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lf]실수 줄여야 타수도 줄어요…3월 라운드 '일곱 가지 꿀팁'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이다. 봄이 와도 봄 같지가 않다. 겨우내 얼었던 눈이 녹고 잔디 밑에 파란 싹들이 고개를 내미니 봄이다. 날을 세울 대로 세운 골퍼들의 마음은 벌써 필드로 달려나가 '싱글'을 때릴 듯한 기세다. 하지만 달아오른 맘과 달리 현실은 여전히 한겨울이다.
그린부터 그렇다. 단단한 듯하지만 잔디가 짧지 않아 의외로 빠르지 않다. 러프와 그린 에지는 들떠 있어 클럽 헤드가 제대로 공을 맞히지 못한다. 비거리는 길었다가 짧았다가 들쭉날쭉하다. 이런 첫 라운드 결과에 지나치게 실망한 나머지 갑작스런 스윙 교정이나 무리한 장비 교체로 이어지면 문제다. 다시 오랜 적응 기간을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많은 프로들이 '3월이 1년 골프 농사를 좌우한다'고 자주 말하는 게 그래서다. 한 해를 여는 첫 단추, 3월 골프에 실패하지 않는 첫 티오프 일곱 가지 체크포인트를 모았다.

1 거울을 보라

마음을 가라앉히고 우선 거울부터 보자. 셋업을 다시 확인하기 위해서다. 그립을 잡은 손의 모양, 공을 놓는 위치, 발을 벌린 넓이 등 최소한 세 가지 정도는 확인하는 게 필수다. 느린 속도로 빈 스윙을 해서 헤드가 지나가는 궤적이 ‘아웃-인’ 모양인지, ‘인-아웃’ 형태인지도 점검해 봐야 한다. 자신이 어떤 규격으로 공을 치는지 기준을 잡아 놓으면 샷 실수가 나왔을 때 진짜 원인을 찾는 게 비교적 수월하기 때문이다. 겨우내 라운딩이나 연습량이 부족했다면 스윙이 자기도 모르게 바뀌는 경우가 흔하다. 김용준 KPGA 프로는 “겨울 동안 레슨을 받았다 하더라도 무의식적으로 이전의 습관이 실전에서 다시 나오는 경우가 90% 이상”이라며 “마음을 비우고 기본으로 돌아가는 게 좋다”고 말했다.

2 그린에 미리가라

골프는 부지런해야 이기는 게임이다. 라운드 전 그린 빠르기만 점검하는 습관만 잘 들여도 타수를 줄일 수 있다. 시간도 10분이면 족하다. 초봄 그린은 잔디 보호를 위해 모래를 깔아놓거나 깎지 않아 그린 속도가 느린 게 보통이다. 첫 홀에서 턱없이 홀컵에 못 미치면 3퍼트를 하기 마련이고, 퍼팅이 불안정하면 다음 홀 아이언 샷과 웨지샷에도 영향을 미친다. 홀컵에 더 바짝 붙이려는 욕심과 무의식이 작동하기 때문이다. 조던 스피스(미국), 로리 매킬로이(북아일랜드) 등 세계 최강 골퍼들도 쇼트 퍼팅이 잘 안 되면 아이언 샷 정확도까지 덩달아 떨어진다. 그린 한 쪽 끝에서 한 쪽 끝으로 길게 공을 굴려 거리감을 느끼는 연습과 경사면에 있는 홀컵 주변 동서남북 네 곳에서 홀컵에 넣어보며 오르막 내리막 경사를 느끼는 연습이 타수를 줄여주는 효과가 높다.

3 에이밍을 점검하라

동반자나 캐디 등에게 부탁해 티샷을 위해 어드레스한 뒤 뒤를 봐달라고 하면 좋다. 많은 주말 골퍼들은 목표물을 향해 서는 에이밍에서 엉뚱한 곳을 향해 서 낭패를 보는 경우가 많다. 슬라이스가 많이 나는 골퍼들은 자꾸만 목표지점보다 점점 더 왼쪽을 향해 서려 하고, 훅이 심한 골퍼라면 점점 더 오른쪽을 보려 하는 심리가 강해지기 때문이다. 더 심한 슬라이스와 훅이 나는 원인이다. 똑바로 섰을 때의 공이 날아가는 방향을 확인해야 다음 홀부터 일관된 샷이 가능해진다.

4 첫 티샷은 50%의 힘으로

‘동계훈련’을 착실히 한 골퍼든 아니든 첫 티샷에 힘이 들어간다. 뭔가 보여주고 싶고, 자존심을 지키려는 욕심이 앞선다. 결과는 뻔하다. 예전의 ‘병증’들이 다시 터져 나올 가능성이 높다. 첫 티샷이 18홀 전체를, 첫 라운드가 1년 라운드를 지배할 수 있는 만큼 비거리 욕심을 버리고 페어웨이를 지키는 데만 집중해 보자. 단 50% 스윙이라고 해도 백스윙을 작게 해서는 안 된다. 어깨 회전은 충분히 해줘야 한다. 자칫 팔로만 들어서 하프스윙을 하다가는 다운스윙이 가팔라져 공이 공중으로 높이 뜨는 일명 ‘뽕샷’을 할 수 있다.

5 점에 집중하라

골프 하수들은 면(面)을 생각하지만 고수들은 점(點)을 생각한다. 공이 떨어질 곳을 ‘벙커 오른쪽’ ‘나무 왼쪽’ 등으로 넓게 잡으면 대충 칠 확률이 높다. 페어웨이 가운데에 있는 하얀 표지석 등 분명하고도 작은 목표물을 설정하는 게 방향성에 좋다. 공에도 점을 찍어 놓고 티샷과 퍼팅을 할 때 헤드 페이스로 그 점을 때린다는 생각으로 하면 집중이 잘되고 일관된 샷이 나올 확률이 높다. 실제 많은 고수들은 골프공 대신 콩이나 비비탄 등으로 샷 연습을 한다.

6 궁금해하지 말라

욕심이 앞설수록 내 샷의 결과가 궁금해진다. 하지만 참는 게 이롭다. ‘헤드업’의 심리적 바탕이 ‘궁금함’이어서다. 결과보다는 과정에 집중해야 실제 결과가 더 좋아진다. 스포츠심리학 전문가인 김병준 인하대 교수는 “공을 때린 이후는 통제할 수 없다”며 “통제할 수 없는 결과를 마음 편하게 받아들이겠다고 마음먹어야 골프가 편해진다”고 말했다.

7 네버 업, 네버 인 (never up, never in)

멀리 보면 첫 라운드 성적이 나빠도 마음이 편하다. 습관을 들이는 출발이기 때문이다. 공이 홀컵을 지나가게 치겠다는 생각만 습관화해도 타수는 줄어든다. 지나간 공을 다시 한 번 퍼팅해 홀컵에 넣는 게 턱없이 짧게 친 공을 퍼팅으로 넣는 것보다 유리하다. 지나간 공은 궤적을 남기지만 홀컵에 못 미친 공은 홀컵까지의 정보를 보여주지 못했기 때문이다. 골프는 사소한 정보가 승패를 결정하는 게임이다.

이관우 기자 leebro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