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잠금'까지 뚫은 일본 기술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국 법무부, 테러범 정보 입수…"애플 협조 필요없다" 소취하
선(SUN)사 인수기업이 기술 제공
폭스바겐 배출가스 조작도 호리바제작소 장비로 밝혀
선(SUN)사 인수기업이 기술 제공
폭스바겐 배출가스 조작도 호리바제작소 장비로 밝혀
테러범의 아이폰 보안해제를 둘러싼 애플과 미국 법무부 간 날카로운 대립이 전혀 예상치 못한 방법으로 일단락됐다. 일본계 기업이 미 연방수사국(FBI)이 포기한 아이폰 잠금장치를 뚫고 데이터 확보에 성공한 것이다.
미 법무부는 캘리포니아 리버사이드의 연방지방법원에 애플을 상대로 제기한 아이폰 보안해제 협조 강제 요청을 취하했다고 28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법무부는 “지난해 12월 캘리포니아주 샌버너디노에서 14명을 숨지게 한 파룩 부부의 총기테러 사건을 조사하는 데 필요한 파룩 소유의 아이폰 정보에 성공적으로 접근했다”며 “더 이상 애플의 협조가 필요없다”고 밝혔다.
미 사법당국은 ‘제3의 기관’에서 도움을 받았다고만 밝혔을 뿐 누가, 어떻게 잠금장치를 풀었는지에 대해 구체적인 이름이나 도움을 받은 경위는 공개하지 않았다. 미 언론들은 일본 전자업체 선(SUN)사가 2007년 인수한 셀리브라이트가 필요한 기술을 제공했다고 전했다.
1999년 이스라엘에서 설립된 셀리브라이트는 2007년 디지털 기기의 암호를 해독하고 삭제된 데이터를 복구하는 포렌식 사업부를 설립했고, 같은 해 선사에 인수된 이후 관련 사업을 확대해왔다. 일본 자위대를 포함해 세계 60여개국의 사법 및 군당국에 디지털 기기 암호해독 장비와 소프트웨어를 공급하고 있다. 선사의 주가는 최근 5일간 40% 급등했다.
이번 사건으로 일본 기업이 확보한 기술력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지난해 불거진 폭스바겐의 디젤엔진 배출가스 조작을 밝혀낸 검사 장비도 일본 호리바제작소가 제작했다.
일본 교토에 본사를 둔 이 회사는 일본에서조차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세계 차량 배기가스 점검 시장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폭스바겐은 의혹이 불거진 초기에 검사 장비의 오작동과 계측 오류를 주장했으나 조작을 시인하고 대규모 리콜과 손해배상을 결정했다.
뉴욕=이심기 특파원 sglee@hankyung.com
미 법무부는 캘리포니아 리버사이드의 연방지방법원에 애플을 상대로 제기한 아이폰 보안해제 협조 강제 요청을 취하했다고 28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법무부는 “지난해 12월 캘리포니아주 샌버너디노에서 14명을 숨지게 한 파룩 부부의 총기테러 사건을 조사하는 데 필요한 파룩 소유의 아이폰 정보에 성공적으로 접근했다”며 “더 이상 애플의 협조가 필요없다”고 밝혔다.
미 사법당국은 ‘제3의 기관’에서 도움을 받았다고만 밝혔을 뿐 누가, 어떻게 잠금장치를 풀었는지에 대해 구체적인 이름이나 도움을 받은 경위는 공개하지 않았다. 미 언론들은 일본 전자업체 선(SUN)사가 2007년 인수한 셀리브라이트가 필요한 기술을 제공했다고 전했다.
1999년 이스라엘에서 설립된 셀리브라이트는 2007년 디지털 기기의 암호를 해독하고 삭제된 데이터를 복구하는 포렌식 사업부를 설립했고, 같은 해 선사에 인수된 이후 관련 사업을 확대해왔다. 일본 자위대를 포함해 세계 60여개국의 사법 및 군당국에 디지털 기기 암호해독 장비와 소프트웨어를 공급하고 있다. 선사의 주가는 최근 5일간 40% 급등했다.
이번 사건으로 일본 기업이 확보한 기술력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지난해 불거진 폭스바겐의 디젤엔진 배출가스 조작을 밝혀낸 검사 장비도 일본 호리바제작소가 제작했다.
일본 교토에 본사를 둔 이 회사는 일본에서조차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세계 차량 배기가스 점검 시장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폭스바겐은 의혹이 불거진 초기에 검사 장비의 오작동과 계측 오류를 주장했으나 조작을 시인하고 대규모 리콜과 손해배상을 결정했다.
뉴욕=이심기 특파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