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열기구 와이파이' 첫 상용화 장소는 스리랑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km 상공에 연내 13개 띄워
정부지원 많고 국토 좁아 선택
정부지원 많고 국토 좁아 선택
통신장비를 갖춘 열기구를 오지에 띄워 무선 인터넷망을 구축하려는 구글 ‘룬 프로젝트’의 성공 여부가 연내에 가려질 전망이다.
블룸버그통신은 27일(현지시간) 구글이 룬 프로젝트의 첫 실험 장소로 선정한 스리랑카에 열기구를 띄워 연내에 전국 무선인터넷망을 구축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스리랑카 상공을 떠다닐 열기구는 총 13개다. 구글은 지난달 처음 열기구를 띄웠고, 순차적으로 남은 12개를 쏘아올린다. 13개 열기구를 모두 띄우면 한국 국토 면적의 3분의 2 규모인 스리랑카 전역이 무선 인터넷망으로 연결된다. 열기구는 대기가 안정적인 20㎞ 상공(성층권)에 머문다.
구글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고려해 스리랑카를 첫 상용화 시험 장소로 선정했다. 스리랑카 정부는 시험에 필요한 주파수 대역을 구글에 할당하는 등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면적이 작아 국토 전체를 연결하는 인터넷망 구축이 상대적으로 쉽다는 점도 반영됐다.
구글은 2013년부터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 인터넷 이용이 어려운 지역에 무료 인터넷을 제공하겠다는 취지로 룬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구글은 “세계 인구의 3분의 2가 인터넷을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며 “누구나 인터넷에 연결되는 세상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구글은 이미 뉴질랜드, 브라질 등지에서 룬 프로젝트 시범사업을 마쳤다. 블룸버그는 스리랑카 전역에 무선 인터넷망을 구축하는 이번 시험이 룬 프로젝트의 상용화 여부를 평가하는 첫 관문이라고 전했다.
홍윤정 기자 yjhong@hankyung.com
블룸버그통신은 27일(현지시간) 구글이 룬 프로젝트의 첫 실험 장소로 선정한 스리랑카에 열기구를 띄워 연내에 전국 무선인터넷망을 구축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스리랑카 상공을 떠다닐 열기구는 총 13개다. 구글은 지난달 처음 열기구를 띄웠고, 순차적으로 남은 12개를 쏘아올린다. 13개 열기구를 모두 띄우면 한국 국토 면적의 3분의 2 규모인 스리랑카 전역이 무선 인터넷망으로 연결된다. 열기구는 대기가 안정적인 20㎞ 상공(성층권)에 머문다.
구글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고려해 스리랑카를 첫 상용화 시험 장소로 선정했다. 스리랑카 정부는 시험에 필요한 주파수 대역을 구글에 할당하는 등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면적이 작아 국토 전체를 연결하는 인터넷망 구축이 상대적으로 쉽다는 점도 반영됐다.
구글은 2013년부터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 인터넷 이용이 어려운 지역에 무료 인터넷을 제공하겠다는 취지로 룬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구글은 “세계 인구의 3분의 2가 인터넷을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며 “누구나 인터넷에 연결되는 세상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구글은 이미 뉴질랜드, 브라질 등지에서 룬 프로젝트 시범사업을 마쳤다. 블룸버그는 스리랑카 전역에 무선 인터넷망을 구축하는 이번 시험이 룬 프로젝트의 상용화 여부를 평가하는 첫 관문이라고 전했다.
홍윤정 기자 yj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