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감동 방송광고 2016] "클럽 입장료로 사는 종목은?"…강렬한 카피로 눈길 끈 '뱅키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증권 부문 광고선호도 TOP3
(1) 한국투자증권
(2) NH투자증권
(3) 현대증권
(1) 한국투자증권
(2) NH투자증권
(3) 현대증권
30대 초반 사원들에게 증권 투자를 권하면 과연 움직임이 있을까. 경제 불황에 먹고살기도 바쁘다. 어떤 분야의 산업도 활성화될 것 같아 보이지 않는다. 아마 30대만의 문제가 아니고, 전 국민에게 해당하는 문제일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투자증권은 뱅키스 광고로 눈에 확 들어오는 전략을 사용했다.
“투자는 가까운 곳에 있다. 지금 클럽 입장료로 살 수 있는 종목은? 서른 살의 플랜 B. 뱅키스.” 짧은 카피로도 많은 의미를 순간적으로 유추할 수 있도록 굵직한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광고를 보고 이해하는 재미가 있다. 전반적으로 초록색을 사용해 색상에 통일감을 줬다. 해시 태그(#남자, #서른)를 활용해 젊은이들의 감각을 잘 살렸다.
목표 대상에 대한 선언적 활용도 눈에 들어온다. 불과 얼마 전까지 수많은 사람을 TV 앞에 꼼짝없이 묶어뒀던 ‘응답하라 1988’의 최종회는 최고 시청률 18.03%를 기록해 케이블 방송 사상 최고 기록을 세웠다. ‘뱅키스’ 광고에선 극 중 ‘동룡’ 역을 맡은 이동휘가 메인 모델로 나온다. 별명이 ‘도롱뇽’이었던 그는 히어로가 아닌 조역으로, 묵묵히 친구들 사이에서 제 역할을 해 큰 사랑을 받았던 캐릭터다.
평범한 우리 일반인에게 그의 선택과 행동은 더 현실적으로 받아들여진다. 모델 선정이 적절해 보이는 이유다. 필자 같은 평범한 일반인은 주인공급의 히어로 캐릭터가 멋진 슈트를 꽉 끼게 입고 나와 모든 것이 가능한 것처럼 화면을 척척 넘기고, 마지막에 멋지게 동전을 휙 던지는 것은 현실적으로 다가오지 않는다. 보기에 홀쭉하게 마르고 참 없어 보이지만 ‘쪼맨한’ 휴대폰으로 주식이 오른 것을 보고 주먹을 불끈 쥐는 모습이 훨씬 더 현실적으로 다가온다.
포기해야 할 것이 많아 3포, 5포, 7포, 9포를 넘어 ‘N포 세대’라고 불리는 요즘 젊은이들에게 ‘서른 살의 플랜 B’는 조그만 희망의 시그널이다. 이런 B플랜에 눈이 갈 수밖에 없는 현실이 마음 아프기도 하다. 이 광고가 왜 서른 살의 남자에게만 소구하고 있는지는 기획자가 아니라 정확히 알 수 없다. 하지만 조금 더 넓은 목표 대상을 설정해도 좋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다.
20대 후반, 직장에 막 입사한 청년이나 젊은 대학생들도 요즘에는 재테크에 관심이 있다고 한다. 정규직 취업이 어렵기 때문에 주식에 일찍 입문하는 청년이 꽤 많다는 것이다. 해시 태그를 떼고 ‘투자가 쉽다. 손안의 주식투자’라고 접근했다면 많은 청년의 관심을 얻을 수 있었을 것 같다. 하지만 ‘목표 대상이 넓다, 혹은 좁다’라는 관심을 받게 된 것만으로도 이 광고가 이미 주목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같은 시리즈 광고인 ‘지금 커피값으로 살 수 있는 주식은?’ 편에서는 ‘웃는 여자는 다 이뻐’라는 노래가 배경음악으로 나온다. 전체적인 광고 분위기와 잘 어울린다. 또 다른 시리즈인 ‘지금 치맥값으로 살 수 있는 대한민국 주식은?’ 편에서 ‘엄마’를 외치는 주인공이 ‘엄마 치킨집’으로 들어가는 상황이 재미있다. 클럽편이 이 시리즈에서 가장 강한 인상을 남기고 있는데, ‘서른 살의 플랜 B’라는 압도적인 카피가 오랫동안 기억에 남기 때문이다. ‘주식투자가 작은 돈으로도 가능하다’는 인상을 남기는 데도 적절했다. 이 세 편의 시리즈 이후 30대 초반의 신규 뱅키스 이용자가 얼마나 늘었는지 궁금하다. 과연 이 광고가 어려운 경제상황을 뚫고 소기의 목적을 달성했을까 알고 싶다.
