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위 ‘잘나가는’ 전문투자자라도 주가를 예측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분석해야 하는 지표도 엄청나게 많고 이들 간에 신호가 서로 엇갈려 의사 결정에 혼란을 일으킬 때도 많기 때문이다. 미국의 한 연구소에서 과거 10년간 유명 투자분석가 100인의 주가방향 예측률을 조사한 결과 평균 49%에 그쳤다고 한다. 시장 등락을 예측하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해도 본인의 시장예측을 과신해 이를 좇아 투자하는 것은 자산관리를 망치는 독이 된다.
그렇다면 자기과신의 함정에 빠지지 않고 위험을 가장 확실하게 관리할 수단은 무엇일까. 분산 투자다.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는 격언처럼 분산 투자를 통해 투자 위험을 줄여야 한다. 분산 투자라고 무조건 나눠 담기만 하면 되는 것이 아니다. 바구니들의 성격이 달라야 효과가 제대로 나타난다.
곽재혁 한경 생애설계센터 객원연구원(국민은행 WM컨설팅부 전문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