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AI 특허 2638건…미국의 10분의 1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최근 10년간 한국에서 출원한 인공지능(AI) 특허가 미국의 10분의 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지능은 다양한 산업에 활용되는데 국내에선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특허에 출원이 집중돼 특허의 다양성 확보가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특허청은 2006~2015년 국내에서 출원한 인공신경망, 딥러닝, 의사결정 등 인공지능 특허는 2638건이라고 21일 발표했다. 같은 기간 미국(2만4054건)의 10.9%, 일본(4208건)의 62%에 그쳤다. 분야별로는 컴퓨터(64.1%) 통신(9.9%) 등 ICT에 집중됐다. 화학(0.1%) 식품(0.1%) 의류(0.1%) 등 비(非)ICT 분야 특허 출원은 적었다.
특허 출원 건수는 2010년 212건에서 2011년 288건, 2012년 295건, 2013년 371건으로 꾸준히 늘다가 최근 소폭 감소했다. 2014년 367건, 작년 301건을 기록했다. 국내 기업과 기관 중 인공지능 특허를 가장 많이 출원한 곳은 163건을 출원한 삼성전자로 나타났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29건) 퀄컴(86건) 마이크로소프트(74건) KAIST(58건)가 뒤를 이었다.
박근태 기자 kunta@hankyung.com
특허청은 2006~2015년 국내에서 출원한 인공신경망, 딥러닝, 의사결정 등 인공지능 특허는 2638건이라고 21일 발표했다. 같은 기간 미국(2만4054건)의 10.9%, 일본(4208건)의 62%에 그쳤다. 분야별로는 컴퓨터(64.1%) 통신(9.9%) 등 ICT에 집중됐다. 화학(0.1%) 식품(0.1%) 의류(0.1%) 등 비(非)ICT 분야 특허 출원은 적었다.
특허 출원 건수는 2010년 212건에서 2011년 288건, 2012년 295건, 2013년 371건으로 꾸준히 늘다가 최근 소폭 감소했다. 2014년 367건, 작년 301건을 기록했다. 국내 기업과 기관 중 인공지능 특허를 가장 많이 출원한 곳은 163건을 출원한 삼성전자로 나타났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29건) 퀄컴(86건) 마이크로소프트(74건) KAIST(58건)가 뒤를 이었다.
박근태 기자 kunt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