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발전속도 너무 빨라…규격화된 일자리 사라질 것
젊었을 때 창업 실패는 미래의 성공 위한 밑거름
자문위원들은 반도체, 자동차, 조선, 철강, 석유화학 등 제조업 중심의 성장전략이 한계에 봉착했다는 데 한목소리를 냈다. ‘인구절벽’까지 겹쳐 ‘일자리 대란’이 올 것이라는 전망이 이어졌다.
박영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원장은 “구글의 인공지능 알파고와 이세돌의 바둑 대결로 잘 알려진 인공지능 기술이 만개하면서 앞으로 직업 몇만개가 사라질 것이라는 게 각종 싱크탱크의 결론”이라며 “정형화된 일자리는 기계로 대체되겠지만 육체노동이라도 비정형화된 일자리는 살아남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은 “앞으로 10년간 금융 일자리 중 50%가 없어질 것”이라며 “세상은 변하고 있는데 이를 따라잡지 못하면 게임에서 질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이 회장은 “한계를 돌파하려면 청년들이 취업과 창업을 같은 비율로 선택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고 주문했다.
다른 참석자들도 불확실한 미래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창의적인 인재 양성에 초점을 맞춘 교육만이 유일한 대안이라는 데 공감했다.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은 이와 관련해 이스라엘에 갔던 경험담을 들려줬다. “한국은 우수 인재들이 ‘사(士)’자가 들어가는 자격증을 따기 위해 혈안인 데 비해 이스라엘은 똑똑할수록 창업에 나선다”는 것이다.
황선혜 숙명여대 총장은 “비록 거품 논란이 있을지라도 지속적으로 대학 내 창업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 등 선진국에서 성공한 벤처기업가 대부분이 30대 이후에 결실을 맺었다”며 “대학에서 겪는 일종의 창업 실패는 미래의 성공을 위한 훌륭한 밑거름이 된다”고 말했다.
약 10만명에 달하는 외국인 유학생이 한국에서 창업할 수 있는 문화를 조성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영무 한양대 총장은 “한양대는 창업교육 과정인 테크노경영 수업에 중국인 학생들도 참여해 팀을 이루도록 수업을 하고 있다”며 “우리 학생과 외국 학생들이 함께 창업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라고 소개했다. 테크노경영 수업은 1년에 50명씩 총 450명이 수강했으며 이 중 223명이 실제 창업에 도전했다. 이들이 세운 기업의 총 매출은 850억원가량이고 창출한 일자리만 1000여개에 달한다.
태범석 한경대 총장은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교육 방식에 혁신이 필요하다고 했다.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방식으로는 창의형 인재를 기르기 어렵다”는 얘기다. 이에 대해 황 총장은 “숙명여대 영문학과 학생이 서강대에 가서도 영문학 수업을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공유 대학이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동휘/박상용 기자 donghui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