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삼성동 테헤란로 상업지 신축 부지·빌딩=지하철역 입구 앞 대지 624㎡, 연면적 2854㎡의 8층 건물. 주변 상권 유동인구 풍부하고 임대 수요 많은 지역. 신축 시 랜드마크 건물로 사옥, 병원 및 프랜차이즈 카페로 적합. 급매가 350억원. (02)567-5235 강남 ERA포시즌 신정일
◆경기 가평군 청평면 고급주택 및 기업영빈관 연구소=서울춘천고속도로 화도나들목(IC)에서 차로 15분 거리. 대지 1만2500㎡, 연면적 780㎡의 산과 강 인접한 3층 대형 주택. 추가 증축 가능. 내·외관 고급 인테리어. 조경 및 대형 조각. 주택, 비즈니스 연구소용 적합. 급매가 110억원. (02)563-9533 강남 조담 김원창
◆서울 마포구 대학가 수익형 빌딩=대지 835㎡, 연면적 2322㎡. 보증금 8억원, 월 4500만원에 공실 없이 임대 중. 내년 임대료 10% 인상 예정. 안정적인 임대수익용 적합. 수익률 7%. 86억원. (02)511-3277 강남 리얼티코리아 유진석
◆서울 강남구 신사역 역세권 빌딩=도산대로 사거리 이면 대지 400㎡, 연면적 1500㎡의 7층 건물. 1층 카페, 나머지 층 사무실로 관리 편리. 공실 없이 임대 중. 수익률 6%. 급매가 80억원. (02)512-0352 강남 원빌딩 김원상
◆서울 강남구 신사동 역세권 빌딩=신사역 출구 앞 도로변 코너 대지 500㎡, 연면적 1200㎡의 6층 건물. 유동인구 밀집지역. 보증금 3억원, 월 2300만원. 주변 시세보다 저렴. 65억원. (02)511-2297 강남 리얼티코리아 유진석
◆서울 논현역세권 수익형 빌딩=지하철 출구 앞 대지 426㎡, 연면적 1656㎡의 8층 신축 건물. 유동인구 풍부한 오피스·먹자상권 밀집지역. 보증금 3억원, 월 3000만원. 56억원. (02)543-5500 서초 두바이 이세연
◆서울 구로구 수익 및 사옥용 빌딩=도로변 대지 300㎡, 연면적 2200㎡의 10층 건물. 보증금 5억4000만원, 월 2000만원. 주변 도로 여건 양호해 임대 및 사옥용으로 적합. 40억원. (02)533-8199 서초 스카이 이기종
경기 평택대학교 앞 용이지구 신축 다가구 ◆경기 평택대 앞 용이지구 신축 다가구=대지 299㎡, 연면적 482㎡. 주인 가구 포함해 11가구. 융자 5억원, 보증금 2억3500만원, 실투자 5억6500만원, 월 451만원(이자 공제 후). 임대수익용 적합. 13억원. (031)658-4430 평택 서희공인 서희숙
경기 평택시 미군부대 인근 신축 다가구◆경기 평택시 미군부대 인근 신축 다가구=대지 389㎡, 연면적 614㎡. 원·투·투베이 11가구. 주인 1가구. 융자 5억원, 보증금 3억4700만원, 실투자 3억6300만원, 월 479만원(이자·관리비 공제 후 252만원). 책임관리. 12억5000만원. (041)531-7377 아산 탑공인 홍세아
◆서울 성동구 성수동 사옥 신축 부지=준공업지역 코너 대지 2600㎡. 건폐율 70%, 용적률 400%. 즉시 신축 가능. 3.3㎡당 2500만원으로 시세 이하 급매. 연구시설 및 사옥용으로 추천. 196억원 (02)6357-2300 강남ERA포시즌 신정일
◆서울 서초구 역세권 수익형 빌딩=준주거지역 대지 350㎡, 연면적 1000㎡의 7층 건물. 엘리베이터 설치. 주차 편리. 내·외관 깔끔하고 보증금 3억5000만원, 월 2700만원에 공실 없이 임대 중. 임대 및 투자용 적합. 급매가 47억5000만원. (02)534-8878 서초 스카이 이기종
◆서울 관악구 수익형 빌딩=지하철역 5분 거리 도로변 대지 303㎡, 연면적 1303㎡의 10층 건물. 용적률 390% 적용. 임차 수요 풍부. 보증금 4억원, 월 2500만원. 1층 카페 영업 중. 수익률 9%. 기업 구조조정 매물. 급매가 36억원. (02)6006-0025 서초 해준 신경욱
◆서울 강북구 역세권 소액 투자 빌딩=6차선 대로변 코너 대지 385㎡, 연면적 695㎡. 24시간 유동인구 풍부한 상권. 융자 4억원, 보증금 1억1000만원, 월 800만원(관리비 없음)에 모든 층 근린생활시설로 공실 없이 임대 중. 사옥 및 수익용 적합. 수익률 5.5%. 19억3000만원. 010-8758-7389 강남 뉴탑중개 김정안
◆서울 강남구 수익형 신축 빌딩=대지 400㎡, 연면적 1200㎡. 보증금 3억원, 월 2500만원에 모든 층 공실 없이 임대 중. 현금 15억원 투자 시 수익률 12%. 현금가 15억원. (02)512-7055 강남 원빌딩 김원상
◆경북 구미시 수익형 상가빌딩=2차선 접한 대지 472㎡, 연면적 1012㎡. 엘리베이터 설치. 1층 노래방 외 점포 3개. 주인 가구 거주. 융자 7억원, 보증금 2억2700만원, 실투자 1억8700만원, 월 465만원. 시세 이하 급매. 11억원. (054)471-7794 구미 한강공인 구자인
