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에서 특강한 세계적 자동차 디자이너들 "슈퍼카 디자인도 안전이 최우선이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3명의 거장 이례적 합동 강연
현대차 '디자인 경영' 되새겨
현대차 '디자인 경영' 되새겨
피터 스티븐스 영국왕립예술학교 초빙교수, 이탈리아 자동차 디자인업체 그란스튜디오의 로위 버미쉬 대표(CEO) 겸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프리랜서 자동차 디자이너 사이먼 콕스….
세계에서 손꼽히는 슈퍼카 디자인 거장들이다. 이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지난 11일 서울 양재동 현대자동차그룹 본사에서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열린 강연장에서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이번 자리는 정몽구 회장 등 경영진이 그동안 강조해 온 디자인 경영을 거장들의 강연을 통해 되새겨보자는 취지로 마련한 것”이라며 “기업인이나 경제학자 등이 강연한 적은 있지만 슈퍼카 디자인 전문가들이 한꺼번에 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슈퍼카 디자인계의 대부로 불리는 스티븐스 교수는 첫 강연자로 나서 디자인 테스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슈퍼카에서는 안전을 위한 충분한 디자인 테스트가 필수”라며 “맥라렌 F1은 본격적인 디자인에 착수하기 전 공기역학 등을 먼저 고려한 뒤 세부 디자인에 들어갔다”고 말했다.
스티븐스 교수는 영국 슈퍼카 브랜드인 맥라렌, 스포츠카 전문 브랜드인 로터스 등에서 수석 디자이너로 활동했다. 맥라렌 ‘F1’, 로터스 엘란 ‘M100’ 등이 그의 손을 거쳤다.
2010년 가장 영향력 있는 글로벌 자동차 디자이너 25인 중 한 명으로 꼽혔던 버미쉬 대표는 슈퍼카 디자인의 핵심 요소로 현실성과 융합 등을 꼽았다. 그는 “슈퍼카는 일반도로에서도 안전하도록 공기 흐름을 고려한 현실적인 스케치 작업을 해야 한다”며 “디자인 역할은 단순한 퍼포먼스가 아니라 경계를 계속 확장해 나가는 것”이라고 했다.
버미쉬 대표는 F1 스타인 미하엘 슈마허가 제작에 참여한 페라리의 대표작 ‘458 이탈리아’를 디자인한 것으로 유명하다. 이탈리아 프리미엄 브랜드 마세라티의 ‘그란카브리오’, ‘버드케이지’ 등의 디자인도 주도했다.
유명 프리랜서 자동차 디자이너인 콕스는 강연에서 “기술과 기능이 차량의 형태를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디자인이 기능을 뒷받침해야 한다”는 평소 지론을 전했다. 그는 미국 프리미엄 브랜드인 캐딜락의 고성능 스포츠 콘셉트카 ‘시엔’, 인피니티의 ‘Q30’ 등을 직접 디자인한 인물이다.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
세계에서 손꼽히는 슈퍼카 디자인 거장들이다. 이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지난 11일 서울 양재동 현대자동차그룹 본사에서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열린 강연장에서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이번 자리는 정몽구 회장 등 경영진이 그동안 강조해 온 디자인 경영을 거장들의 강연을 통해 되새겨보자는 취지로 마련한 것”이라며 “기업인이나 경제학자 등이 강연한 적은 있지만 슈퍼카 디자인 전문가들이 한꺼번에 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슈퍼카 디자인계의 대부로 불리는 스티븐스 교수는 첫 강연자로 나서 디자인 테스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슈퍼카에서는 안전을 위한 충분한 디자인 테스트가 필수”라며 “맥라렌 F1은 본격적인 디자인에 착수하기 전 공기역학 등을 먼저 고려한 뒤 세부 디자인에 들어갔다”고 말했다.
스티븐스 교수는 영국 슈퍼카 브랜드인 맥라렌, 스포츠카 전문 브랜드인 로터스 등에서 수석 디자이너로 활동했다. 맥라렌 ‘F1’, 로터스 엘란 ‘M100’ 등이 그의 손을 거쳤다.
2010년 가장 영향력 있는 글로벌 자동차 디자이너 25인 중 한 명으로 꼽혔던 버미쉬 대표는 슈퍼카 디자인의 핵심 요소로 현실성과 융합 등을 꼽았다. 그는 “슈퍼카는 일반도로에서도 안전하도록 공기 흐름을 고려한 현실적인 스케치 작업을 해야 한다”며 “디자인 역할은 단순한 퍼포먼스가 아니라 경계를 계속 확장해 나가는 것”이라고 했다.
버미쉬 대표는 F1 스타인 미하엘 슈마허가 제작에 참여한 페라리의 대표작 ‘458 이탈리아’를 디자인한 것으로 유명하다. 이탈리아 프리미엄 브랜드 마세라티의 ‘그란카브리오’, ‘버드케이지’ 등의 디자인도 주도했다.
유명 프리랜서 자동차 디자이너인 콕스는 강연에서 “기술과 기능이 차량의 형태를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디자인이 기능을 뒷받침해야 한다”는 평소 지론을 전했다. 그는 미국 프리미엄 브랜드인 캐딜락의 고성능 스포츠 콘셉트카 ‘시엔’, 인피니티의 ‘Q30’ 등을 직접 디자인한 인물이다.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