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장 소집한 진웅섭 금감원장 "구조조정 과감·신속하게…대주주·노조도 고통분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은행장 소집한 진웅섭 금감원장 "구조조정 과감·신속하게…대주주·노조도 고통분담"](https://img.hankyung.com/photo/201604/AA.11563885.1.jpg)
진 원장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신한, 국민, KEB하나, 우리, 농협 등 9개 은행장과 간담회를 한 자리에서 “대주주의 소극적 자세와 노조의 집단행동 등으로 구조조정의 적기를 놓쳐서는 안 된다”며 “타이밍을 놓치지 말고 과감하고 신속하게 구조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채권은행들은 새 기업구조조정촉진법(기촉법)을 토대로 과감하고 신속한 구조조정을 해달라”고 주문했다.
진 원장이 은행장들과 간담회를 한 것은 지난해 10월 말 이후 6개월 만으로, 이 자리에는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 겸 국민은행장, 조용병 신한은행장, 함영주 KEB하나은행장, 이광구 우리은행장, 권선주 기업은행장, 이경섭 농협은행장, 성세환 BNK금융지주 회장 겸 부산은행장, 박인규 DGB금융 회장 겸 대구은행장, 김한 JB금융 회장 겸 광주은행장 등이 참석했다. 앞서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공급과잉업종과 취약업종 구조조정을 더는 미룰 수 없다”며 기업 구조조정을 직접 챙기겠다는 뜻을 밝혔다.
진 원장은 간담회에서 새 기촉법에 명시된 ‘공평한 손실 분담의 원칙’을 강조했다. 그는 “기업개선 계획에는 대주주 등 해당기업 부실에 책임을 질 사람들의 손실분담 방안이 포함돼야 한다”며 “구조조정 과정에서 대기업의 무책임한 ‘꼬리 자르기’도 근절돼야 한다”고 말했다. 채권은행이 주도권을 잡고 원칙을 세운 뒤 구조조정에 나서라는 의미로 금융권은 해석했다.
진 원장은 또 오는 7월 구조조정 대상 대기업 선정과 관련해 “만성적 한계기업이나 경영개선계획을 이행하지 않는 기업 등은 엄정하게 평가해달라”고 당부했다.
진 원장은 이날 가계대출에 대한 리스크 관리도 강화해달라고 은행장들에게 주문했다. 지난 1~3월 은행의 가계대출 증가 규모는 9조9000억원으로 작년 1분기 9조7000억원에 비해 2000억원이 더 많았다. 진 원장은 “가계부채 증가속도가 소득 증가속도를 지속적으로 웃돌고 있다”며 “가계부채를 분할상환과 고정금리를 중심으로 바꿀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달라”고 말했다.
김일규 기자 black041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