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쇼핑 20년 '유통 빅뱅'] 이기형 "한 분야 집중하는 전문 몰만 생존…AI가 쇼핑의 미래 바꿀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온라인 쇼핑몰 처음 만든 이기형 인터파크 회장
소셜커머스 업체들의 가격경쟁은 '철 지난 전략'
소셜커머스 업체들의 가격경쟁은 '철 지난 전략'
“온라인 쇼핑 시장에서는 분야별 ‘카테고리 킬러’들만 살아남을 것입니다. 여행상품과 티켓 판매의 성공을 이어갈 수 있는 전문몰을 기획하고 있습니다.”
지난 19일 서울 강남구 인터파크 본사에서 만난 이기형 인터파크 회장(53·사진)은 “모든 물건을 판매하는 오픈마켓 형태보다는 한 분야에 특화한 전문몰이 주도권을 잡을 것”이라며 온라인 쇼핑업계를 전망했다.
이 회장은 1996년 인터파크를 설립해 국내에 온라인 쇼핑을 처음 소개한 1세대 창업자다. 국내 1위 온라인몰인 G마켓도 그가 창업해 이베이에 매각했다.
20년간 온라인 쇼핑업계에 몸담은 이 회장은 “오픈마켓과 소셜커머스처럼 다양한 상품군을 판매하는 서비스에 소비자들이 피로를 느끼기 시작했다”며 “인터파크가 2014년 완구류 전문몰인 ‘아이토이즈’를 연 것도 이 같은 흐름을 주도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부터 확대되고 있는 소셜커머스의 최저가 마케팅에 대해서는 “철 지난 전략”이라고 평했다.
이 회장은 “온라인사업 초기엔 손해를 보더라도 가격을 내리는 전략으로 시장을 지배할 수 있겠지만 시장이 성숙하고 자금줄이 탄탄한 경쟁자가 늘어나면 먹히지 않는 전략”이라며 “단기간 큰 폭으로 할인해 소비자들을 끌어모아도 가격을 다시 정상화하면 외면받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회장이 꼽는 온라인 쇼핑의 핵심 경쟁력은 물류다. 물류센터를 확보하고 배송 루트를 정교하게 구축해 소비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서비스 경쟁이 치열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회장은 “장기적으로는 머신러닝을 통해 데이터를 축적한 인공지능(AI)이 쇼핑의 미래를 바꿀 것”이라고 말했다. 소비자들이 어떤 상품을 원하는지 먼저 알고 추천해주는 개인화 서비스가 온라인 쇼핑업계의 성패를 좌우할 것이라고 했다.
이 회장이 인터파크의 가장 큰 잠재적 경쟁자로 알파고 등을 통해 AI 분야에서 강점을 보여준 구글을 꼽는 것도 비슷한 이유에서다.
이 회장은 “아마존이 한국 시장에 들어와 경쟁한다고 해도 G마켓 인터파크 등 기존 업체의 거래 규모가 크기 때문에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지만, 구글이 검색 기술과 AI 기술을 더해 쇼핑 지도를 바꿀 것이라는 전망은 위협으로 다가온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데이콤 멀티미디어추진팀 대리로 일하던 1996년 사내벤처 공모전을 통해 인터파크를 창업했다. 1997년 말 외환위기 때 회사를 직접 인수했고, 1998년과 1999년 티켓파크와 투어파크를 설립해 현재의 모습을 갖췄다. 2014년에는 카오스 재단을 설립해 과학 연구도 지원하고 있다.
글=강진규/정인설·사진=김영우 기자 josep@hankyung.com
지난 19일 서울 강남구 인터파크 본사에서 만난 이기형 인터파크 회장(53·사진)은 “모든 물건을 판매하는 오픈마켓 형태보다는 한 분야에 특화한 전문몰이 주도권을 잡을 것”이라며 온라인 쇼핑업계를 전망했다.
이 회장은 1996년 인터파크를 설립해 국내에 온라인 쇼핑을 처음 소개한 1세대 창업자다. 국내 1위 온라인몰인 G마켓도 그가 창업해 이베이에 매각했다.
20년간 온라인 쇼핑업계에 몸담은 이 회장은 “오픈마켓과 소셜커머스처럼 다양한 상품군을 판매하는 서비스에 소비자들이 피로를 느끼기 시작했다”며 “인터파크가 2014년 완구류 전문몰인 ‘아이토이즈’를 연 것도 이 같은 흐름을 주도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부터 확대되고 있는 소셜커머스의 최저가 마케팅에 대해서는 “철 지난 전략”이라고 평했다.
이 회장은 “온라인사업 초기엔 손해를 보더라도 가격을 내리는 전략으로 시장을 지배할 수 있겠지만 시장이 성숙하고 자금줄이 탄탄한 경쟁자가 늘어나면 먹히지 않는 전략”이라며 “단기간 큰 폭으로 할인해 소비자들을 끌어모아도 가격을 다시 정상화하면 외면받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회장이 꼽는 온라인 쇼핑의 핵심 경쟁력은 물류다. 물류센터를 확보하고 배송 루트를 정교하게 구축해 소비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서비스 경쟁이 치열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회장은 “장기적으로는 머신러닝을 통해 데이터를 축적한 인공지능(AI)이 쇼핑의 미래를 바꿀 것”이라고 말했다. 소비자들이 어떤 상품을 원하는지 먼저 알고 추천해주는 개인화 서비스가 온라인 쇼핑업계의 성패를 좌우할 것이라고 했다.
이 회장이 인터파크의 가장 큰 잠재적 경쟁자로 알파고 등을 통해 AI 분야에서 강점을 보여준 구글을 꼽는 것도 비슷한 이유에서다.
이 회장은 “아마존이 한국 시장에 들어와 경쟁한다고 해도 G마켓 인터파크 등 기존 업체의 거래 규모가 크기 때문에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지만, 구글이 검색 기술과 AI 기술을 더해 쇼핑 지도를 바꿀 것이라는 전망은 위협으로 다가온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데이콤 멀티미디어추진팀 대리로 일하던 1996년 사내벤처 공모전을 통해 인터파크를 창업했다. 1997년 말 외환위기 때 회사를 직접 인수했고, 1998년과 1999년 티켓파크와 투어파크를 설립해 현재의 모습을 갖췄다. 2014년에는 카오스 재단을 설립해 과학 연구도 지원하고 있다.
글=강진규/정인설·사진=김영우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