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투자비중 65대 35로 하면 7년간 운용수익 54조 추가 발생
43 대 56으로 돼 있는 국민연금기금의 주식(대체투자 포함)과 채권투자 비중을 글로벌 시장 자산분포 비율(65 대 35)로만 조정해도 기금 운용 수익률을 연평균 2.26%포인트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전체 수익 규모로 따지면 7년간 54조원에 이르는 액수다. 보건복지부와 국민연금 기금운용위원회(최고의사결정기구)가 오는 6월 국민연금기금의 전략적 자산배분을 결정할 때 주요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채권에 지나치게 편중된 자산

원종욱 보건사회연구원 연금센터장(사진)은 26일 보건사회연구원이 발간하는 월간지 보건복지포럼에 ‘국민연금기금 운용 수익률 제고와 기금관리체계 개선’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원 센터장은 기금운용위원회를 실무적으로 뒷받침하는 국민연금기금운용실무평가위원회의 부위원장과 기금운용위원회 자문기구인 투자정책위원회 위원장을 겸직하는 국민연금 최고 전문가로 평가받는다.
국민연금 투자비중 65대 35로 하면 7년간 운용수익 54조 추가 발생
보고서는 “현행 국민연금 운용체계의 가장 큰 문제는 가입자들이 납부해야 할 보험료 수준과 기금 운용 수익률이 전혀 연계되지 않는 점”이라며 “(사회적인 합의를 이루지 못해) 국민연금의 재정목표가 합리적으로 수립되지 않으면 시장 중립적(평균) 자산 배분안이 가장 바람직한 기준선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사회적 합의를 통해 적정한 재정 목표와 보험료 수준을 결정하기 전까지 전략적 자산 배분안을 글로벌 시장에서 투자할 수 있는 자산 규모를 기준으로 결정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보건사회연구원이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와 바클레이즈 채권지수 등 글로벌 지수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전 세계 투자가능 주식과 채권 규모는 각각 38조7600억달러와 21조1700억달러로 집계됐다. 비중으로 따지면 대략 64.7 대 35.3이다.

이런 비중은 선진 연기금으로 평가받는 캐나다연금투자위원회(CPPIB) 기금이사회가 정한 변동성 자산(주식)과 안정성 자산(채권)의 자산배분 목표 비중(65 대 35)과 비슷하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캘리포니아주공무원연금(CalPERS)은 이 비율이 74.7 대 25.3에 이른다.

반면 국민연금은 2015년 말 기준 43.3 대 56.7로 안정성 자산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구조다.

연금 수익률 올려야 고갈 시점 연장

보고서가 국민연금의 변동성 자산과 안정성 자산 비중을 65 대 35로 가정해 과거 수익률을 다시 계산한 결과 2009년부터 2015년까지 7년간 국민연금의 운용 수익률은 연평균 2.26%포인트(35%) 높아진 8.56%로 집계됐다. 7년간 연평균 7조7000억원씩 총 54조원의 운용 수익을 추가할 수 있었던 것이다. 다만 투자자산의 변동성이 컸던 글로벌 금융위기까지 포함해 9년간(2007~2015년) 수익률을 계산하면 실제 연 평균 수익률(5.64%)보다 0.5%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 센터장은 “통상적으로 전략적 자산 배분이 기금운용 수익률의 90% 이상을 결정한다”며 “자산 포트폴리오를 시장 평균 수준으로만 바꿔도 추가 운용 수익을 거둘 수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연금 고갈 시점(2060년)까지 운용 수익률을 연평균 1%씩 높이면 고갈 시점을 약 7년간 연장할 수 있다.

보고서는 국민연금의 전략적 자산배분을 최종 결정하는 보건복지부와 기금운용위원회에 대해 “엄밀히 말해 현행 관리체계하에서 (전략적 자산배분에 대한 책임을 지는) 기금운용위원회가 위험(변동성) 자산 비중을 결정한다고 보기가 어렵다”며 “자신들이 어떤 결정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정확한 이해가 부족하다”며 꼬집었다.

좌동욱 기자 leftk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