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 Issue & Focus] "국민 99% IoT 연결"…규제완화로 속도 내는 사물인터넷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통3사, 네트워크 구축 경쟁
다양한 서비스 요금제 출시
다양한 서비스 요금제 출시
![SK텔레콤 직원들이 IoT 전용망인 로라(LoRa) 기지국 구축과 커버리지 최적화를 위해 시스템을 살피고 있다. SK텔레콤 제공](https://img.hankyung.com/photo/201606/AA.11760223.1.jpg)
SK텔레콤은 IoT 전용망인 로라(LoRa) 네트워크를 대구 전역에 구축했다. IoT 시범도시인 대구에서 언제 어디서나 IoT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도시 전체에 IoT 전용망을 구축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SK텔레콤은 이달까지 로라 네트워크를 전국으로 확대하고 테스트베드 구축을 위해 연말까지 900억원을 투자해 IoT산업 생태계 확산에 나설 방침이다. 회사 관계자는 “전국 인구 99%, 면적 90%를 수용하는 IoT 네트워크를 구축할 계획”이라며 “로라가 활용하는 900㎒ 대역의 전파 출력을 높일 수 있도록 규제가 완화돼 적은 비용으로 넓은 범위의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KT와 LG유플러스는 기존 LTE 네트워크를 활용한 ‘LTE-M’ 기술로 IoT 사업 확대에 나선다. LTE-M은 기존 LTE 전국망 기지국에 각종 기능을 추가하고 저전력·소량 데이터 전송에 적합한 전용 모뎀칩을 활용하는 방식이다. 로라와 같은 전용망 방식에 비해 칩 가격은 비싸지만 용도에 따라 소량의 데이터를 넘어 음성, 영상까지 제공할 수 있다. KT는 지난달 LTE-M 방식의 IoT 전국 서비스 상용화를 발표하며 관련 칩셋을 무료로 보급하겠다는 전략을 밝혔다. LG유플러스는 연내 LTE-M 서비스 상용화를 준비하고 있다.
IoT는 인공지능(AI) 등 미래 기술과 융합돼 산업 생산성을 크게 높이는 제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이 될 전망이다. 시장조사회사인 가트너에 따르면 세계 IoT 시장은 2020년 1조2000억달러(약 1400조원) 규모까지 커질 전망이다.
안정락 기자 jr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