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지역별 권역구분 1.강남권역-테헤란로(강남,역삼.선릉,삼성,서초,교대)의 오피스 2.강남7호선(논현,학동,강남구청,청담),도산대로(신사,압구정,압구정로데오)의 오피스 3.서초+송파+,강동주요대로변(역세권),동작대로(사당~이수),남부순환로(내방,방배),송파대로,올림픽대로(종합운동장~몽촌토성)의 오피스 4.도심권(시청,광화문,종각)+여의도,마포권+기타오피스주요권역(가산디지털단지,구로디지털단지
◆권역 시세변동 강남권의 2016년 1분기 임대료는 수요에 힘입어 여전히 소폭 상승하였고, 공실률은 전 분기에 비해 거의 변화가 없지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렌트프리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임대료의 하락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2016년 오피스 신축 공급물량이 예정되어 있어 당분간 지금과 같은 공실률은 상승될 전망으로 보인다.
◆서울 선릉역 사무실 임대 위치 : 2호선 선릉역 도보 7분 거리 위치. 규모 : 지하 3층/지상 15층 규모. 현재 9,12층 임대 중. 면적 : 각층 전용면적 281㎡. 비용 : 보증금 1억9000만원 /임대료 680만원/관리비 360만원. 특징 : 이 건물의 경우, 선릉역 테헤란로 대로변에 위치한 가시성이 우수한 빌딩으로 주변에 호텔, 백화점, 전시장 등 각종 편의시설이 있고, 건물 뒷편으로는 선정릉이 위치해 있어 회사원들의 휴식처로 이용이 가능하다. 포스코센터 등 주변 대형빌딩 아케이드 이용이 가능하며, 인근에 삼성파이낸스빌딩, 애플트리빌딩, 해성빌딩, 골든타워 등이 위치해있다. 선릉역 오피스 밀집지역으로 지하철 2호선과 분당선의 더블역세권으로 접근성이 우수하다.
◆서울 역삼역 사무실임대 가능 위치 : 2호선 역삼역 도보 5분 거리. 규모 : 지하 3층/지상10층 현재 2층, 5층 임대 중. 면적 : 전용면적 259㎡(각층) 비용 : 2층 보증금 1억원/임대료 600만원/관리비 250만원, 5층 보증금 1억원/임대료 650만원/관리비 250만원. 특징 : 이 건물의 경우 2호선 역삼역 인근 이면, 강남 테헤란로 오피스 밀집 지역에 위치해 있는 깔끔하고 탁 트인 건물이다. 층 별 무료 주차는 3대이고, 룸 등 인테리어가 되어 있다. 주변에는 큰길타워, 르네상스 호텔, 금융결제원 등이 있다.
◆서울 강남역 테헤란로 인근 대로변 코너 건물 사무실임대 위치 : 2호선 강남역 도보 2분 거리 위치 층수 : 지하 4층/지상 13층 규모. 현재 5층 임대 중. 면적 : 전용면적 363㎡. 가격 : 보증금 1억5000만원/임대료 855만원/관리비 645만원. 주요입주사: 여행사, 광고기획사, 게임업체, 보험사 등. 특징 : 현재 건물은 강남 오피스 중심 테헤란로 대로변에 위치한 건물이다. 코너에 위치하여 가시성이 뛰어나고 강남역과도 인접하여 교통이용이 상당히 용이하다. 현재 5층을 임대 중에 있는 상태이다.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사무실 임대 위치 : 분당선, 신분당선 도보 2분 거리. 층수 : 지하 4층/지상 11층 현재 2층 일부 임대 중. 면적 : 전용면적 310.58㎡. 비용 : 보증금 1억원/임대료 1300만원/관리비 368만원. 특징 : 이 건물의 경우, 분당선과 신분당선 환승 구간으로 도보2분 거리에 있으며 교통이 용이하다. 인근 건물들에 비해 사무실 용도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환경을 자랑한다. 또한, 건물 컨디션도 상당히 우수하며, 주요 입주사로는 금융, 병원, 학원 등이 입점해 있으며, 현재 2층에 임대중이며, 추천업종으로는 학원, 병원, 사무실등 다양하다.
