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가계부채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행보를 구체화하고 있다.

5일 복수의 당 관계자들에 따르면 김영주 의원을 단장으로 하는 가계부채TF는 거시경제 해법을 다룰 '1200조 소위'와 피해 사례를 중심으로 서민 부실채권 해법을 다룰 '생계형 부채 소위' 투트랙으로 나눠 활동한다는 방침이라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국내 가계부채 총액이 1200조원을 넘은 데서 착안해 이름 지은 '1200조 소위'는 강병원 의원이, '생계형 부채 소위'는 제윤경 의원이 각각 간사를 맡았다.

중진인 정세균·박병석 의원도 TF 고문을 맡아 무게감을 더했다.

가계부채TF는 오는 9일 금융위원회 관계자들을 국회로 불러 가계부채 현안을 보고받는 데 이어 현장 방문(14일), 국회 토론회(16일) 등을 추진하고, 현안별로 책임 의원을 정해 입법 성과를 낸다는 계획이다.

특히 총선 공약으로 내세웠던 금융소비자보호법, 대부업법 개정안, 이자제한법 등을 20대 국회에 재발의하기 위한 입법 준비에도 착수했다.

금융소비자보호법은 분쟁조정기구 설치로 소액 금융분쟁이 발생했을 때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는 한편 금융수수료 적정성 심사제를 도입하는 게 골자다.

대부업법 개정안과 이자제한법은 서민의 '이자폭탄'을 완화하기 위한 것이다.

가계부채 관리 차원에선 박병석 의원이 지난주 이른바 '죽은채권부활금지법'을 대표 발의한 바 있다.

이밖에 다른 TF들도 본격적인 활동을 위한 준비에 속돌 돌입하면서 원내 제1당으로서의 존재감을 확인하겠다는 태세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