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역조건 호조세 지속…수입가격 급속 하락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우리나라의 수출가격보다 수입가격이 더 많이 떨어지면서 3월 소득교역조건지수가 역대 최고를 기록하는 등 교역여건의 호전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2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소득교역조건지수는 150.46으로 지난해 같은 달(138.74)보다 8.4% 상승하면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소득교역조건지수는 수출총액으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을 지수로 만든 것으로 종전 최고 기록은 작년 10월의 146.14였다.
수출물량 1단위의 수출대금으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을 지수로 만든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3월 104.01로 작년 같은 달보다 5.1% 올랐다. 이는 2009년 8월(104.09) 이후 6년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처럼 교역조건이 개선된 것은 수입가격이 15.5%나 내려 수출가격의 하락률 11.1%를 넘어선 데 따른 것이다.
3월 수출물량지수는 144.66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3.2% 오르면서 종전 역대 최고였던 작년 10월의 143.97을 넘어 역대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하지만 수출금액지수는 113.28로 작년 동기대비 8.3% 떨어졌다.
3월 수입물량지수는 124.45로 1.4% 상승한 반면 수입금액지수는 93.70으로 14.3%나 급락했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bky@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2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소득교역조건지수는 150.46으로 지난해 같은 달(138.74)보다 8.4% 상승하면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소득교역조건지수는 수출총액으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을 지수로 만든 것으로 종전 최고 기록은 작년 10월의 146.14였다.
수출물량 1단위의 수출대금으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을 지수로 만든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3월 104.01로 작년 같은 달보다 5.1% 올랐다. 이는 2009년 8월(104.09) 이후 6년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처럼 교역조건이 개선된 것은 수입가격이 15.5%나 내려 수출가격의 하락률 11.1%를 넘어선 데 따른 것이다.
3월 수출물량지수는 144.66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3.2% 오르면서 종전 역대 최고였던 작년 10월의 143.97을 넘어 역대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하지만 수출금액지수는 113.28로 작년 동기대비 8.3% 떨어졌다.
3월 수입물량지수는 124.45로 1.4% 상승한 반면 수입금액지수는 93.70으로 14.3%나 급락했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bky@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