◆서울 당산역 사무실 임대 위치 : 2, 9호선 당산역 인근 대로변 위치. 규모 : 지하 1층/지상 5층 규모. 현재 2층 임대 중. 면적 : 전용면적 330㎡. 비용 : 보증금 1억2500만원/임대료 700만원/관리비 175만원. 주요입주사 : 병원, 베이커리. 특징 : 이 건물의 경우, 2, 9호선 당산역과 5호선 영등포시장역을 둔 더블역세권에 위치하고 있어서 교통에 이용이 상당히 우수하다. 현재 2, 3, 4, 5층 임대가 가능하다. 2층부터 지상층면적은 전부 같다. 필요한 면적만큼 임대가 가능한 건물이다. 추천업종으로는 학원, 병원, 사무실 등 다양하게 임대가 가능하다.
◆ 강남구 단독 전층임대 위치 : 9호선 봉은사역 5분 거리 . 규모 : 지하 1층/지상 2층 규모. 현재 전층 임대 중. 면적 : 전용면적 165㎡. 비용 : 보증금 1억원/임대료 750만원/자체관리 특징 : 이 건물의 경우, 주거지역과 오피스 지역에 위치한 건물이다. 최근에 리모델링하여 임대중이다. 건물 후면에 테라스나 지하창고가 있어 임차하여 사용하기에 서비스 면적이 있다. 지하 1층~지상 2층 건물로 단독사무실, 레스토랑, 요식업 등 다양한 업종으로 임대가 가능하다.
◆강남 역삼동 사무실 임대 위치 : 2호선 역삼역 도보 6분 거리 위치. 규모 : 지하 1층/지상 6층 규모. 현재 지하 1층 임대 중. 면적 : 전용면적 191㎡. 비용 : 보증금 3000만원/임대료 300만원/관리비 100만원. 특징 : 현재 건물은 2008년에 리모델링한 건물로 외관이내 내부 관리상태가 우수하다. 건물 컨디션에 비하여 저렴한 임대료를 받고 있다. 현재 건물의 가장 큰 장점은 주차수용대수이다. 현재 각층별로 3대씩 무료로 배정을 해준다. 강남에서 이 정도 면적을 사용하는 건물이 주차를 3대나 배정해주는 것은 흔치 않는 일이다.
◆서울 테헤란로 역삼역 인근 사무실 임대
위치 : 2호선 역삼역 이면 도보 5분 거리 위치. 규모 : 지하 1층/지상 13층 현재 10층 임대 중. 면적 : 전용면적 233㎡. 비용 : 보증금 1억원/임대료 565만원/관리비 181만원. 특징 : 이 건물의 경우, 역삼역 인근 이면도로에 위치해 있다. 건물 내외관이 상당히 수려하다. 현재 9층을 임대 중에 있으며 면적대비 임대료도 저렴한 건물이다. 주변에 지하철과 버스정류장도 인접해 있어서 교통이용이 상당히 용이하다. 바로 사용이 가능한 상태이며 추천하는 업종은 IT업체, 디자인업체, 일반사무실 등 다양하게 가능하다.
문의: 02-512-7174강남구 원빌딩부동산중개 김원상 서울, 수도권에 위치한 30,000건 이상의 오피스 자료 제공. 많은 문의 바랍니다. 사옥, 사무실 임차 컨설팅 서비스-‘한경 오피스’(office.hankyung.com)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A노선 북부 구간(파주 운정중앙역~서울역)이 개통한 지 한 달가량 지났지만 경기 파주시 운정중앙역 인근 부동산 시장은 거래가 뜸하다. 전반적인 수요 위축 속에 운정3지구 입주와 고양 킨텍스역 개발이 이어져야 시장이 활성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9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파주 목동동 ‘힐스테이트운정’ 전용면적 60㎡는 지난달 5억2900만원에 손바뀜했다. 이 단지는 운정중앙역 인근 대장 아파트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지난해 8월 5억4500만원에 손바뀜했다.역 근처 다른 아파트값도 변동이 적다. ‘운정신도시센트럴푸르지오’ 전용 84㎡는 지난달 6억4900만원에 매매됐다. 같은 동의 직전 거래가는 6억7000만원이었다. GTX 개통 이후 오히려 집값이 내린 것이다. 동패동 ‘운정신도시아이파크’ 전용 59㎡는 지난해 5억9000만원까지 올랐지만 지난달 5억5000만원에 거래됐다. 개통 이후 호가가 올라가고 있다. 이 아파트의 같은 면적 호가가 6억~6억4000만원대에 형성돼 있다. 지난해부터 GTX 개통 기대가 집값에 반영된 데다 대출 규제 등으로 거래가 끊겨 집값이 단기간 상승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표찬 싸부원 대표는 “GTX-A노선 개통으로 파주 신축 아파트가 이미 3.3㎡당 2000만~2500만원 올라갔다”며 “철도는 개통 이후보다는 주로 예비타당성 조사와 기본계획, 실시계획 승인 때 호재로 작용하는 측면이 크다”고 설명했다.운정중앙역 일대 아파트 입주가 마무리돼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그동안 준공된 아파트는 대부분 역과 500m 이상 떨어져 있지만, 공사 중인 ‘운정3제일풍
