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인원 50명 → 135명으로
이대, SW과목 이수해야 졸업
비전공자 위한 '융합센터' 설립
고려대도 '융합전공' 신설키로
성균관대는 내년 입시부터 특성화 학과인 소프트웨어학과 선발 인원을 기존 50명에서 135명으로 대폭 늘리기로 했다. 이 대학 고위 관계자는 8일 “기존 컴퓨터공학과를 없애는 대신 장학금, 무료 해외 어학연수 등의 혜택이 있는 소프트웨어학과 정원을 늘리기로 했다”고 밝혔다.
성균관대 소프트웨어학과는 5년 만에 학사와 석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특성화 학과로 2011년 개설됐다. 이 학과 학생은 삼성전자, SK플래닛 등 30여개 국내 기업과 공동 연구를 하거나 미국 구글, 페이스북 등 글로벌 기업을 견학할 수 있다. 우수 신입생 50명에게는 전액 장학금을, 매년 추가로 선발되는 40명에게는 50% 장학금을 준다.
이화여대는 정원 71명의 컴퓨터공학과를 소프트웨어학부로 확대 개편하기로 했다. 정원을 몇 명까지 늘릴지는 확정하지 않았다. 이 대학은 이번 학기부터 약학대생을 제외한 모든 신입생이 ‘정보기술(IT) 융합설계 개론’ ‘컴퓨터과학적 인식과 문제해결’ 등 SW 관련 교양과목을 이수해야 졸업할 수 있도록 학제를 바꿨다. 이화여대 관계자는 “SW전공 여성 전문인력을 키우기 위해 내년에는 이화SW융합센터를 설립하고 비(非)전공자의 SW 교육을 전담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SW와 다른 전공을 접목한 SW융합전공을 신설하는 대학도 있다. 고려대는 오는 2학기에 언어-뇌-컴퓨터(LB&C) 융합전공을 신설하기로 했다. 언어학과 심리학, 컴퓨터공학을 융합한 학문을 한 전공에서 배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정원은 20명이며 LB&C 전공 36학점을 이수하면 졸업할 때 언어-뇌-컴퓨터 학위를 받는다.
동국대도 2학기부터 정원 40명 규모로 범죄과학 SW연계전공, 로봇융합 SW연계전공, 문화예술 SW연계전공 등을 운영하기로 했다. 이 대학 관계자는 “경찰행정학, 기계로봇에너지공학, 예술 등 동국대의 강점과 SW를 융합한 것”이라고 말했다.
박상용/마지혜 기자 yourpenc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