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조선 국내 발주 확대] 국내 조선소에 발주하면 해운사에 건조자금 지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주목받는 '계획조선'
국적선사 운송 비중 확대와 연계해 국내 조선소에 발주하는 해운회사에 선박 건조비용을 지원하는 ‘계획조선’을 추진하자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조선해양플랜트협회 조사 결과 2014년 국내 조선업계 수주량 중 국내선 비중은 4.1%에 불과했다. 주요 조선사 가운데 대우 삼성 STX는 아예 국내선 수주가 없었고, 현대중공업만 단 한 척을 수주하는 데 그쳤다. 국가별 조선소 수주잔량 비교에서도 작년 말 기준 한국은 자국선 비중이 10.3%인 반면 중국은 27%, 일본은 37%에 달했다.
김영무 한국선주협회 상근부회장은 “머스크 등 해외선사는 한국 금융사가 제공하는 수출금융 지원을 받아 국내 조선소에서 건조한 1만8000TEU급 초대형 컨테이너선 등으로 경쟁력을 키웠다”며 “반면 국적선사는 그만 한 배를 짓는 것은 엄두도 못 내고 용선에 의존하다 위기가 찾아왔다”고 설명했다.
계획조선은 한진해운 현대상선 등 국적선사에 부담이 되고 있는 용선료 절감과 조선소의 수주절벽 해소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는 매력적인 카드로 꼽힌다. 파나마 운하 확장 개통과 국제 환경규제 강화 등으로 대형·친환경선박(에코십) 확충이 필요해졌다는 점도 고려 요인이다.
부산시 등 동남권 4개 지방자치단체는 지난달 정부에 제출한 건의문에서 1만TEU급 컨테이너선 100척과 관공선, 함정 등 21조원 규모의 계획조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정부는 계획조선이 인위적인 시장개입으로 비쳐질 수 있다는 부담이 있는 만큼 일단 부인하고 있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정부가 지난해 발표한 12억달러 규모 선박펀드 조성방안이 계획조선과 다르지 않다고 본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
조선해양플랜트협회 조사 결과 2014년 국내 조선업계 수주량 중 국내선 비중은 4.1%에 불과했다. 주요 조선사 가운데 대우 삼성 STX는 아예 국내선 수주가 없었고, 현대중공업만 단 한 척을 수주하는 데 그쳤다. 국가별 조선소 수주잔량 비교에서도 작년 말 기준 한국은 자국선 비중이 10.3%인 반면 중국은 27%, 일본은 37%에 달했다.
김영무 한국선주협회 상근부회장은 “머스크 등 해외선사는 한국 금융사가 제공하는 수출금융 지원을 받아 국내 조선소에서 건조한 1만8000TEU급 초대형 컨테이너선 등으로 경쟁력을 키웠다”며 “반면 국적선사는 그만 한 배를 짓는 것은 엄두도 못 내고 용선에 의존하다 위기가 찾아왔다”고 설명했다.
계획조선은 한진해운 현대상선 등 국적선사에 부담이 되고 있는 용선료 절감과 조선소의 수주절벽 해소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는 매력적인 카드로 꼽힌다. 파나마 운하 확장 개통과 국제 환경규제 강화 등으로 대형·친환경선박(에코십) 확충이 필요해졌다는 점도 고려 요인이다.
부산시 등 동남권 4개 지방자치단체는 지난달 정부에 제출한 건의문에서 1만TEU급 컨테이너선 100척과 관공선, 함정 등 21조원 규모의 계획조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정부는 계획조선이 인위적인 시장개입으로 비쳐질 수 있다는 부담이 있는 만큼 일단 부인하고 있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정부가 지난해 발표한 12억달러 규모 선박펀드 조성방안이 계획조선과 다르지 않다고 본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