봄 이사철을 앞두고 새로운 전셋집을 알아보는 세입자가 적지 않다. 2년 전 계약할 때와 비교해 전셋값이 껑충 뛰었을 뿐만 아니라 전세대출 금리도 만만치 않아 전셋집 고민이 커진다. 전문가들은 서울 동대문구, 성북구 등 상반기 대단지 입주가 계획돼 있는 지역을 눈여겨보라고 조언한다. 일시에 공급이 쏟아지는 만큼 전셋값 하락을 기대할 수 있어서다. 공급 부족 여파로 중장기적으로 전셋값 오름세가 이어질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파크포레온 전셋값, 8억원대로 내려9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들어 서울 동대문구 아파트 전셋값은 누적 0.25%(지난 3일 기준) 하락했다.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낙폭이 가장 컸다. 연초부터 ‘입주장’이 펼쳐진 영향이 크다. 이문동에서 3069가구 규모의 ‘래미안라그란데’가 지난달 집들이를 시작했다. 오는 6월엔 인근에 있는 휘경동 ‘휘경자이디센시아’(1806가구)가 입주를 개시한다. 공급 과잉 속에 호가를 하향 조정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예컨대 래미안라그란데 전용면적 84㎡(23층) 집주인은 최근 전세 매물 가격을 기존 6억5000만원에서 6억1000만원으로 4000만원 내렸다. 성동구(-0.19%)와 구로구(-0.14%), 관악·강동구(-0.09%) 등도 새해 들어 전셋값이 많이 빠졌다. ‘서울숲아이파크리버포레1차’(825가구·성동구) , ‘힐스테이트관악센트씨엘’(997가구·관악구) 등에서 최근 입주 물량이 늘어난 것과 무관치 않다는 평가가 나온다. 강동구에선 작년 11월 1만2032가구 규모의 ‘올림픽파크포레온’(둔촌주공 재건축)이 집들이한 여파가 아직 이어지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달 경매 시장에서 서울 오피스텔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과 낙찰률(경매 진행 건수 대비 매각 건수 비율)이 동반 상승했다. 월세가 오르는 등 수익성이 개선되면서 오피스텔을 저가 매수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난 영향이라는 분석이다. 전세 사기와 고금리 여파에 침체를 겪던 오피스텔 시장이 바닥을 다졌다는 평가도 나온다.9일 경·공매 정보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오피스텔 낙찰가율은 83.5%로, 지난해 12월(82.7%)보다 0.8%포인트 올랐다. 한때 70%대(작년 11월 72.9%)까지 주저앉았지만, 올해 들어 조금씩 오르는 추세다.낙찰률도 전달(20.5%)보다 3.4%포인트 상승한 23.9%로 집계됐다. 역대 최저 수준이었던 1년 전 9.5%(작년 2월)와 비교하면 분위기가 나아지고 있다.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한 임차인이 직접 오피스텔을 매수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 서울 금천구 가산동 A 오피스텔 전용 17㎡짜리는 지난달 14일 낙찰가율 117.9%인 1억3200만원에 매각됐다. 임차인이 직접 낙찰받은 이른바 ‘셀프 낙찰’ 사례다. 보증금(1억3200만원)으로 오피스텔을 매수한 셈이다. 마포구 상암동 B 오피스텔(전용 24㎡)도 감정가(1억2300만원)보다 높은 1억4000여만원에 손바뀜했다. 이 오피스텔도 보증금 1억4000만원에 살던 임차인이 직접 낙찰받았다.저가 매수를 노린 입찰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서초구 신원동의 C 오피스텔 전용 21㎡는 지난달 2차 매각일에 4명의 응찰자가 참여했다. 한 차례 유찰로 최저입찰가가 감정가(1억7500만원)보다 20% 할인되자 저가 매수세가 몰렸다. 감정가의 88% 수준인 1억5500여만원에 매각됐다. 영등포구 영등포동 D 오피스텔(전용 20㎡)도 지난달 14일 2차 매각일에 응찰자 3명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