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공인 1호 한경 TESAT] 총수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3월 테샛, 홈페이지(www.tesat.or.kr)서 접수 중
[문제] 총수요 부족으로 경기 침체를 겪고 있는 어떤 나라 정부가 재정정책의 일환으로 정부구매를 2000억원 늘린다고 하자. 투자지출은 고정돼 있고 한계소비성향은 3/4일 경우 총수요는 얼마나 증가 또는 감소하겠는가?
(1) 4000억원 증가
(2) 6000억원 감소
(3) 8000억원 증가
(4) 1조원 감소
(5) 정답 없음
[해설] 정부 재정정책이 총수요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문제다. 정부지출을 늘리면 승수효과가 발생한다. 승수효과는 지출의 증가가 총수요를 몇 배나 더 큰 폭으로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는데, 1/(1-한계소비성향)만큼 총수요가 증가한다. 정부지출 1원이 늘어났을 때 총수요가 늘어나는 배수를 나타내는 1/(1-한계소비성향)을 정부지출 승수라고 한다. 문제에서 한계소비성향이 3/4이므로 정부지출 승수는 1/(1-0.75)=4가 된다. 즉 정부지출이 2000억원 증가하면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8000억원 늘어나는 것이다. 한계소비성향이 클수록 총수요 증가폭은 커진다. 따라서 재정지출을 통한 경제 부양 효과가 커진다.
정답 (3)
(1) 4000억원 증가
(2) 6000억원 감소
(3) 8000억원 증가
(4) 1조원 감소
(5) 정답 없음
[해설] 정부 재정정책이 총수요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문제다. 정부지출을 늘리면 승수효과가 발생한다. 승수효과는 지출의 증가가 총수요를 몇 배나 더 큰 폭으로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는데, 1/(1-한계소비성향)만큼 총수요가 증가한다. 정부지출 1원이 늘어났을 때 총수요가 늘어나는 배수를 나타내는 1/(1-한계소비성향)을 정부지출 승수라고 한다. 문제에서 한계소비성향이 3/4이므로 정부지출 승수는 1/(1-0.75)=4가 된다. 즉 정부지출이 2000억원 증가하면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8000억원 늘어나는 것이다. 한계소비성향이 클수록 총수요 증가폭은 커진다. 따라서 재정지출을 통한 경제 부양 효과가 커진다.
정답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