는 회사를 중심으로 선별 투자에 나서볼 만하다"고 조언했다.[온라인뉴스팀]한국경제TV 핫뉴스ㆍ‘복면가왕 번개맨’ 밀젠코 마티예비치 “큰 호응 감사합니다”ㆍ김포공항서 경비행기 추락, 이륙직후 활주로 곤두박질…2명 사망ㆍ손태영 아들 바보 인증? 애교 많은 룩희 엄마에게 “사랑해”ㆍ한진해운 등 한계기업, 조기 채무상환 부담 가중…자구책 `고심`ㆍ[날씨] 서울 4.6cm 함박눈 ‘펑펑’…29일 출근길 빙판에 칼바람ⓒ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