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진화 빨라 가능성 무궁무진
태양전지·의학센서 등 활용
삼성, 내년 3세대 퀀텀닷 TV 출시
삼성전자가 퀀텀닷(양자점) 소재를 미래 사업을 선도할 핵심 기술로 육성한다. 지금은 퀀텀닷을 TV에만 일부 응용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반도체, 의학용 센서 등에도 적용이 가능해져 활용 가치가 무궁무진하다는 게 삼성의 판단이다.
25~26일 제주 라마다프라자호텔에서 열린 ‘국제 퀀텀닷 콘퍼런스’에서는 “퀀텀닷 소재 기술의 발전이 TV는 물론 전자기기 발전의 한계를 깰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발전 거듭하는 퀀텀닷
퀀텀닷은 전기를 받으면 빛을 내는 나노미터(1nm=10억분의 1m) 크기의 반도체 무기물이다. 입자 크기가 머리카락 굵기의 수만분의 1에 불과하다.
이 미세한 입자 하나하나가 정확한 색을 표현한다. 이를 필름 형태로 만들어 액정표시장치(LCD) 패널 뒷면에 덧댄 게 퀀텀닷 TV다. 퀀텀닷을 디스플레이에 적용하면 또렷한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작년부터 퀀텀닷 TV를 차세대 제품으로 밀고 있다.
장혁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부사장은 이번 콘퍼런스에서 기조연설을 맡아 “퀀텀닷은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넘을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소재”라며 “새로운 성장동력이 돼 전자기기 발전을 이끌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장 부사장은 “퀀텀닷 기술은 작년보다 올해 더욱 다양한 색감을 구현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 구현할 수 있는 색의 종류를 늘리고 휘도(광원의 단위 면적당 밝기)도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올해 2세대 퀀텀닷 TV를 선보인 데 이어 2017년, 2018년 각각 3세대, 4세대 퀀텀닷 TV를 내놓을 계획이다.
◆삼성은 퀀텀닷, LG는 OLED
경쟁사인 LG전자도 퀀텀닷 TV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만, 실제 사업은 OLED TV에 집중하고 있다. OLED는 퀀텀닷처럼 자체 발광하지만 유기물이다.
현존하는 최상의 화질을 낼 수 있지만 유기물질의 효율과 수명이 떨어지고, 시간이 흐르면 색이 변하는 게 약점이다. LG전자는 OLED의 장점에 주목했고, 삼성전자는 OLED의 약점을 눈여겨봐 각기 다른 전략을 세웠다.
퀀텀닷 TV 개발에는 중국 TCL과 하이센스도 나서고 있다. 하지만 이들 업체의 기술 수준은 삼성전자보다 최소 2년 뒤처진다는 게 삼성전자의 분석이다.
삼성전자는 종합기술원 내 무기소재 분야 연구의 상당부분을 퀀텀닷에 집중하고 있다.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뿐 아니라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MIT), 서울대 교수와도 연구 협력을 하고 있다. 장 부사장은 “소비전력을 낮추면서도 좋은 화질을 구현하는 부분을 집중 연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퀀텀닷 연구 영역은 TV를 중심으로 메모리반도체, 센서 등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현택환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는 “퀀텀닷은 빛을 받아서 전기로 전환하는 특성이 있다”며 “이런 점을 활용해 기술을 발전시키면 태양전지나 의학진단 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채택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제 퀀텀닷 콘퍼런스는 국제퀀텀닷학회조직위원회가 주최하는 학술대회다. 2000년 독일을 시작으로 2년마다 세계 각지에서 열린다. 올해는 세계 26여개국 퀀텀닷 관련 학계, 산업계 전문가 500여명이 참가했다. 위원회 관계자는 “이번 대회 참가자 수는 역대 최대 규모”라며 “그만큼 퀀텀닷에 대한 주목도가 높아진 것”이라고 말했다.
