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부터 주식·외환 거래 30분 연장…"거래대금 6800억 늘고 중국 증시 반영 빨라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거래 유동성 3~8% 증가 전망
정체된 주식시장에 활력 기대
중국 증시와 마감시간 차이 줄여
연계거래 활성화·유동성 유치
정체된 주식시장에 활력 기대
중국 증시와 마감시간 차이 줄여
연계거래 활성화·유동성 유치
한국거래소가 8월부터 주식시장 거래시간을 30분 연장하기로 한 것은 침체된 주식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조치다. 거래시간을 늘려 증시 거래대금을 확대하고 한국 시장에 영향력을 키우고 있는 중화권 시장과의 연계성을 강화해 시장 환경에 적극 대응하겠다는 취지다.
◆거래량 얼마나 늘어날까
이번 거래시간 연장의 1차 목표는 거래대금 증가에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유가증권시장의 하루 평균 거래대금은 4조66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5조8800억원)보다 20.7% 줄었다. 2011년 6조9000억원대로 최고치를 기록한 뒤 5년째 4조~5조원대로 정체 상태다.
저금리 기조로 투자처를 찾지 못한 단기 부동자금이 최대치에 육박하고 있지만 거래대금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등 자금이 증시로 원활하게 유입되지 못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 기간 코스피지수가 1800~2050 사이 박스권에 머물면서 매력적인 투자처로 부각되지 못한 탓이 컸다.
거래소는 거래시간이 길어질수록 거래량이 늘고 늘어난 거래량이 박스권 탈출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연장안으로 하루 평균 최소 3%에서 최대 8%가량 유동성이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지천삼 거래소 주식시장부장은 “통상 장 종료 30분대에서 하루 평균 거래량의 13%가 발생한다”며 “다른 시간대보다 약 2~3배 높은 밀도로 거래가 일어난다고 분석하면 하루 평균 2600억~6800억원의 거래대금 증가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거래소는 또 효율적인 거래환경 조성으로 투자 기회가 늘어날 수 있다고 기대한다. 국내 주식시장의 매매 거래시간은 6시간(오전 9시~오후 3시)으로 싱가포르(8시간)나 독일·영국·프랑스(8시간30분), 미국(6시간30분) 등에 비해 짧다. 투자자의 매매 기회를 제약하고 새로운 정보 반영을 지연시켜 효율성을 떨어뜨린다는 지적이 많았다.
이용국 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 상무는 “오랜 박스권 장세 탓에 국내 투자자들의 해외 주식 직접투자가 증가하는 등 국내 시장으로 유입될 수 있는 투자자금이 해외시장으로 유출되고 있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며 “이번 조치가 이런 양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국내 투자자들의 해외 주식 직접투자 예탁잔액은 2012년 1분기 9조원에서 지난해 4분기 25조원까지 늘었다.
◆시장에 어떤 변화 있을까
한국보다 장 마감 시간이 늦은 중국 시장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도 거래시간 연장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상반기 코스피지수와 중국 상하이종합지수 간 상관계수가 0.75에 달할 정도로 중국 시장과의 동조화가 강화돼 두 시장 간 중첩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거래소의 설명이다.
김원대 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장은 “한국 시장이 중화권보다 1~3시간 빨리 마감하는 탓에 중화권 시장발 정보의 신속한 반영이 어렵고 글로벌 투자자의 연계거래가 제약되는 등 아시아 역내 유동성 유치 경쟁에서 뒤처질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은 한국 시간으로 오후 4시, 홍콩은 5시, 싱가포르는 6시에 각각 정규시장을 마감한다.
김 본부장은 “중국 관련 상장지수펀드(ETF)도 국내 시장에 8개 상장돼 있는 데 중국과 가격 괴리율이 크다”며 “상장지수채권(ETN)의 해외 수요를 국내에 머물게 하기 위해 시간차를 줄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만수/김동욱 기자 bebop@hankyung.com
이번 거래시간 연장의 1차 목표는 거래대금 증가에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유가증권시장의 하루 평균 거래대금은 4조66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5조8800억원)보다 20.7% 줄었다. 2011년 6조9000억원대로 최고치를 기록한 뒤 5년째 4조~5조원대로 정체 상태다.
저금리 기조로 투자처를 찾지 못한 단기 부동자금이 최대치에 육박하고 있지만 거래대금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등 자금이 증시로 원활하게 유입되지 못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 기간 코스피지수가 1800~2050 사이 박스권에 머물면서 매력적인 투자처로 부각되지 못한 탓이 컸다.
거래소는 거래시간이 길어질수록 거래량이 늘고 늘어난 거래량이 박스권 탈출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연장안으로 하루 평균 최소 3%에서 최대 8%가량 유동성이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지천삼 거래소 주식시장부장은 “통상 장 종료 30분대에서 하루 평균 거래량의 13%가 발생한다”며 “다른 시간대보다 약 2~3배 높은 밀도로 거래가 일어난다고 분석하면 하루 평균 2600억~6800억원의 거래대금 증가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거래소는 또 효율적인 거래환경 조성으로 투자 기회가 늘어날 수 있다고 기대한다. 국내 주식시장의 매매 거래시간은 6시간(오전 9시~오후 3시)으로 싱가포르(8시간)나 독일·영국·프랑스(8시간30분), 미국(6시간30분) 등에 비해 짧다. 투자자의 매매 기회를 제약하고 새로운 정보 반영을 지연시켜 효율성을 떨어뜨린다는 지적이 많았다.
이용국 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 상무는 “오랜 박스권 장세 탓에 국내 투자자들의 해외 주식 직접투자가 증가하는 등 국내 시장으로 유입될 수 있는 투자자금이 해외시장으로 유출되고 있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며 “이번 조치가 이런 양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국내 투자자들의 해외 주식 직접투자 예탁잔액은 2012년 1분기 9조원에서 지난해 4분기 25조원까지 늘었다.
◆시장에 어떤 변화 있을까
한국보다 장 마감 시간이 늦은 중국 시장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도 거래시간 연장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상반기 코스피지수와 중국 상하이종합지수 간 상관계수가 0.75에 달할 정도로 중국 시장과의 동조화가 강화돼 두 시장 간 중첩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거래소의 설명이다.
김원대 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장은 “한국 시장이 중화권보다 1~3시간 빨리 마감하는 탓에 중화권 시장발 정보의 신속한 반영이 어렵고 글로벌 투자자의 연계거래가 제약되는 등 아시아 역내 유동성 유치 경쟁에서 뒤처질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은 한국 시간으로 오후 4시, 홍콩은 5시, 싱가포르는 6시에 각각 정규시장을 마감한다.
김 본부장은 “중국 관련 상장지수펀드(ETF)도 국내 시장에 8개 상장돼 있는 데 중국과 가격 괴리율이 크다”며 “상장지수채권(ETN)의 해외 수요를 국내에 머물게 하기 위해 시간차를 줄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만수/김동욱 기자 bebo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