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러시아 정부는 17일 미국 정부가 새로운 대북 제재 행정명령을 발동한 데 대해 강한 반대와 우려 입장을 표명했다.

루캉 (陸慷)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세 가지를 강조하고 싶다"며 "첫째, 기존에도 여러 번 밝힌 것 처럼 중국은 그 어떤 국가가 일방적인 제재를 가하는 것을 반대한다"고 말했다. 또 중국은 현재 한반도 긴장이 고조된 상황에서 " 그 어떤 국가가 긴장 국면을 한층 끌어올리는 것에도 반대한다"고 덧붙였다.

루 대변인은 이어 "우리는 이미 유관국가(미국)와의 접촉에서 그 어떤 독자적인 제재 행동으로 중국의 정상적인 이익에 영향을 미치고 이를 훼손하는 것을 반대한다는 점을 수차례에 걸쳐 명확하게 표명했다"고 주장했다.

마 리야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도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제재를 벗어난 미국의 일방적 대북 제재 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자하로바 대변인은 "우리는 국제사회의 집단적 결정인 안보리 제재의 합법성만을 인정한다. 일방 적 제재 압력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는 "유엔 안보리에 의해 승인된 제재가 있으며 이 제재는 근거가 있고 그것의 목적은 한반도 상황을 안정화시키는 것"이라며 "이같은 형식의 작업(유엔 차원의 다자 제재 형식의 작업)을 견지해야 한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버 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앞서 16일(현지시간) 북한 김정은 정권의 자금줄을 전방위로 차단하는 제재들을 담은 새로운 대북 제재 행 정명령을 발동했다. 이 제재에는 북한의 국외 노동자 송출 행위를 금지하고 북한과 거래하는 제3국의 개인이나 기업, 은행을 제재 할 수 있도록 한 '세컨더리 보이콧'(secondary boycott) 조항도 포함돼 북한과 협력하는 중국이나 러시아 기업들이 직 접적인 타깃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루 대변인은 또 북한이 한미 연합훈련을 유엔 안보리에 의제로 상정해야 한다 고 주장한 것과 관련, 관련 국가들의 냉정·자제를 촉구하고 "지역 긴장을 더욱 끌어올리는 그 어떤 언행도 피해야 한다"며 이번 훈 련에 대한 반대 입장도 명확히 했다. 자성남 유엔 주재 북한대사는 16일(현지시간) 한미합동 군사훈련을 유엔 안보리에서 의제로 삼 아야 한다는 서한을 안보리 순회의장국인 앙골라의 유엔주재 대사에게 제출했다고 교도통신이 17일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