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국내외 투자유치 잇단 무산 '비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독일 바스프, 1조 투자 보류…일본 기업, 호텔 건립 무산
SK에너지·종합화학, 석유화학설비 고도화 철회
글로벌 경기침체 영향
SK에너지·종합화학, 석유화학설비 고도화 철회
글로벌 경기침체 영향
울산시와 약속한 외국 기업이 투자를 포기하거나 울산공단 내 입주 기업이 투자를 철회하는 등 울산 경제에 비상이 걸렸다. 경기 침체가 지속되자 투자를 약속한 국내외 기업들이 이달 들어 신규 투자 계획을 잇따라 거둬들이고 있어 울산시의 투자유치 계획이 차질을 빚고 있다. 울산시는 2014년 3조723억원, 지난해 3조3760억원을 유치했지만 올 들어 3월 말까지 전년 동기 대비 18%가량 줄어든 6932억원의 투자를 유치하는 데 그쳤다.
울산시는 김기현 시장을 단장으로 오는 25일부터 다음달 2일까지 유럽과 일본을 방문하기로 한 투자유치 일정을 현지 사정으로 취소한다고 21일 발표했다. 김 시장은 당초 세계적 화학기업인 독일 바스프그룹을 방문해 SKC 울산PO(산화프로필렌) 공장 증설에 대한 1조원대 투자유치 업무협약을 체결할 예정이었다. 시 관계자는 “바스프 측의 보류 요청으로 업무협약 일정이 취소됐다”고 설명했다. 울산에 비즈니스호텔을 짓기로 한 일본의 대형 호텔그룹인 A사도 자금조달 어려움 등을 이유로 포기했다. 시와 A사가 지난해 10월 맺은 양해각서(MOU)에 따르면 A사는 수백억원을 투자해 300~350실 규모의 비즈니스호텔을 짓고 직원 모두를 울산 시민으로 채용하기로 했다.
이뿐만이 아니다. 국내 대기업들도 당초 울산공단에 투자하기로 한 계획을 철회하고 있다. SK에너지와 SK종합화학은 최근 중국과 중동 등에서의 석유화학설비 신설·가동에 따른 채산성 악화로 울산공단 내 고도화 석유화학설비 건설 계획을 취소했다. SK에너지는 2010년 울산 용연동 47만7609㎡ 부지에 석유 관련 정제시설을 2018년 말까지 짓기로 하고 시행자 지정 및 실시계획 승인까지 받았다. 이 부지는 SK에너지가 2008년 5월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존 공장과 인접한 곳에 고도화 시설을 증설하겠다며 시에 자연녹지를 산업용지로 지정해 달라고 요청한 곳이다. 시는 당시 공해차단녹지를 훼손한다는 우려에도 환경부 등 정부 관련 부처를 설득해 2010년 10월 산업단지 개발사업 시행자 지정과 실시계획을 승인받았다. 시 관계자는 “SK 측에 수차례에 걸쳐 사업 철회를 만류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석유화학 분야의 경영난이 예상외로 심각한 것 같다”고 말했다.
SK종합화학도 부곡동 43만6862㎡ 부지에 에틸렌과 프로필렌 생산시설을 2018년 말까지 짓기로 한 계획을 거둬들였다. 울산시는 SK와 삼성SDI, LG 등 울산에 사업장을 둔 상당수 대기업이 울산 투자 확대보다는 중국 등 해외 신산업 투자를 강도 높게 진행하고 있다는 점에 긴장하고 있다.
전영도 울산상공회의소 회장은 “기업에 대한 규제 완화와 유연한 노동생산성 확보 등을 통해 울산공단 내 투자 여건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국내는 물론 해외 기업의 투자를 지속적으로 유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울산=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
울산시는 김기현 시장을 단장으로 오는 25일부터 다음달 2일까지 유럽과 일본을 방문하기로 한 투자유치 일정을 현지 사정으로 취소한다고 21일 발표했다. 김 시장은 당초 세계적 화학기업인 독일 바스프그룹을 방문해 SKC 울산PO(산화프로필렌) 공장 증설에 대한 1조원대 투자유치 업무협약을 체결할 예정이었다. 시 관계자는 “바스프 측의 보류 요청으로 업무협약 일정이 취소됐다”고 설명했다. 울산에 비즈니스호텔을 짓기로 한 일본의 대형 호텔그룹인 A사도 자금조달 어려움 등을 이유로 포기했다. 시와 A사가 지난해 10월 맺은 양해각서(MOU)에 따르면 A사는 수백억원을 투자해 300~350실 규모의 비즈니스호텔을 짓고 직원 모두를 울산 시민으로 채용하기로 했다.
이뿐만이 아니다. 국내 대기업들도 당초 울산공단에 투자하기로 한 계획을 철회하고 있다. SK에너지와 SK종합화학은 최근 중국과 중동 등에서의 석유화학설비 신설·가동에 따른 채산성 악화로 울산공단 내 고도화 석유화학설비 건설 계획을 취소했다. SK에너지는 2010년 울산 용연동 47만7609㎡ 부지에 석유 관련 정제시설을 2018년 말까지 짓기로 하고 시행자 지정 및 실시계획 승인까지 받았다. 이 부지는 SK에너지가 2008년 5월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존 공장과 인접한 곳에 고도화 시설을 증설하겠다며 시에 자연녹지를 산업용지로 지정해 달라고 요청한 곳이다. 시는 당시 공해차단녹지를 훼손한다는 우려에도 환경부 등 정부 관련 부처를 설득해 2010년 10월 산업단지 개발사업 시행자 지정과 실시계획을 승인받았다. 시 관계자는 “SK 측에 수차례에 걸쳐 사업 철회를 만류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석유화학 분야의 경영난이 예상외로 심각한 것 같다”고 말했다.
SK종합화학도 부곡동 43만6862㎡ 부지에 에틸렌과 프로필렌 생산시설을 2018년 말까지 짓기로 한 계획을 거둬들였다. 울산시는 SK와 삼성SDI, LG 등 울산에 사업장을 둔 상당수 대기업이 울산 투자 확대보다는 중국 등 해외 신산업 투자를 강도 높게 진행하고 있다는 점에 긴장하고 있다.
전영도 울산상공회의소 회장은 “기업에 대한 규제 완화와 유연한 노동생산성 확보 등을 통해 울산공단 내 투자 여건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국내는 물론 해외 기업의 투자를 지속적으로 유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울산=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