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10곳 중 8곳 "작년보다 올해 환변동 리스크 더 크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내 중소기업 10곳 중 8곳은 올해 환율변동성이 작년보다 확대될 것으로 예상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기업은행 산하 IBK경제연구소는 지난달 수출입 중소기업 170곳을 대상으로 ‘환율이슈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3일 내놨다.
이 조사에 다르면 국내 중소기업 81%는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있었던 작년보다 올해 환율 변동성이 더 클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조사 대상기업의 87%는 은행 거래 때 환리스크 관리에 관한 설명을 듣거나 권유를 받았지만, 환리스크를 제대로 하고 있다는 기업은 44%에 그쳤다.
기업 내 환리스크 관리를 누가 하느냐는 설문에는 ‘최고경영자(CEO)’(38%), ‘환리스크 실무자’(31%), ‘최고재무책임자(CFO)’(29%) 등으로 나타났다. 환리스크 관리 방법으로는 ‘선물환 상품 가입’(59%)이 가장 많았다. 이어 ‘계약시 대금결제일 조정’(17%), ‘환전시점 조정 등 방법’(11%), ‘무역보험공사의 환변동보험 상품 가입’(9%), ‘원화결제 유도 등 결제통화 다변화’(4%) 등의 순이었다.
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
기업은행 산하 IBK경제연구소는 지난달 수출입 중소기업 170곳을 대상으로 ‘환율이슈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3일 내놨다.
이 조사에 다르면 국내 중소기업 81%는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있었던 작년보다 올해 환율 변동성이 더 클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조사 대상기업의 87%는 은행 거래 때 환리스크 관리에 관한 설명을 듣거나 권유를 받았지만, 환리스크를 제대로 하고 있다는 기업은 44%에 그쳤다.
기업 내 환리스크 관리를 누가 하느냐는 설문에는 ‘최고경영자(CEO)’(38%), ‘환리스크 실무자’(31%), ‘최고재무책임자(CFO)’(29%) 등으로 나타났다. 환리스크 관리 방법으로는 ‘선물환 상품 가입’(59%)이 가장 많았다. 이어 ‘계약시 대금결제일 조정’(17%), ‘환전시점 조정 등 방법’(11%), ‘무역보험공사의 환변동보험 상품 가입’(9%), ‘원화결제 유도 등 결제통화 다변화’(4%) 등의 순이었다.
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