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은 협상의 연속이다. 정치·경제 등 굵직한 사회적 합의를 위해서만 협상이 이뤄지는 것이 아니다. 협상 테이블은 우리의 일상 속 다양한 영역에서 마련된다. 물건을 사면서 가격을 흥정하는 가정주부도, 자신의 가치를 연봉으로 정해야 하는 직장인도 협상의 무대에 선다. 이때마다 당신은 이기는 협상을 해왔는가. 그렇지 않았다면 전략에 문제가 있었던 건 아닐까. 《하버드 협상 수업》과 《아직도 협상이 어려운가》는 이런 고민을 하는 이들을 위한 책이다.
《하버드 협상 수업》은 130개 사례분석을 통해 협상의 전략을 알려준다. 이 중 비틀스의 사례는 우리가 협상 테이블에서 흔히 저지르는 실수다. 1964년 비틀스의 음악을 다룬 영화 ‘하드 데이즈 나이트’ 제작을 추진할 때였다. 미국예술가연맹은 비틀스의 매니저 브라이언 엡스타인을 만났다. 연맹은 비틀스 측에 2만5000달러의 출연료와 수익의 25% 정도를 지급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협상의 고수인 연맹 측 대표는 이를 숨긴 채 엡스타인에게 원하는 바를 먼저 얘기하라고 했다. 업계 상황을 잘 모르던 엡스타인은 말했다. “수익의 7.5%를 달라. 단 한 푼도 깎을 수 없다.” 계약은 곧바로 체결됐다. 수익의 25%를 받을 수 있었던 비틀스는 수백만달러의 손해를 봤다. 저자는 “상대가 먼저 가격을 제시하기 전까지 자신의 패를 드러내지 않아야 하는 것이 협상의 기본 원칙”이라고 설명했다. 또 자신의 모든 요구 사항을 한번에 쏟아내지 않으며, 사소한 말과 행동조차 가볍게 하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아직도 협상이 어려운가》를 쓴 로렌스 서스킨드는 하버드 로스쿨에서 협상 프로그램을 처음 만든 로스쿨 부학과장이다. 서스킨드는 “협상 조건에 대해 구체적으로 얘기하기 전에 ‘파이’를 키울 생각을 해야 한다”고 말한다. 파이를 키우려면 숨겨진 가치를 찾아내는 것이 관건이다. 협상이 이뤄졌을 때 서로가 얻는 성과를 잘 생각해보고, 생각하지 못했던 가치를 새롭게 발굴하는 것이다. 저자는 “더 많은 가치를 창출할수록 각자에게 돌아가는 몫도 늘어난다”고 강조한다.
패키지 거래를 제안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상대에게 만족스럽고, 당신에겐 더욱 만족스러울 패키지를 준비하는 것이다. ‘만약에…’라는 식의 제안도 효과적이라고 한다. 다양한 상황을 가정하며 이익을 볼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다. 저자는 “조건부 협약은 당신이 얻을 수 있는 몫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려줄 것”이라고 역설했다.
