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 국제유가 급등에 큰 폭 상승…다우 1.26%↑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국 증시가 국제유가 급등 영향에 큰 폭으로 상승했다.
10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222.44포인트(1.26%) 상승한 17,928.35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날보다 25.70포인트(1.25%) 오른 2084.39에 마감했고, 나스닥지수도 59.67포인트(1.26%) 상승한 4809.88로 종료됐다.
이날 유가 급등과 함께 상승 출발한 지수는 장 내내 강세를 이어갔다.
원유 공급 과잉 우려가 완화되며 유가가 급등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6월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1.22달러(2.8%) 상승한 44.66달러에 마쳤다. 유가는 캐나다와 나이지리아 등의 원유 생산감소가 세계 공급 과잉 우려를 완화한 데 따라 강세를 나타냈다.
달러화 대비 엔화 약세도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아소 다로 일본 부총리 겸 재무상은 엔화 가치가 한 방향으로 쏠리면 정부가 개입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강조해 엔화 가치 하락을 이끌었다.
업종별로는 에너지업종과 산업업종, 소재업종 등이 1.7% 이상 강세를 나타냈다. 이외에도 금융업종과 기술업종, 통신업종이 1% 넘게 상승하는 등 전 업종이 일제히 올랐다.
다우지수 구성 종목 중에서는 캐터필러가 2.4% 강세를 보였고, 엑손모빌과 셰브런도 각각 1.6%와 0.9% 상승했다.
종목별로는 아마존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샌포드 번스타인이 아마존 목표주가를 1000달러로 제시한 데 따라 ‘사자’가 밀려들었다. 이날 아마존 주가는 장 후반 3% 이상 급등하며 700달러 선을 넘었다.
골드만 삭스가 2.4% 뛰었고, 보잉도 2% 가량 상승 탄력을 받았다. 반면 화이자와 월마트는 각각 0.2%와 0.4% 떨어졌다. 의류 업체 갭 역시 실적 저하를 악재로 12% 폭락했고, 부정 대출로 물의를 일으킨 렌딩클럽도 10% 이상 밀렸다.
김아름 한경닷컴 기자 armijjang@hankyung.com
10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222.44포인트(1.26%) 상승한 17,928.35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날보다 25.70포인트(1.25%) 오른 2084.39에 마감했고, 나스닥지수도 59.67포인트(1.26%) 상승한 4809.88로 종료됐다.
이날 유가 급등과 함께 상승 출발한 지수는 장 내내 강세를 이어갔다.
원유 공급 과잉 우려가 완화되며 유가가 급등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6월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1.22달러(2.8%) 상승한 44.66달러에 마쳤다. 유가는 캐나다와 나이지리아 등의 원유 생산감소가 세계 공급 과잉 우려를 완화한 데 따라 강세를 나타냈다.
달러화 대비 엔화 약세도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아소 다로 일본 부총리 겸 재무상은 엔화 가치가 한 방향으로 쏠리면 정부가 개입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강조해 엔화 가치 하락을 이끌었다.
업종별로는 에너지업종과 산업업종, 소재업종 등이 1.7% 이상 강세를 나타냈다. 이외에도 금융업종과 기술업종, 통신업종이 1% 넘게 상승하는 등 전 업종이 일제히 올랐다.
다우지수 구성 종목 중에서는 캐터필러가 2.4% 강세를 보였고, 엑손모빌과 셰브런도 각각 1.6%와 0.9% 상승했다.
종목별로는 아마존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샌포드 번스타인이 아마존 목표주가를 1000달러로 제시한 데 따라 ‘사자’가 밀려들었다. 이날 아마존 주가는 장 후반 3% 이상 급등하며 700달러 선을 넘었다.
골드만 삭스가 2.4% 뛰었고, 보잉도 2% 가량 상승 탄력을 받았다. 반면 화이자와 월마트는 각각 0.2%와 0.4% 떨어졌다. 의류 업체 갭 역시 실적 저하를 악재로 12% 폭락했고, 부정 대출로 물의를 일으킨 렌딩클럽도 10% 이상 밀렸다.
김아름 한경닷컴 기자 armij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