봄 이사철을 앞두고 새로운 전셋집을 알아보는 세입자가 적지 않다. 2년 전 계약할 때와 비교해 전셋값이 껑충 뛰었을 뿐만 아니라 전세대출 금리도 만만치 않아 전셋집 고민이 커진다. 전문가들은 서울 동대문구, 성북구 등 상반기 대단지 입주가 계획돼 있는 지역을 눈여겨보라고 조언한다. 일시에 공급이 쏟아지는 만큼 전셋값 하락을 기대할 수 있어서다. 공급 부족 여파로 중장기적으로 전셋값 오름세가 이어질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파크포레온 전셋값, 8억원대로 내려9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들어 동대문구 아파트 전셋값은 누적 0.25%(지난 3일 기준) 떨어졌다.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낙폭이 가장 컸다. 연초부터 ‘입주장’이 펼쳐진 영향이 크다. 이문동에서 3069가구 규모의 ‘래미안라그란데’가 지난달 집들이를 시작했다. 오는 6월엔 인근에 있는 휘경동 ‘휘경자이디센시아’(1806가구)가 입주를 개시한다. 공급 과잉 속에 호가를 하향 조정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예컨대 래미안라그란데 전용면적 84㎡(23층) 집주인은 최근 전세 매물 가격을 기존 6억5000만원에서 6억1000만원으로 4000만원 내렸다.성동구(-0.19%)와 구로구(-0.14%), 관악·강동구(-0.09%) 등도 새해 들어 전셋값이 많이 빠졌다. ‘서울숲아이파크리버포레1차’(825가구·성동구) ‘힐스테이트관악센트씨엘’(997가구·관악구) 등에서 최근 입주 물량이 늘어난 것과 무관치 않다는 평가가 나온다. 강동구에선 작년 11월 1만2032가구 규모의 ‘올림픽파크포레온’(둔촌주공 재건축)이 집들이한 여파가 아직 이어지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올림픽파크포
배우 하지원이 5년 전 산 서울 성동구 성수동의 빌딩이 매입가 대비 41억원 오른 것으로 전해졌다.9일 뉴스1에 따르면 빌딩로드부동산 중개법인은 하지원이 2020년 3월 성수동2가에 위치한 대지면적 258㎡(78평), 연면적 998㎡(302평), 지하 1층~지상 8층 규모의 빌딩을 가족법인인 해와달엔터테인먼트 명의로 100억원에 사들였다고 전했다.해당 건물은 2호선 성수역 4번 추구 도보 5분 거리에 있다. '핫 플레이스'로 꼽히는 성수동 연무장길 이면에 있어 풍부한 유동 인구를 자랑한다.매입 당시 건물은 준공된 지 3년 차 신축이었다. 채권 최고액은 90억원으로, 하지원은 75억가량을 '영끌'해 매수한 것으로 추정된다.이 건물의 현재 예상 시세는 141억원으로, 하지원은 약 41억원의 시세차익을 거둔 것으로 추정된다.김수영 한경닷컴 기자 swimmingk@hankyung.com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A노선 북부 구간(파주 운정중앙역~서울역)이 개통한 지 한 달가량 지났지만 경기 파주시 운정중앙역 인근 부동산 시장은 거래가 뜸하다. 전반적인 수요 위축 속에 운정3지구 입주와 고양 킨텍스역(사진) 개발이 이어져야 시장이 활성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9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파주 목동동 ‘힐스테이트운정’ 전용면적 60㎡는 지난달 5억2900만원에 손바뀜했다. 이 단지는 운정중앙역 인근 대장 아파트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지난해 8월 5억4500만원에 손바뀜했다.역 근처 다른 아파트값도 변동이 적다. ‘운정신도시센트럴푸르지오’ 전용 84㎡는 지난달 6억4900만원에 매매됐다. 같은 동의 직전 거래가는 6억7000만원이었다. GTX 개통 이후 오히려 집값이 내린 것이다. 동패동 ‘운정신도시아이파크’ 전용 59㎡는 지난해 5억9000만원까지 올랐지만 지난달 5억5000만원에 거래됐다. 개통 이후 호가는 올라가고 있다. 이 아파트의 같은 면적 호가가 6억~6억4000만원대에 형성돼 있다.지난해부터 GTX 개통 기대가 집값에 반영된 데다 대출 규제 등으로 거래가 끊겨 집값이 단기간 상승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표찬 싸부원 대표는 “GTX-A노선 개통으로 파주 신축 아파트가 이미 3.3㎡당 2000만~2500만원 올라갔다”며 “철도는 개통 이후보다는 주로 예비타당성 조사와 기본계획, 실시계획 승인 때 호재로 작용하는 측면이 크다”고 설명했다.운정중앙역 일대 아파트 입주가 마무리돼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그동안 준공된 아파트는 대부분 역과 500m 이상 떨어져 있지만, 공사 중인 ‘운정3제일풍경채’ ‘우미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