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비기업 퇴출 머뭇거리지 말라"…기업 구조조정 속도 내는 시진핑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생산·재고 줄이는데 최우선"
G7도 공급과잉 대응책 공조
G7도 공급과잉 대응책 공조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사진)이 부실기업 퇴출 등을 골자로 하는 공급 측면의 개혁을 강력하게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거듭 밝혔다.
17일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 주석은 지난 16일 중국 공산당 최고 경제정책결정기구인 중앙재경영도소조회의를 주재하면서 “공급 측면의 개혁은 결연하게 추진해나가야 한다”며 “짐이 무겁다고 기다려서도, 어려움이 많다고 도망가서도, 위험이 있다고 숨어서도, 진통이 있다고 머뭇거려서도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 경제는 다양한 경기순환적·구조적 난제에 직면해 있지만 가장 심각한 것은 공급 측면의 문제”라며 “과잉 생산능력과 재고를 줄이는 데 정책 우선순위를 맞춰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발언은 중국 실물경기 회복세가 4월 들어 주춤해진 가운데 철강 석탄 등 공급과잉 산업의 부실기업 퇴출과 인수합병(M&A) 등을 골자로 한 공급 측면 개혁이 추진 동력을 상실할 것이라는 우려를 겨냥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이 자리에는 경제정책을 책임진 리커창(李克强) 총리가 참석했다는 점에서 그에 대한 질책 의미도 담겼다는 해석이다.
정부의 공급과잉 해소 방침과 별개로 하이신강철 등 일부 중국 철강업체가 최근 생산을 재개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는 보도했다. 부동산시장 활황으로 철강 가격이 20%가량 급등세를 보인 데 따른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미국 일본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 등 주요 7개국(G7)이 오는 26~27일 일본 미에현에서 열리는 정상회의에서 세계적인 공급과잉 문제를 해소하는 공조에 나설 방침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전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사전감독을 강화해 중국의 과잉설비와 정부 보조금 폐지 등을 촉구하는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베이징=김동윤 특파원 oasis93@hankyung.com
17일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 주석은 지난 16일 중국 공산당 최고 경제정책결정기구인 중앙재경영도소조회의를 주재하면서 “공급 측면의 개혁은 결연하게 추진해나가야 한다”며 “짐이 무겁다고 기다려서도, 어려움이 많다고 도망가서도, 위험이 있다고 숨어서도, 진통이 있다고 머뭇거려서도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 경제는 다양한 경기순환적·구조적 난제에 직면해 있지만 가장 심각한 것은 공급 측면의 문제”라며 “과잉 생산능력과 재고를 줄이는 데 정책 우선순위를 맞춰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발언은 중국 실물경기 회복세가 4월 들어 주춤해진 가운데 철강 석탄 등 공급과잉 산업의 부실기업 퇴출과 인수합병(M&A) 등을 골자로 한 공급 측면 개혁이 추진 동력을 상실할 것이라는 우려를 겨냥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이 자리에는 경제정책을 책임진 리커창(李克强) 총리가 참석했다는 점에서 그에 대한 질책 의미도 담겼다는 해석이다.
정부의 공급과잉 해소 방침과 별개로 하이신강철 등 일부 중국 철강업체가 최근 생산을 재개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는 보도했다. 부동산시장 활황으로 철강 가격이 20%가량 급등세를 보인 데 따른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미국 일본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 등 주요 7개국(G7)이 오는 26~27일 일본 미에현에서 열리는 정상회의에서 세계적인 공급과잉 문제를 해소하는 공조에 나설 방침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전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사전감독을 강화해 중국의 과잉설비와 정부 보조금 폐지 등을 촉구하는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베이징=김동윤 특파원 oasis9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