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휴대폰 포털 화면에 우리동네 선거 광고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뉴스카페
직장인 이모씨(39)는 최근 집에서 PC를 켠 뒤 한 포털 사이트에 접속했다. 첫 화면에 자신의 지역구에 출마한 국회의원 후보자의 선거 광고가 나타났다. 스마트폰을 꺼내 한 포털의 앱(응용프로그램)을 켰다. 역시 해당 후보자의 선거 광고가 모바일 첫 화면에 떴다.
네이버 카카오 등 주요 인터넷 포털은 이번 총선에 출마한 후보자를 대상으로 지역 맞춤형 선거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같은 서비스는 각 컴퓨터에 할당되는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기반으로 구현되고 있다. 각 포털이 통신사로부터 지역별 IP 주소를 전달받아 일부 보완작업을 거쳐 선거 광고에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PC가 아니라 모바일에서는 와이파이냐, LTE 또는 3세대(3G) 환경이냐에 따라 차이가 있다. 와이파이는 유선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PC처럼 IP 주소를 바탕으로 지역 타기팅이 가능하다. 그러나 LTE, 3G는 각 기지국의 IP 주소가 반드시 지역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오차가 크다는 게 포털업계의 설명이다.
네이버 관계자는 “네이버 앱에서는 고객 동의를 얻어 GPS(위치확인시스템) 정보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IP 주소가 아닌앱 정보를 근거로 선거 광고를 노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카카오 측은 웹이든 앱이든 모바일 홈페이지에서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
네이버 카카오 등 주요 인터넷 포털은 이번 총선에 출마한 후보자를 대상으로 지역 맞춤형 선거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같은 서비스는 각 컴퓨터에 할당되는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기반으로 구현되고 있다. 각 포털이 통신사로부터 지역별 IP 주소를 전달받아 일부 보완작업을 거쳐 선거 광고에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PC가 아니라 모바일에서는 와이파이냐, LTE 또는 3세대(3G) 환경이냐에 따라 차이가 있다. 와이파이는 유선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PC처럼 IP 주소를 바탕으로 지역 타기팅이 가능하다. 그러나 LTE, 3G는 각 기지국의 IP 주소가 반드시 지역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오차가 크다는 게 포털업계의 설명이다.
네이버 관계자는 “네이버 앱에서는 고객 동의를 얻어 GPS(위치확인시스템) 정보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IP 주소가 아닌앱 정보를 근거로 선거 광고를 노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카카오 측은 웹이든 앱이든 모바일 홈페이지에서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