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동제약, 파킨슨병 치료제 개발 추진(상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일동제약은 최근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 벤처회사인 셀리버리와 세포투과성 파킨슨병 치료제(iCP-Parkin)의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iCP-Parkin은 셀리버리의 원천기술인 '거대분자 세포 내 전송기술'(MITT)을 접목시킨 새로운
작용기전(First-In-Class)의 파킨슨병 치료제 후보물질이다. MITT 기술은 단백질 소재 바이오신약 또는 바이오베터 개발을 위한 신개념의 약물전달시스템(DDS)이다. 약리효과를 갖는 단백질을 생체 깊숙한 곳까지 전송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뇌 혈뇌장벽(BBB)을 직접 투과해 뇌신경세포에까지 거대분자의 전송을 가능케 하는 신기술이란 설명이다.
파킨슨병은 떨림 자세불균형 강직 등 운동성이 점차 상실되는 증상을 동반한다. 병이 진행되면 인지기능의 손상까지 나타나며 결국 사망에 이르는 난치성 퇴행성 뇌질환이다. iCP-Parkin은 파킨슨병의 근본 원인인 도파민 생성 뇌신경세포의 손상을 막고 정상화시킴으로써 파킨슨질환 발병시 나타나는 치명적 증상을 치료하는 바이오신약이다.
지금까지의 연구결과 파킨슨병 모사 동물모델에서 운동능력을 상실한 동물의 운동성을 80%까지 회복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
파킨슨병 치료제 시장은 세계적으로 약 20조원에 이르며, 국내 시장도 약 1000억원을 웃도는 규모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약물은 대부분 증상완화제며, 근본적인 치료제가 없는 상황이다. 또 기존 의약품은 대부분 화학약품으로서 효과에 비해 가격이 비싸고 부작용이 심하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65세 이상 노인 10만명 중 파킨슨 환자는 국내 약 2000~3000명이며, 외국의 경우 60세 이상 노인 10만명당 1000~2000명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단백질 소재 iCP-Parkin의 개발에 성공하면 현재 특별한 치료제가 없는 파킨슨병 시장에서 대형 바이오신약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민수 한경닷컴 기자 hms@hankyung.com
iCP-Parkin은 셀리버리의 원천기술인 '거대분자 세포 내 전송기술'(MITT)을 접목시킨 새로운
작용기전(First-In-Class)의 파킨슨병 치료제 후보물질이다. MITT 기술은 단백질 소재 바이오신약 또는 바이오베터 개발을 위한 신개념의 약물전달시스템(DDS)이다. 약리효과를 갖는 단백질을 생체 깊숙한 곳까지 전송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뇌 혈뇌장벽(BBB)을 직접 투과해 뇌신경세포에까지 거대분자의 전송을 가능케 하는 신기술이란 설명이다.
파킨슨병은 떨림 자세불균형 강직 등 운동성이 점차 상실되는 증상을 동반한다. 병이 진행되면 인지기능의 손상까지 나타나며 결국 사망에 이르는 난치성 퇴행성 뇌질환이다. iCP-Parkin은 파킨슨병의 근본 원인인 도파민 생성 뇌신경세포의 손상을 막고 정상화시킴으로써 파킨슨질환 발병시 나타나는 치명적 증상을 치료하는 바이오신약이다.
지금까지의 연구결과 파킨슨병 모사 동물모델에서 운동능력을 상실한 동물의 운동성을 80%까지 회복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
파킨슨병 치료제 시장은 세계적으로 약 20조원에 이르며, 국내 시장도 약 1000억원을 웃도는 규모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약물은 대부분 증상완화제며, 근본적인 치료제가 없는 상황이다. 또 기존 의약품은 대부분 화학약품으로서 효과에 비해 가격이 비싸고 부작용이 심하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65세 이상 노인 10만명 중 파킨슨 환자는 국내 약 2000~3000명이며, 외국의 경우 60세 이상 노인 10만명당 1000~2000명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단백질 소재 iCP-Parkin의 개발에 성공하면 현재 특별한 치료제가 없는 파킨슨병 시장에서 대형 바이오신약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민수 한경닷컴 기자 hm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