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충희 초대 회장 "30~40년 연구 경험 살려 청소년·중기 도울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시니어과학기술인협회 출범
저출산·고령화…고급 두뇌 부족
50~60대 은퇴자에도 문호 개방
저출산·고령화…고급 두뇌 부족
50~60대 은퇴자에도 문호 개방
“2020년대가 되면 저출산, 고령화로 일반 인력뿐 아니라 고급 두뇌 인력도 부족해질 것입니다. 은퇴한 과학기술자들의 전문 지식과 경험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9일 출범한 한국시니어과학기술인협회(KASSE) 초대 회장을 맡은 이충희 전 한국표준과학연구원장(81·사진)은 “인구 절벽 시대를 맞아 성장동력을 잃지 않기 위해 은퇴한 과학기술인의 적극적인 활동이 필요하다”며 이렇게 말했다. KASSE는 은퇴한 전직 관료와 전 정부출연연구소 연구원, 대학교수 등을 주축으로 과학기술계 원로 90명이 뜻을 모아 구성한 단체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운영하는 고경력과학기술인(ReSEAT)프로그램발전협의회를 모태로 하고 있다. 협회 창립에는 김우식 전 과학기술부 장관과 조완규 전 교육부 장관, 신성철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DGIST 총장), 김승환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장 등이 참여했다.
이 회장은 “주변의 은퇴 과학자들을 보면 수학과 물리, 화학, 바이오 등 각 분야에서 30~40년씩 연구해온 지식과 경력을 집에서 썩히고 있다”며 “과학기술인이 충분히 활동할 수 있는데도 은퇴 후 별다른 연구활동을 하지 못하고 있어 안타깝다”고 지적했다.
협회는 미래창조과학부에 정식 산하 협회 등록을 추진하는 한편 구체적 활동 방향을 찾아 나설 계획이다. 이 회장은 “협회는 은퇴 과학기술자의 복지 증진만을 목표로 하지 않는다”며 “학술대회와 학술활동은 물론 오랜 경험을 살려 청소년이 과학에 더 관심을 두고, 중소기업이 필요한 기술을 찾아나갈 수 있도록 힘쓸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회장은 “이런 활동을 벌이려면 더 많은 은퇴 과학기술인의 참여와 관심이 필요하다”며 “학계, 연구계, 산업계는 물론 정부와 언론계에서 은퇴한 50~60대 과학기술인에게 협회를 개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근태 기자 kunta@hankyung.com
9일 출범한 한국시니어과학기술인협회(KASSE) 초대 회장을 맡은 이충희 전 한국표준과학연구원장(81·사진)은 “인구 절벽 시대를 맞아 성장동력을 잃지 않기 위해 은퇴한 과학기술인의 적극적인 활동이 필요하다”며 이렇게 말했다. KASSE는 은퇴한 전직 관료와 전 정부출연연구소 연구원, 대학교수 등을 주축으로 과학기술계 원로 90명이 뜻을 모아 구성한 단체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운영하는 고경력과학기술인(ReSEAT)프로그램발전협의회를 모태로 하고 있다. 협회 창립에는 김우식 전 과학기술부 장관과 조완규 전 교육부 장관, 신성철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DGIST 총장), 김승환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장 등이 참여했다.
이 회장은 “주변의 은퇴 과학자들을 보면 수학과 물리, 화학, 바이오 등 각 분야에서 30~40년씩 연구해온 지식과 경력을 집에서 썩히고 있다”며 “과학기술인이 충분히 활동할 수 있는데도 은퇴 후 별다른 연구활동을 하지 못하고 있어 안타깝다”고 지적했다.
협회는 미래창조과학부에 정식 산하 협회 등록을 추진하는 한편 구체적 활동 방향을 찾아 나설 계획이다. 이 회장은 “협회는 은퇴 과학기술자의 복지 증진만을 목표로 하지 않는다”며 “학술대회와 학술활동은 물론 오랜 경험을 살려 청소년이 과학에 더 관심을 두고, 중소기업이 필요한 기술을 찾아나갈 수 있도록 힘쓸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회장은 “이런 활동을 벌이려면 더 많은 은퇴 과학기술인의 참여와 관심이 필요하다”며 “학계, 연구계, 산업계는 물론 정부와 언론계에서 은퇴한 50~60대 과학기술인에게 협회를 개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근태 기자 kunt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