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경제가 지우마 호세프 대통령(사진) 탄핵에도 침체 국면을 벗어나기 어려울 것이라는 예상에 힘이 실리고 있다. 재정 건전성을 높이는 개혁과 경제주체의 신뢰를 만회하려는 노력이 뒤따르지 않는 한 누가 대통령이 되든 침체한 경제를 되살리기 쉽지 않다는 분석이다.

18일(현지시간) 브라질 일간지 폴랴 지 상파울루 등에 따르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무디스, 피치 등 3대 국제신용평가사는 “호세프 대통령의 탄핵 여부와 관계없이 브라질 경제가 침체기에서 벗어나려면 최소한 2018년까지는 기다려야 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3대 국제신용평가사는 지난해 말부터 브라질의 국가신용등급을 투기등급으로 강등했다. 브라질은 지난해 -3.8%로 25년 만에 최악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했고, 지난해 11월부터 올초까지 실업률은 9.5%로 전년 동기의 6.8%에 비해 고용 환경이 크게 악화했다.

신용평가사는 경제침체로 세수가 줄어드는 반면 과도한 정부지출로 기초재정수지(국채에 대한 이자 지급 제외)가 2014년부터 올해까지 3년 연속 적자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에서 부정적 전망에 힘을 실었다.

브라질의 올해 1~2월 세수는 2184억헤알로 집계돼 지난해 같은 기간의 2392억헤알(약 75조원)보다 8.7% 감소했다. 브라질의 공공지출은 국내총생산(GDP)의 41%로 신흥국 중 최대 수준이며 독일이나 노르웨이 등 유럽 부국과 맞먹는다. 이 같은 상황에서 브라질 정부는 대출 확대, 지방정부와의 부채 재협상 등을 모색하고 있다. 정부가 탄핵 위기에 빠진 호세프 대통령을 지키려고 재정적자를 늘리고 있다는 지적이다.

탄핵 절차가 진행될수록 기대와 달리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견해도 나온다. 폴랴 지 상파울루는 하원의 탄핵안 가결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부각된 측면이 있다며 회복 시점이 내년으로 미뤄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구스타부 로욜라 전 브라질중앙은행 총재도 “(정치적 불안으로) 경제주체들의 신뢰가 느리게 회복될 수 있다”며 “지금 상황이 계속되면 브라질은 앞으로 2년 이상의 심한 경제침체를 겪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전문가들은 호세프 대통령이 탄핵되더라도 브라질 경제 구조를 민영화하고 노동 유연화, 물가 연동 연금제 철폐 등의 조치를 통해 좀 더 개방된 경제로 이끌려는 노력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박진우 기자 jw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