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창욱 성균관대 컴퓨터공학과 교수가 지난달 31일 경기 수원 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 내 진화 컴퓨팅
연구실에서 인공지능(AI) 작곡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박상용 기자
안창욱 성균관대 컴퓨터공학과 교수가 지난달 31일 경기 수원 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 내 진화 컴퓨팅 연구실에서 인공지능(AI) 작곡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박상용 기자
지난달 31일 경기 수원 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 내 진화 컴퓨팅 연구실. 컴퓨터에 연결된 스피커에서 신나는 ‘일렉트로닉 댄스 뮤직(EDM)’이 흘러나오고 있었다. 세계적인 일렉트로니카 DJ 카이고의 ‘파이어스톤(firestone)’ 변주곡이었다. 하지만 일반적인 변주곡은 아니었다. 원곡을 새롭게 구성한 작곡가가 사람이 아닌 인공지능(AI)이기 때문이다.

연구실 책임자인 안창욱 컴퓨터공학과 교수(39)는 4년 전부터 컴퓨터가 스스로 학습하는 딥러닝과 진화 알고리즘(문제해결 절차)을 결합해 ‘AI 작곡가’를 개발하고 있다. 컴퓨터가 입력된 자료의 규칙을 분석하고 음계를 조합해 수천곡을 만든 뒤 가장 좋은 곡을 골라내는 방식이다.

안 교수는 2000년대 초 대학원생 시절부터 ‘AI 작곡가’ 연구를 꿈꿨다. 석사 과정을 마치고 박사 과정을 시작할 때는 AI를 공부하기 위해 전공을 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 진화 컴퓨팅으로 바꿨다. 안 교수는 “원래 전공보다 AI가 재미있었고 고등학생 때부터 통기타를 치는 등 음악에 관심이 많았다”고 말했다.

그는 정기적으로 AI가 작곡한 곡을 작곡가들에게 들려주고 있다. AI의 작곡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받기 위해서다. 안 교수는 “아직 인간처럼 완전히 새로운 곡을 창작하거나 예술성이 뛰어난 곡을 만드는 수준은 아니다”며 “하지만 작곡가들로부터 ‘아마추어 작곡가 수준은 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실에는 연구 초기부터 안 교수와 함께 ‘AI 작곡가’를 개발해 온 대학원생이 있다. 박사 과정을 밟고 있는 정재훈 씨(29)다. 정씨는 작곡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2년 전부터 음악 학원에 다니며 작곡 이론과 작곡 프로그램을 배우고 있다. 그는 “사람 같은 AI 작곡가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딥러닝뿐만 아니라 음악을 깊이 있게 이해해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했다.

안 교수와 정씨의 연구 과정이 늘 순탄했던 것은 아니다. 연구 지원금을 받기 위해 여러 기관에 연구 기획서를 제출했지만 번번이 퇴짜를 맞았다. 지금도 외부 지원금 한 푼 없이 AI 작곡 연구를 이어나가고 있다. 필요한 자금은 다른 연구 사업에서 들어온 수익으로 충당한다.

안 교수의 목표는 제자들과 창업하는 것이다. 영상을 입력하면 어울리는 음악을 만들어 주거나 입력한 음악에 맞는 영상을 제작해주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게 꿈이다. 그는 “지금은 AI를 음악에만 융합하고 있지만 나중엔 그 대상을 미술 등 예술 전반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며 “목표에 맞는 기술을 개발하려면 3~4년 정도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

수원=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