■ 퀀텀닷
지름 수십 나노미터(㎚) 이하의 반도체 결정물질로 특이한 전기적·광학적 성질을 지니는 입자를 말한다. 똑같은 물질이라도 입자 크기에 따라 다른 길이의 빛 파장을 발생시켜 다양한 색을 낼 수 있으며 색 순도와 광 안정성도 높아 차세대 발광 소자로 주목받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의 대표 스포츠유틸리티(SUV) 모델이 미국 유력 자동차 평가 기관으로부터 경쟁력을 인정받아 상을 받았다.현대차그룹은 미국 자동차 전문 평가 웹사이트 '카즈닷컴'이 발표한 '2025 최고의 차 어워즈'(2025 Best of Awards)에서 현대차 싼타페, 팰리세이드, 기아 EV9, 제네시스 GV70 전동화 모델 등 4개 차종이 수상했다고 7일 밝혔다.2025 최고의 차 어워즈는 카즈닷컴 에디터들이 새로 출시된 2025년형 차량들의 품질과 혁신성, 가치 등을 평가해 △올해의 차(Best Car of 2025) △최고의 가족용 차(Best Family Car) △최고의 전기차(Best Electric Vehicle) △최고의 고급차(Best Luxury Car) △최고의 SUV(Best SUV) △최고의 픽업트럭(Best Pickup Truck) 등 총 6개 부문의 수상작을 결정한다.현대차그룹은 이 중 4개 부문에 선정돼 자동차 그룹 기준 최다 수상을 달성하며 뛰어난 상품 경쟁력을 인정받았다.현대차 싼타페는 우수한 디자인과 공간 활용성 등 뛰어난 상품성을 입증 받아 2025 올해의 차에 선정됐다.카즈닷컴의 수석 편집장 마이크 핸리는 “싼타페는 다재다능한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한 독창적인 디자인, 혁신적이고 가족 친화적인 편의사양이 인상적”이라며 “부드럽고 편안한 주행 성능과 합리적인 가격이 동급 SUV들 중 가장 돋보인다”고 극찬했다.팰리세이드는 가족용 차에 필수적인 다양한 안전 사양과 탑승 편의성까지 확보된 넓은 3열 공간 등이 높은 평가를 받아 2025 최고의 가족용 차로 뽑혔다.기아 EV9은 2025 최고의 전기차로 선정되며 현대차그룹의 우수한 전동화 상품성을 증명했다.카즈닷컴은 EV9이 넉넉한 1회 충전 주행거리와 인상적인 급속 충전 성능을 갖춘 3열 전기 SUV로 우수한 디
매서운 강추위가 연일 전국을 강타한 여파로 편의점에서는 방한용품 매출이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7일 뉴스1에 따르면 지난달 30일부터 지난 5일까지 일주일간 편의점 내 핫팩 등 한파 관련 용품이 전년 동기 대비 대폭 늘었다. 지난해 영상권을 보였던 기온이 올해 영하 10도 안팎까지 떨어지면서다.GS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GS25의 핫팩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8% 늘었고, 방한용품 매출은 317% 폭증했다. 꿀음료, 한방음료 등 몸을 따뜻하게 녹일 수 있는 음료의 매출도 각각 30.4%, 19.3% 증가했다.BGF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CU의 경우 핫팩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64.8% 올랐다. 스타킹은 37.9%, 따뜻한 먹거리인 군고구마(21.3%)와 즉석오뎅(15.1%), 즉석원두커피(10%), 국탕찌개류(25.6%)도 증가세를 보였다.세븐일레븐에서는 핫팩과 방한용품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90%, 110% 늘었다. 이마트24에서는 핫팩과 원컵차류 매출이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할 때 136%, 20% 증가했다.강추위에 더해 전국적으로 독감(인플루엔자)이 유행하면서 기약 등 상비약 매출 역시 대폭 늘었다. 감기약 매출 전년 동기 대비 신장률은 CU(28.9%), 세븐일레븐(15%), 이마트24(14%), GS25(11.7%) 등이다.업계 관계자는 "추위가 좀처럼 물러나지 않으면서 핫팩 등 방한용품 매출은 더욱 증가할 수 있다"고 밝혔다.홍민성 한경닷컴 기자 mshong@hankyung.com
타사 제품도 이름을 빌려 쓸 정도로 이동형 무선 스크린으로 자리매김한 'LG 스탠바이미'가 신작도 흥행 조짐을 보이고 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가 지난 5일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진행한 라이브에서 'LG 스탠바이미2' 준비 물량이 완판됐다. 당시 라이브 시청횟수는 40만회를 넘어설 정도로 시청자들이 몰렸다. 사전 판매 페이지 접속 대기인원은 한때 500명을 넘어서기도 했다. 라이브방송엔 배우 이이경이 특별 출연해 눈길을 끌었다. 일부 시청자들은 준비 물량이 빠르게 완판되자 댓글창에서 불만을 쏟아냈다. "(라이브) 시간되자마자 대기도 없이 들어갔는데 주문 화면에 판매불가 상품이라고 한다", "구매가 안 된다", "설명 좀 듣고 사려는데 벌써 주문 불가냐"라는 등의 반응들이 댓글창을 가득 채웠다. 전작도 2021년 공식 출시 전 사전 판매 당시 한 시간 만에 준비 물량이 완판될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스탠바이미가 화제가 되면서 삼성전자도 이동형 무선 스크린 '무빙스타일'을 출시했다. 삼성전자 공식 온라인 파트너사들은 이 제품을 스탠바이미와 유사한 '삼탠바이미'로 홍보했다. 스탠바이미 구매고객의 연령대를 보면 주로 3040세대인 것으로 파악된다. LG전자는 사전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1500대에 한해 12만원 상당의 전용 액세서리 '폴리오 커버'를 증정하고 있다. 사전 구매자들은 다음 달 1일부터 제품을 순차적으로 받아보게 된다. 이번 신제품은 '이동식 무선 스크린' 시장을 개척한 'LG 스탠바이미'의 후속작이다. 전작이 출시된 지 4년 만에 나온 신작이기도 하다. 스탠바이미2는 나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