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칼럼] 선거공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선태 논설위원 kst@hankyung.com
20대 총선이 나흘 앞으로 다가오면서 후보자들의 유세도 막바지를 향해 피치를 올리고 있다. 1분1초가 아까운 후보자들로서야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고 어떻게든 유권자에게 자신을 알리고 어필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게 되는 때다. 그러다 보면 아무래도 좀 무리도 하게 된다. 지나가는 사람에게 반강제로 악수도 청하고 유세 차량을 동원해 큰 소리로 유권자들의 시선도 사로잡으려 든다.
하지만 의욕이 지나쳐 선거운동을 안 하느니만 못한 경우도 왕왕 생겨나는 요즘이다. 전화와 문자를 통한 마구잡이식 유세가 대표적이다. 모르는 번호로 전화가 와서 받아보면 한 표를 부탁하는 녹음된 메시지가 흘러나오기 일쑤다. 받는 사람 입장에서는 일단 얼굴부터 찡그리게 된다. 우선 “내 전화번호를 어떻게 알았지?” 하는 의문이 생긴다. 내 개인정보가 어디선가 유출돼 제멋대로 흘러다닌다는 생각에 불쾌한 마음이 드는 것이다. 후보가 직접 전화를 한 것도 아니고 녹음된 음성을 일방적으로 들려주는 것도 기분이 좋을 리 없다. 게다가 나의 주거지에 출마하지도 않은 전혀 엉뚱한 후보 측 전화라면 짜증이 확 몰려온다.
많은 시민이 공통적으로 분통을 터뜨리는 부분은 소음이다. 유세 차량에서 들리는 커다란 음악과 소음은 공해 그 자체다. 메시지가 잘 들리지도 않는다. 전국의 경찰청 상황실에는 요즘 매일같이 선거 소음과 관련한 신고가 적게는 수십 건, 많게는 수백 건이 접수된다. 이런 소음은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은 물론 ‘소음진동관리법’상으로도 규제 대상이 아니다. 경찰도 자제를 당부할 뿐 뾰족한 대책이 없다. 유세 차량은 소음뿐 아니라 교통체증까지 유발, 거의 공공의 적처럼 여겨질 지경이다. 여기저기 무질서하게 걸어놓은 현수막과 플래카드는 시야를 막아 상가 간판이나 신호등을 가리기도 한다. 이쯤 되니 ‘선거공해’라는 말이 공공연히 나온다.
유권자들도 이제는 단순히 불쾌감 표현을 넘어 선거공해 유발 후보를 떨어뜨리자는 낙선운동까지 벌일 태세다. 온라인에서는 “나의 개인정보를 불법적으로 취득해 선거운동에 이용하거나 평온한 삶을 방해하는 소음을 내는 후보자는 떨어뜨리자”는 글이 심심치 않게 올라온다.
이쯤 되면 선거운동이 정치적 무관심을 넘어 정치에 대한 혐오까지 불러온다는 말이 나올 정도다. 안 하느니만 못한 역효과까지 불러오는 것이다. 세상은 빠르게 변하는데 유세방식만 구태를 못 벗어나고 있다는 걸 정녕 후보자들만 모른다는 말인가.
김선태 논설위원 kst@hankyung.com
하지만 의욕이 지나쳐 선거운동을 안 하느니만 못한 경우도 왕왕 생겨나는 요즘이다. 전화와 문자를 통한 마구잡이식 유세가 대표적이다. 모르는 번호로 전화가 와서 받아보면 한 표를 부탁하는 녹음된 메시지가 흘러나오기 일쑤다. 받는 사람 입장에서는 일단 얼굴부터 찡그리게 된다. 우선 “내 전화번호를 어떻게 알았지?” 하는 의문이 생긴다. 내 개인정보가 어디선가 유출돼 제멋대로 흘러다닌다는 생각에 불쾌한 마음이 드는 것이다. 후보가 직접 전화를 한 것도 아니고 녹음된 음성을 일방적으로 들려주는 것도 기분이 좋을 리 없다. 게다가 나의 주거지에 출마하지도 않은 전혀 엉뚱한 후보 측 전화라면 짜증이 확 몰려온다.
많은 시민이 공통적으로 분통을 터뜨리는 부분은 소음이다. 유세 차량에서 들리는 커다란 음악과 소음은 공해 그 자체다. 메시지가 잘 들리지도 않는다. 전국의 경찰청 상황실에는 요즘 매일같이 선거 소음과 관련한 신고가 적게는 수십 건, 많게는 수백 건이 접수된다. 이런 소음은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은 물론 ‘소음진동관리법’상으로도 규제 대상이 아니다. 경찰도 자제를 당부할 뿐 뾰족한 대책이 없다. 유세 차량은 소음뿐 아니라 교통체증까지 유발, 거의 공공의 적처럼 여겨질 지경이다. 여기저기 무질서하게 걸어놓은 현수막과 플래카드는 시야를 막아 상가 간판이나 신호등을 가리기도 한다. 이쯤 되니 ‘선거공해’라는 말이 공공연히 나온다.
유권자들도 이제는 단순히 불쾌감 표현을 넘어 선거공해 유발 후보를 떨어뜨리자는 낙선운동까지 벌일 태세다. 온라인에서는 “나의 개인정보를 불법적으로 취득해 선거운동에 이용하거나 평온한 삶을 방해하는 소음을 내는 후보자는 떨어뜨리자”는 글이 심심치 않게 올라온다.
이쯤 되면 선거운동이 정치적 무관심을 넘어 정치에 대한 혐오까지 불러온다는 말이 나올 정도다. 안 하느니만 못한 역효과까지 불러오는 것이다. 세상은 빠르게 변하는데 유세방식만 구태를 못 벗어나고 있다는 걸 정녕 후보자들만 모른다는 말인가.
김선태 논설위원 k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