강두필 < 한동대 언론정보문화학부 교수 >
“투자는 가까운 곳에 있다. 지금 클럽 입장료로 살 수 있는 종목은? 서른 살의 플랜 B. 뱅키스.” 짧은 카피로도 많은 의미를 순간적으로 유추할 수 있도록 굵직한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광고를 보고 이해하는 재미가 있다. 전반적으로 초록색을 사용해 색상에 통일감을 줬다. 해시 태그(#남자, #서른)를 활용해 젊은이들의 감각을 잘 살렸다.
목표 대상에 대한 선언적 활용도 눈에 들어온다. 불과 얼마 전까지 수많은 사람을 TV 앞에 꼼짝없이 묶어뒀던 ‘응답하라 1988’의 최종회는 최고 시청률 18.03%를 기록해 케이블 방송 사상 최고 기록을 세웠다. ‘뱅키스’ 광고에선 극 중 ‘동룡’ 역을 맡은 이동휘가 메인 모델로 나온다. 별명이 ‘도롱뇽’이었던 그는 히어로가 아닌 조역으로, 묵묵히 친구들 사이에서 제 역할을 해 큰 사랑을 받았던 캐릭터다.
평범한 우리 일반인에게 그의 선택과 행동은 더 현실적으로 받아들여진다. 모델 선정이 적절해 보이는 이유다. 필자 같은 평범한 일반인은 주인공급의 히어로 캐릭터가 멋진 슈트를 꽉 끼게 입고 나와 모든 것이 가능한 것처럼 화면을 척척 넘기고, 마지막에 멋지게 동전을 휙 던지는 것은 현실적으로 다가오지 않는다. 보기에 홀쭉하게 마르고 참 없어 보이지만 ‘쪼맨한’ 휴대폰으로 주식이 오른 것을 보고 주먹을 불끈 쥐는 모습이 훨씬 더 현실적으로 다가온다.
포기해야 할 것이 많아 3포, 5포, 7포, 9포를 넘어 ‘N포 세대’라고 불리는 요즘 젊은이들에게 ‘서른 살의 플랜 B’는 조그만 희망의 시그널이다. 이런 B플랜에 눈이 갈 수밖에 없는 현실이 마음 아프기도 하다. 이 광고가 왜 서른 살의 남자에게만 소구하고 있는지는 기획자가 아니라 정확히 알 수 없다. 하지만 조금 더 넓은 목표 대상을 설정해도 좋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다.
20대 후반, 직장에 막 입사한 청년이나 젊은 대학생들도 요즘에는 재테크에 관심이 있다고 한다. 정규직 취업이 어렵기 때문에 주식에 일찍 입문하는 청년이 꽤 많다는 것이다. 해시 태그를 떼고 ‘투자가 쉽다. 손안의 주식투자’라고 접근했다면 많은 청년의 관심을 얻을 수 있었을 것 같다. 하지만 ‘목표 대상이 넓다, 혹은 좁다’라는 관심을 받게 된 것만으로도 이 광고가 이미 주목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같은 시리즈 광고인 ‘지금 커피값으로 살 수 있는 주식은?’ 편에서는 ‘웃는 여자는 다 이뻐’라는 노래가 배경음악으로 나온다. 전체적인 광고 분위기와 잘 어울린다. 또 다른 시리즈인 ‘지금 치맥값으로 살 수 있는 대한민국 주식은?’ 편에서 ‘엄마’를 외치는 주인공이 ‘엄마 치킨집’으로 들어가는 상황이 재미있다. 클럽편이 이 시리즈에서 가장 강한 인상을 남기고 있는데, ‘서른 살의 플랜 B’라는 압도적인 카피가 오랫동안 기억에 남기 때문이다. ‘주식투자가 작은 돈으로도 가능하다’는 인상을 남기는 데도 적절했다. 이 세 편의 시리즈 이후 30대 초반의 신규 뱅키스 이용자가 얼마나 늘었는지 궁금하다. 과연 이 광고가 어려운 경제상황을 뚫고 소기의 목적을 달성했을까 알고 싶다.
강두필 < 한동대 언론정보문화학부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