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MC 위원 2명 3월 금리인상 주장하기도

미국의 통화정책 결정권자들이 지난달 정례회의 때 3월 또는 4월에 기준금리를 올리는 일이 타당한지를 놓고 격렬한 토론을 벌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다수의 통화정책 결정권자들이 대외 요인의 불안을 이유로 금리 인상에 신중하자는 입장을 보였고 그에 따라 금리도 0.25∼0.5%로 동결됐지만, 지난달 금리 인상을 주장했던 사람이 금리 동결에 반대표를 던진 에스더 조지 캔자스시티 연방은행장 말고도 1명 더 있었던 점도 나타났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는 이런 내용이 담긴 통화정책결정기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지난달 정례회의록을 6일(현지시간) 공개했다.

회의록을 보면 지난달 FOMC 정례회의에서 "여러 명의 참가자들(FOMC 위원들)은 조심스러운(cautious) 금리인상이 신중한 행동이라거나, (오는) 4월에 금리를 올리는 일이 일종의 긴급한 상황이라는, 따라서 적절하지 못한 신호를 줄 우려가 있다"는 의견을 냈다.

이는 올해 초 나타난 미국 이외 주요국가의 경제 부진과 금융시장 불안에도, '4월 금리 인상론'이 회의록에 기록될 정도로 지난달 FOMC 회의 때 오르내렸음을 의미한다.

특히 "일부 참가자들"은 "앞으로 발표되는 경제지표를 통해 점진적인 생산활동 증가와 고용시장의 추가 호조, 그리고 물가가 중기적으로 목표치인 2%에 접근한다는 게 지속적으로 확인된다면 위원회(FOMC)의 다음 회의(4월 회의)에서 목표 범위(기준금리)를 높이는 일이 타당할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나아가 "두 명의 참가자들"은 지난달 회의에서 바로 0.5∼0.75%로 기준금리를 올리는 일이 타당하다는 시각을 보였다.

이중 한 명은 결국 기준금리 동결 결정에 유일하게 반대표를 던진 캔자스시티 연준의 조지 은행장이었다.

반면 "몇 명의 (FOMC) 위원들"은 대외 경제의 불안이 이어지면 미국에서도 물가상승이 지속되기 어려우며 "장기적인 물가상승 예상치가 낮아질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결국 대부분의 FOMC 위원들은 토론을 통해 "전 세계적인 경제와 금융시장 상황이 계속 (미국 경제에) 위험요인을 주고 있다"는데 동의했고, "(미국) 국내의 경제지표 뿐 아니라 (미국) 경제 전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외부 경제 상황과 금융시장 변동에 대한 정보"도 통화정책 결정을 위한 "관련 자료"로 포함돼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FOMC 위원들은 올해 초까지도 두드러졌던 국제 에너지가격 하락세 때문에 "물가 상승폭이 단기적으로 낮게 유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위원들은 "(FOMC 위원들의) 경제 전망과 적절하다고 예상되는 통화정책 경로가 앞으로 발표될 경제지표와 변동 상황에 따라 바뀔 수 있다"는 입장을 정리했다.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은 3월 FOMC 정례회의 이후인 지난달 29일 뉴욕 이코노믹클럽 연설에서 "(미국) 경제전망에 대한 위험요인들을 고려할 때 (통화)정책의 조정은 조심스럽게(cautiously) 진행하는 게 적절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당시 연설에서 대외 경제 불안 때문에 "시장에서 (미국) 연방기금금리에 대한 예상치를 낮추고 그에 따라 (시중) 장기금리에 하향 압력을 가하면서 결과적으로 소비지출 증가를 도왔다"고 설명한 옐런 의장은 이런 과정을 통해 미국 경제에 대한 외부 불안 요소의 영향력이 "상쇄됐다"고 말했다.

(워싱턴연합뉴스) 김세진 특파원 smil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