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해외부문 부진에 2009년 이후 업계 1위 내줘
지난달 '블소 모바일' 출시…대작 '리니지 이터널'도 준비
AI·가상현실 전담팀 신설…매출 1조 돌파위해 총력전
모바일 게임 분야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실적이 부진하던 엔씨소프트가 다시 기지개를 켜고 있다. 올해 창사 이래 가장 많은 대형 신작게임을 쏟아내고 해외시장 공략과 사업다각화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업계에서는 엔씨소프트가 ‘게임명가’의 명성을 회복하기 위해 ‘제2의 창업’에 버금가는 재도약을 준비 중이라고 보고 있다.
○올해 화두는 모바일과 글로벌
엔씨소프트는 최근 5~6년간 ‘암흑기’를 보냈다. 2010년 이후 국내 모바일 게임 시장이 급성장하고 국내 게임업체가 활발히 해외시장에 진출했지만, 엔씨소프트는 모바일과 해외시장 모두에서 주목할 만한 실적을 내지 못했다.
2008년까지만 해도 국내 게임업체 중 매출이 가장 많던 엔씨소프트는 2009년 넥슨에 1위 자리를 내줬다. 넥슨은 ‘던전앤파이터’ 등이 중국을 비롯한 해외시장에서 크게 인기를 끌면서 해외 매출이 급증했다. 엔씨소프트는 지난해 모바일 게임 시장에서 선전한 넷마블에 2위 자리마저 내주고 3위로 물러났다. 지난해 엔씨소프트 매출은 8383억원으로 전년도(8387억원)보다 소폭 감소했다. 영업이익과 순이익 모두 전년도에 비해 두 자릿수 감소세를 보였다.
올 들어서는 분위기가 달라졌다. 1분기부터 신작을 내놨다. 지난달 중국에서 첫 모바일 게임 ‘블레이드앤소울 모바일’을 출시했다. 출시되자마자 중국 모바일 게임 순위 5위에 오르는 등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하반기에는 모바일 게임 3개가 나올 예정이다.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아이온’의 모바일 버전인 ‘아이온 레기온즈’를 필두로 리니지의 모바일 버전 게임 2종이 하반기에 첫선을 보인다. 중국에서 호평받은 블레이드앤소울 모바일은 상반기 중 한국과 일본에서 정식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리니지 시리즈의 차기작인 ‘리니지 이터널’도 연내 출시할 계획이다. 수백억원의 제작비가 투입된 블록버스터급 게임으로 엔씨소프트가 기대를 걸고 있는 작품이다. 신작 총쏘기 게임인 ‘마스터X마스터(MXM)’도 올 하반기 중 한국, 일본, 대만 등에서 동시에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중국에서는 중국 최대 게임업체 텐센트와 계약을 맺고 현지 시장 공략을 준비하고 있다.
○“올해 매출 1조원 넘겠다”
올해 안에 엔씨소프트가 선보이는 게임만 6개다. 이 회사가 한 해에 이처럼 많은 자체 개발 대작 게임을 한꺼번에 선보이는 것은 1997년 설립 이래 19년 만에 처음이다. 여기에 지난해 미국 실리콘밸리 지역에 문을 연 모바일 게임 제작 스튜디오에서도 3개의 신작 모바일 게임을 준비하고 있다. 이 중 1개는 올해 안에 출시될 예정이다. 이렇게 되면 올해 국내외에서 출시되는 엔씨소프트의 신작 게임은 7개가 된다. 미국 스튜디오는 북미 법인을 총괄하는 윤송이 사장(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의 부인)의 첫 작품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엔씨소프트는 사업다각화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우선 게임과 연관된 분야의 첨단 기술 개발에 투자를 확대하고 이 기술을 활용한 사업을 전개한다는 계획이다. 엔씨소프트는 올초 가상현실(VR) 전담팀을 신설했다. VR 분야 개발자뿐 아니라 콘텐츠 기획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력 확충에 공을 들이고 있다. 차세대 대작 게임에 쓰일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 개발도 주력 분야 중 하나다. AI 기술은 현재 개발 중인 리니지 이터널의 던전에 적용될 예정이다. 게임 중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자연어 처리 기술 연구개발(R&D)에도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엔씨소프트는 올 들어 다양한 게임을 출시해 정체된 매출을 끌어올리고 해외시장 공략에도 박차를 가해 게임명가의 자존심을 회복한다는 목표다. 엔씨소프트는 올해 처음 매출 1조원을 돌파하고 해외 매출 비중은 50%를 넘어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황순현 엔씨소프트 전무는 “올해 화두는 모바일과 글로벌”이라며 “대작 모바일 게임 출시를 통해 일부 업체에 편중된 시장에 변화를 주겠다”고 말했다.
삼성전자가 7일 신형 스마트폰 갤럭시 S25 시리즈를 전 세계에 출시한 가운데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의 쇼핑몰인 ‘페스티벌시티몰’에 마련된 체험 공간에서 관람객이 갤럭시 S25 신제품을 살펴보고 있다. 갤럭시 S25 시리즈는 이달 3일까지 진행된 국내 사전 판매에서 총 130만 대가 팔렸다. 역대 갤럭시S 시리즈 중 최다 기록이다. 삼성전자 제공
대한항공이 지난해 사상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영업이익도 22.5% 늘었다. 항공 여객 수요와 항공 화물 수요가 동반 확대된 덕분이다.대한항공은 작년 매출이 16조1166억원으로, 2023년(14조5751억원)보다 10.6% 증가했다고 7일 밝혔다. 이전 최고 매출 기록을 1년 만에 갈아치웠다. 영업이익도 1조9446억원으로 1년 전보다 22.5% 늘었다.여객 사업과 화물 사업의 고른 성장이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 대한항공의 작년 국제선 여객은 1778만 명으로 2023년(1406만 명)보다 26.5% 증가했다. 화물 수송 실적도 2023년 146만t에서 지난해 160만t으로 9.6% 늘었다.작년 4분기에는 매출 4조296억원, 영업이익 4765억원을 올렸다. 매출은 작년 동기보다 1% 늘어나는 데 그쳤지만 영업이익이 159%나 증가했다. 4분기는 계절적 비수기인 탓에 여객 사업 매출(2조3746억원)이 전년 동기보다 3% 감소했지만, 가격이 비싼 프레스티지석 판매가 늘어 수익성이 개선됐다. 국제유가 하락으로 연료비가 전년보다 17% 줄어든 것도 영향을 미쳤다. 4분기 화물 사업 매출(1조1980억원)은 알리, 테무, 쉬인 등 중국발(發) 전자상거래 물동량 확대에 힘입어 9% 증가했다. 대한항공은 올 1분기 여객 부문이 호조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김보형 기자
SK케미칼은 지난해 별도 기준 매출 1조3405억원, 영업이익 1111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공시했다. 전년과 비교해 매출은 8.7%, 영업이익은 30% 늘어났다. SK케미칼이 2017년 사업회사로 분할된 이후 최대 실적이다. 실적이 좋아진 배경으로는 코폴리에스터가 꼽힌다. 코폴리에스터는 환경호르몬이 검출되지 않는 재생 플라스틱 소재로, 유리처럼 투명하고 광택이 나면서도 가볍고 튼튼해 전자부품·건축자재·광학필름 등 수요가 커지고 있다. SK케미칼은 세계 코폴리에스터 시장의 4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강석호 SK케미칼 경영지원본부장은 “그동안 범용 소재 사업을 정리하고 코폴리에스터 등 스페셜티 소재를 중심으로 사업을 재편한 것이 불황 속에서도 실적 상승으로 이어졌다”고 밝혔다.김진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