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립 8주년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이해긍 센터장 "기업가 정신 돋우는 게 '생산적 복지'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흔히 장애인 복지라 하면 일회성 지원만을 생각합니다. 이젠 장애인들이 기업가 정신을 갖고 스스로 경제 활동의 주체가 되는 ‘생산적 복지’의 활성화가 필요합니다.”
이해긍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센터장(사진)은 최근 서울 영등포구에 있는 사무실에서 기자와 만나 이같이 말했다. 이 센터장은 선천적으로 두 손이 기형인 장애등급 3급 장애인이다. 서울대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하고 현대사회연구소 상임연구원, 한국국제관계연구소 책임연구원, 한국장애인개발원 위촉연구원 등을 지낸 뒤 2011년부터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장으로 근무 중이다.
장애인 기업이란 장애인이 대표로 있는 기업을 총칭한다. 지난해 기준 약 3만9000개가 있으며 이 가운데 88%가 소상공인이다.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는 2008년 중소기업청 산하 공공기관으로 설립됐다. 전국에 16개 지역센터와 132개 장애인창업보육실을 운영하며 창업점포 지원과 지원금 제공, 재무 유통 법률 등 10여개 분야 컨설팅을 시행 중이다.
이 센터장은 “지원 기업을 선정할 때 가장 중요한 기준은 창업자의 의지와 사업 성공 가능성”이라며 “정부 지원금도 빚인 만큼 ‘공돈 타내기 위해 회사 하나 세운다’는 마음으로 하려는 사람을 가려내기 위해 노력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장애인 기업은 초기엔 지원에 의존하지만, 결국 비장애인이 운영하는 기업과 대등하게 경쟁해야 하는 순간이 온다”며 “실적과 자금조달, 경영 투명성 등 객관적 기준 앞에선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 간극이 의미가 없어진다”고 덧붙였다.
그는 “장애인기업활동촉진법이 제정된 지 11년째가 됐고,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의 체계도 어느 정도 자리가 잡혔다”며 “이젠 ‘스타 장애인 기업’이 나올 때가 됐다”고 말했다.
“센터에서 지원받은 뒤 안정적으로 기업을 경영하고 있는 장애인 기업 대표 중 예비창업인의 멘토 역할을 자청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이들이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면 크게 성공하는 장애인 기업이 많이 나올 것으로 봅니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
이해긍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센터장(사진)은 최근 서울 영등포구에 있는 사무실에서 기자와 만나 이같이 말했다. 이 센터장은 선천적으로 두 손이 기형인 장애등급 3급 장애인이다. 서울대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하고 현대사회연구소 상임연구원, 한국국제관계연구소 책임연구원, 한국장애인개발원 위촉연구원 등을 지낸 뒤 2011년부터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장으로 근무 중이다.
장애인 기업이란 장애인이 대표로 있는 기업을 총칭한다. 지난해 기준 약 3만9000개가 있으며 이 가운데 88%가 소상공인이다.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는 2008년 중소기업청 산하 공공기관으로 설립됐다. 전국에 16개 지역센터와 132개 장애인창업보육실을 운영하며 창업점포 지원과 지원금 제공, 재무 유통 법률 등 10여개 분야 컨설팅을 시행 중이다.
이 센터장은 “지원 기업을 선정할 때 가장 중요한 기준은 창업자의 의지와 사업 성공 가능성”이라며 “정부 지원금도 빚인 만큼 ‘공돈 타내기 위해 회사 하나 세운다’는 마음으로 하려는 사람을 가려내기 위해 노력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장애인 기업은 초기엔 지원에 의존하지만, 결국 비장애인이 운영하는 기업과 대등하게 경쟁해야 하는 순간이 온다”며 “실적과 자금조달, 경영 투명성 등 객관적 기준 앞에선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 간극이 의미가 없어진다”고 덧붙였다.
그는 “장애인기업활동촉진법이 제정된 지 11년째가 됐고,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의 체계도 어느 정도 자리가 잡혔다”며 “이젠 ‘스타 장애인 기업’이 나올 때가 됐다”고 말했다.
“센터에서 지원받은 뒤 안정적으로 기업을 경영하고 있는 장애인 기업 대표 중 예비창업인의 멘토 역할을 자청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이들이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면 크게 성공하는 장애인 기업이 많이 나올 것으로 봅니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