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ABCP·부동산·특별자산펀드 집중 점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5대 중점점검 사항 사전 예고
금융당국이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과 부동산·특별자산펀드 등의 쏠림현상을 올해 중점적으로 검사하기로 했다.
금융감독원은 ‘2016년 금융투자회사 5대 중점검사 사항’을 28일 사전 예고했다. 증권사와 자산운용사의 내부통제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는지를 비롯해 파생결합증권(ELS) 등 복합금융상품 운용, 우발채무 등 잠재리스크 관리,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등 일임계약 관리, 임직원들의 불법 이익편취 여부가 포함됐다.
건전성 관리 차원에서 ELS와 ABCP 등 구조화증권이 나온 이후 발행·판매·운용되는 전 과정을 들여다 볼 예정이다. 지난해 ELS의 불완전판매 가능성을 점검한 데 이어 올해는 상품이 설계될 때부터 전 과정이 적정하게 이뤄지는지 검사하겠다는 의미라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구조화증권은 내부통제시스템이 잘 구축돼 있는지, 익스포저(위험노출액) 등 위험관리가 제대로 이뤄지는지를 점검할 계획이다. 지난해 10월 기준 구조화증권 발행 잔액은 283조원으로 2014년 말 231조원에서 22% 증가했다.
지난해 말부터 지속적으로 문제가 제기됐던 증권사의 부동산 관련 우발채무와 운용사의 부동산·특별자산펀드도 중점검사 대상이다. 우발채무는 채무보증 한도 설정과 쏠림방지 등 리스크 관리 실태를, 부동산·특별자산펀드는 자산을 사고파는 과정의 적정성과 사후관리 실태를 집중적으로 보기로 했다.
ISA 도입으로 증권·은행 간 과열경쟁 우려가 커지고 있는 일임계약에 관해서도 적합성 원칙, 설명의무 준수, 불건전 행위 방지 등을 위한 내부통제가 제대로 이뤄지는지 점검한다. 민병현 부원장보는 “준법감시 및 감사업무를 소홀히 하는 등 자체 개선노력이 부족한 회사들에는 엄중한 책임을 물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은 금융투자회사가 스스로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사전예고제를 시행하고 있다.
이유정 기자 yjlee@hankyung.com
금융감독원은 ‘2016년 금융투자회사 5대 중점검사 사항’을 28일 사전 예고했다. 증권사와 자산운용사의 내부통제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는지를 비롯해 파생결합증권(ELS) 등 복합금융상품 운용, 우발채무 등 잠재리스크 관리,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등 일임계약 관리, 임직원들의 불법 이익편취 여부가 포함됐다.
건전성 관리 차원에서 ELS와 ABCP 등 구조화증권이 나온 이후 발행·판매·운용되는 전 과정을 들여다 볼 예정이다. 지난해 ELS의 불완전판매 가능성을 점검한 데 이어 올해는 상품이 설계될 때부터 전 과정이 적정하게 이뤄지는지 검사하겠다는 의미라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구조화증권은 내부통제시스템이 잘 구축돼 있는지, 익스포저(위험노출액) 등 위험관리가 제대로 이뤄지는지를 점검할 계획이다. 지난해 10월 기준 구조화증권 발행 잔액은 283조원으로 2014년 말 231조원에서 22% 증가했다.
지난해 말부터 지속적으로 문제가 제기됐던 증권사의 부동산 관련 우발채무와 운용사의 부동산·특별자산펀드도 중점검사 대상이다. 우발채무는 채무보증 한도 설정과 쏠림방지 등 리스크 관리 실태를, 부동산·특별자산펀드는 자산을 사고파는 과정의 적정성과 사후관리 실태를 집중적으로 보기로 했다.
ISA 도입으로 증권·은행 간 과열경쟁 우려가 커지고 있는 일임계약에 관해서도 적합성 원칙, 설명의무 준수, 불건전 행위 방지 등을 위한 내부통제가 제대로 이뤄지는지 점검한다. 민병현 부원장보는 “준법감시 및 감사업무를 소홀히 하는 등 자체 개선노력이 부족한 회사들에는 엄중한 책임을 물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은 금융투자회사가 스스로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사전예고제를 시행하고 있다.
이유정 기자 yj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