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조 들인 경제특구, 외국인 투자 7조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규제 놔둔 채 개발 치중
투자유치 20년 제자리
기업 해외투자는 7배로 늘어
투자유치 20년 제자리
기업 해외투자는 7배로 늘어
한국에서 공장을 짓거나 기업을 사들이는 외국인 직접투자(FDI)가 20년 가까이 정체된 것으로 나타났다. 근본적 구조 개혁이나 규제 철폐를 제대로 하지 못한 채 경제자유구역과 같은 대규모 특구 개발에만 열을 올린 결과라는 지적이 나온다.
3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박근혜 정부의 지난 3년간(2013~2015년) FDI 실적은 544억달러(신고액 기준)로 집계됐다. 이 실적은 외환위기 직후 외국 기업에 국내 시장을 본격 개방한 1990년대 말 수준이란 분석이다. 김대중 정부 초반 3년(1998~2000년)의 FDI 실적(396억달러)보다 37% 증가하긴 했지만 커진 경제 규모를 고려하면 제자리걸음을 한 셈이다.
반면 국내 기업의 해외 직접투자는 가파르게 늘고 있다. 1998년 58억2000만달러였던 해외 직접투자액은 지난해 402억3000만달러로 7배 가까이로 증가했다. 최근 3년간 한국을 빠져나간 해외 직접투자는 1108억달러로 FDI(544억달러)의 두 배를 넘었다.
정부는 1998년 외국인투자지역을 시작으로 외국인 투자 유치를 위한 경제특구 개발에 주력했지만 실효성 논란에 직면해 있다. 2003년부터 개발 중인 인천, 새만금 등 8개 경제자유구역에 지난해까지 총사업비 126조원 중 42조원(정부·민간 투자 합계)을 쏟아부었지만 유치한 FDI 금액은 7조원 수준(2003~2015년, 도착 기준)에 그쳤다. 외국 기업 유치를 위한 경제특구는 경제자유구역(8곳)뿐 아니라 자유무역지역(13곳) 외국인투자지역(98곳) 등 우후죽순처럼 생겨났지만 성과는 미미하다는 지적이다.
김주훈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정보센터소장은 “일자리를 늘리는 외국인 직접투자를 많이 유치하려면 경제특구와 같은 하드웨어를 구축하기보다 노동시장이나 서비스 부문의 핵심 규제를 철폐하는 등 소프트웨어 개혁을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조진형/이승우 기자 u2@hankyung.com
3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박근혜 정부의 지난 3년간(2013~2015년) FDI 실적은 544억달러(신고액 기준)로 집계됐다. 이 실적은 외환위기 직후 외국 기업에 국내 시장을 본격 개방한 1990년대 말 수준이란 분석이다. 김대중 정부 초반 3년(1998~2000년)의 FDI 실적(396억달러)보다 37% 증가하긴 했지만 커진 경제 규모를 고려하면 제자리걸음을 한 셈이다.
반면 국내 기업의 해외 직접투자는 가파르게 늘고 있다. 1998년 58억2000만달러였던 해외 직접투자액은 지난해 402억3000만달러로 7배 가까이로 증가했다. 최근 3년간 한국을 빠져나간 해외 직접투자는 1108억달러로 FDI(544억달러)의 두 배를 넘었다.
정부는 1998년 외국인투자지역을 시작으로 외국인 투자 유치를 위한 경제특구 개발에 주력했지만 실효성 논란에 직면해 있다. 2003년부터 개발 중인 인천, 새만금 등 8개 경제자유구역에 지난해까지 총사업비 126조원 중 42조원(정부·민간 투자 합계)을 쏟아부었지만 유치한 FDI 금액은 7조원 수준(2003~2015년, 도착 기준)에 그쳤다. 외국 기업 유치를 위한 경제특구는 경제자유구역(8곳)뿐 아니라 자유무역지역(13곳) 외국인투자지역(98곳) 등 우후죽순처럼 생겨났지만 성과는 미미하다는 지적이다.
김주훈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정보센터소장은 “일자리를 늘리는 외국인 직접투자를 많이 유치하려면 경제특구와 같은 하드웨어를 구축하기보다 노동시장이나 서비스 부문의 핵심 규제를 철폐하는 등 소프트웨어 개혁을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조진형/이승우 기자 u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