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 양육 책임은 대학 졸업 때까지, 부모 절반에 달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자녀에 대한 우리나라 부모들의 양육 책임 의식이 갈수록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가족형태 다변화에 따른 부양체계 변화전망과 공사 간 부양분담 방안'(책임연구원 김유경)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자녀가 결혼할 때까지 부모가 책임져야 한다는 비율은 급감하는 반면 자녀가 대학졸업 때까지 돌보면 된다는 비율은 계속 늘어나고 있다.
분석 결과 '자녀가 혼인할 때까지' 부모가 자녀를 책임져야 한다는 인식은 2003년 조사에서는 조사대상자의 32.1%에 달했으나 2006년 27.0%, 2009년 23.1%, 2012년 20.4% 등으로 떨어졌다.
또 '자녀가 필요로 하면 계속' 자녀를 돌봐야 한다는 의식도 2003년 6.3%에서 2006년 5.5%, 2009년 5.0%, 2012년 4.6% 등으로 하락했다.
반면 '자녀가 대학졸업 때까지' 부모가 책임져야 한다는 의견은 2003년 40.2%에서 2006년 46.3%, 2009년 49.6%, 2012년 49.6% 등으로 증가 추세를 나타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27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가족형태 다변화에 따른 부양체계 변화전망과 공사 간 부양분담 방안'(책임연구원 김유경)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자녀가 결혼할 때까지 부모가 책임져야 한다는 비율은 급감하는 반면 자녀가 대학졸업 때까지 돌보면 된다는 비율은 계속 늘어나고 있다.
분석 결과 '자녀가 혼인할 때까지' 부모가 자녀를 책임져야 한다는 인식은 2003년 조사에서는 조사대상자의 32.1%에 달했으나 2006년 27.0%, 2009년 23.1%, 2012년 20.4% 등으로 떨어졌다.
또 '자녀가 필요로 하면 계속' 자녀를 돌봐야 한다는 의식도 2003년 6.3%에서 2006년 5.5%, 2009년 5.0%, 2012년 4.6% 등으로 하락했다.
반면 '자녀가 대학졸업 때까지' 부모가 책임져야 한다는 의견은 2003년 40.2%에서 2006년 46.3%, 2009년 49.6%, 2012년 49.6% 등으로 증가 추세를 나타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