월요일인 10일에도 기온이 영하권으로 떨어지며 한파가 이어지겠다.9일 기상청에 따르면 10일 아침 최저기온은 영하 15도에서 영하 2도 사이를 기록하겠다.낮 최고기온은 0∼7도로 예보됐으나, 바람이 불어 체감온도는 더욱 낮아지겠다.아침까지 제주도에 비 또는 눈이 내리겠고, 다음 날 오전까지 전남 서해안, 충남 서해안, 충남권 북부 내륙, 충북, 전북 서해안에도 가끔 눈이 내리겠다. 9∼10일 예상 적설량은 충남 서해안·전남 서해안·전북 서해안·제주도 중산간·산지 1cm 내외, 세종·충남 북부 내륙·충북 1cm 미만이다. 같은 기간 예상 강수량은 충남 서해안·전남 서해안·전북 서해안 1㎜ 내외, 세종·충남 북부 내륙·충북 1㎜ 미만, 제주도 5㎜ 미만이다.해안과 산지, 제주도는 바람이 순간풍속 55㎞/h(15m/s) 이상으로 강하게 불겠다.9일 밤까지 동해 중부 바깥 먼바다에, 10일 새벽까지 동해남부 바깥 먼바다에 바람이 30∼60㎞/h(9∼16m/s)로 매우 강하게 불고 물결이 1.5∼4.0m로 매우 높게 일겠다. 10일 오전부터 다시 동해 중부 먼바다에 바람이 매우 강하게 불고, 물결이 매우 높게 일면서 풍랑특보가 발표될 가능성도 있다.한파는 화요일인 11일 낮부터 점차 누그러질 것으로 예상된다. 11일 아침 기온은 평년보다 3∼10도가량 낮지만, 낮부터 차차 올라 평년 수준을 회복할 전망이다.김수영 한경닷컴 기자 swimmingk@hankyung.com
오는 14일 서울 서초구 서초동 예술의전당에서는 아주 특별한 공연이 열린다. '빨간 맛'·'다시 만난 세계'·'블랙맘바' 등 K팝 명곡들이 83인조의 대규모 오케스트라 연주로 웅장하게 재탄생한다. 'K팝과 클래식의 만남'이라는 전례 없는 시도를 해온 SM엔터테인먼트(이하 SM)의 클래식 레이블 SM클래식스가 그들의 존재 이유를 무대 위에서 증명해낸다.H.O.T., S.E.S, 신화부터 보아, 동방신기, 소녀시대, 샤이니, 레드벨벳, NCT, 에스파, 라이즈에 이르기까지 SM은 K팝 역사에서 빼놓고 이야기할 수 없을 정도로 중추 역할을 해왔다. 무려 30년간 다채로운 그룹을 제작해 온 SM은 'K팝의 뿌리'로 빗대어 표현할 수 있는 기획사다. 1990년대 H.O.T.를 데뷔시키며 'K팝 아이돌'이라는 개념을 세상에 내놨고, 아티스트 및 음악에 콘셉트와 세계관을 부여해 주목받았으며, 일찌감치 해외 진출을 도모해 한류에 불을 붙였다.K팝 팬들 사이에서 들려오는 "SM은 음악에 진심이다"라는 평가는 엔터 업계 최고의 칭찬이다. 하나의 사례로 꼽히는 게 바로 SM클래식스다. K팝과 클래식. 전혀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두 장르를 과감히 결합하며 줄곧 추구해온 음악적 다양성의 가치를 더욱 확고히 했다. 2020년 설립된 SM클래식스는 SM 소속 가수들의 명곡에 친숙한 클래식을 접목, 오케스트레이션한 음원을 꾸준히 선보여 왔다. 지난달에는 총 14개 트랙이 담긴 정규앨범을 발매했으며, SM의 서른 살 생일에 맞춰 첫 공연까지 하게 됐다.공연을 일주일 앞두고 만난 문정재 SM클래식스 대표는 "설레기도 하고 매우 떨린다"면서 "첫 곡이 끝나고, 다음 곡으로 넘어갈 때의 정적, 관객
지난달 29일 미국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에선 85세 지휘자가 늦깎이 데뷔에 성공했다. 폴란드 출신인 마레크 야노프스키(1939~·사진) 얘기다. 그는 멘델스존, 슈만 등의 작품을 지휘하며 세계 최대 도시에서 자신만의 음악 색을 드러냈다.야노프스키는 독일 정통 음악에 조예가 깊은 지휘자로 꼽힌다. 베토벤, 브람스, 바그너 등 독일 레퍼토리를 해석하는 데 뛰어나서다. 그는 카리스마형 지휘자로도 알려져 있다. 1980년부터 3년 동안 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와 작업한 바그너의 오페라 ‘니벨룽의 반지’는 그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야노프스키는 방송교향악단과 연이 깊다. 그는 2002년부터 베를린 방송교향악단 수석지휘자로 이름을 날렸다. 국내에서도 2023년 KBS교향악단을 이끌고 베토벤과 브람스 교향곡 2번을 연주했다. 야노프스키는 2020년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에 합류할 예정이었지만 코로나19 유행으로 이 악단에서의 데뷔가 2025년으로 늦춰졌다.이주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