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자동차 결산(하)] 수입차 디젤 게이트에 성장세 '제동'…소비자 신뢰 '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폭스바겐 리콜 여전히 오리무중…환경부 리콜계획서 3번이나 퇴짜
업계 "디젤 불신이 수입차 전반으로 번질까 불안"
업계 "디젤 불신이 수입차 전반으로 번질까 불안"
[ 안혜원 기자 ] 올 상반기 수입차 업계는 폭스바겐 디젤 게이트의 늪에서 성장세가 주춤했다. 6월 초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가 발표한 판매 통계에 따르면 지난 1~5월 수입차 판매 대수는 9만3314대였다. 전년 같은 기간보다 2.3% 감소한 수치다.
수입차의 성장을 견인하던 경유차의 위상이 '클린 디젤'에서 '더티 디젤'로 한순간에 추락한 탓이다. 오명을 뒤집어쓴 경유차는 미세 먼지를 유발하는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몰리며 인기가 다소 하락했다. ◆ 폭스바겐부터 닛산 캐시카이까지…배출가스 논란은 현재 진행 중
최근 환경부는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의 리콜서류를 세 번째 반려했다. 폭스바겐 측은 배기가스 저감장치를 조작한 사실을 시인하지 않는 등 불성실한 리콜계획서를 제출한 끝에 3차례나 퇴짜를 맞았다.
폭스바겐은 경유차 배출가스 조작이 밝혀진 후 7개월째 환경부의 리콜 요구를 묵살하고 있다. 그 사이 배출가스 조작이 이뤄진 아우디 폭스바겐 디젤 차량 12만5000대는 여전히 국내 도로를 달리고 있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마티아스 뮐러 폭스바겐그룹 회장이 직접 나서 조작 사실을 시인하고 배상금이나 세금을 부담하기로 한 것과는 사뭇 다른 대응이다.
디젤 게이트의 추문은 닛산으로 옮겨붙었다. 닛산 캐시카이는 이미 판매된 차량 824대 인증취소, 리콜명령, 신차 판매정지, 과징금 3억4000만원 부과 등 행정처분을 받았다. 실제 도로주행때 배기가스 재순환장치 작동을 멈추도록 불법 설계했다는 것이 이유.
작년부터 시작된 디젤 논란이 해결 기미없이 오히려 확대되면서 수입차 성장을 견인하던 경유 차량 점유율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달 수입차 등록 통계에 따르면 전체 수입차 1만9470대 중 경유차는 1만2238대로 62.9%를 차지했다. 지난해 5월(65.1%)이나 올해 4월(64.3%)보다 감소했다.
경유 차량의 인기가 시들해지면서 디젤 모델의 비중이 높던 아우디와 폭스바겐의 판매량도 떨어졌다. 올 1~5월 아우디는 17.4%, 폭스바겐의 25.7% 감소했다. 수입차 판매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던 3, 4위 업체가 어려움을 겪으면서 수입차 시장 전반의 판매세도 둔화됐다.
이에 더해 BMW의 화재 사건은 수입차 시장 전반을 침체에 빠져들게 했다. BMW의 화재는 지난해 11월 자유로에서 달리던 차량에서 불이 난 이후 올 4월까지 총 9건 발생했다. ◆ 뿔난 소비자들 집단 소송전 나서
폭스바겐의 불성실한 태도에 소비자들은 실망감을 감추지 못했다. 닛산의 추가 적발이 이어지는 등 디젤 이슈가 지속되자 이들은 집단 소송으로 대응중이다.
법무법인 바른은 폭스바겐와 아우디 국내 소비자 500명을 대신해 마틴 빈터콘 전 폭스바겐그룹 회장, 볼프강 하츠 엔진개발총책임자 등 12명에 대한 고소장을 서울중앙지검에 접수했다. 이에 검찰은 아우디·폭스바겐 소비자 500여 명의 형사고소 건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
폭스바겐 게이트는 하반기까지 계속될 전망이다. 사건이 디젤 차량에서 가솔린 차량에까지 확대되고 있기 때문. 폭스바겐코리아는 가솔린 차량인 7세대 골프의 배출가스 인증 시험을 통과하기 위해 관련 소프트웨어를 두차례나 몰래 바꿔 판매했다.
이에 해당 차량을 보유한 소비자들은 아우디폭스바겐을 상대로 부당이득 반환 청구 소송을 내기로 했다. 이 차량은 지난해 3월부터 국내 시장에 1567대가 판매됐다.
업계에서는 폭스바겐 게이트가 장기화될 조짐이 보이면서 하반기 수입차 시장의 전망을 어둡게 보고 있다.
한 수입차 업체 관계자는 "폭스바겐 가솔린 차량까지 문제가 제기되면서 디젤 차량에 대한 불신이 차종을 가릴 것 없이 수입차 전반으로 번질 기미가 보이고 있다"며 "개별소비세 인하 종료에 내수 침체, 디젤게이트까지 각종 악재가 겹치면서 하반기 수입차 시장의 전망이 캄캄하다"고 내다봤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
수입차의 성장을 견인하던 경유차의 위상이 '클린 디젤'에서 '더티 디젤'로 한순간에 추락한 탓이다. 오명을 뒤집어쓴 경유차는 미세 먼지를 유발하는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몰리며 인기가 다소 하락했다. ◆ 폭스바겐부터 닛산 캐시카이까지…배출가스 논란은 현재 진행 중
최근 환경부는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의 리콜서류를 세 번째 반려했다. 폭스바겐 측은 배기가스 저감장치를 조작한 사실을 시인하지 않는 등 불성실한 리콜계획서를 제출한 끝에 3차례나 퇴짜를 맞았다.
폭스바겐은 경유차 배출가스 조작이 밝혀진 후 7개월째 환경부의 리콜 요구를 묵살하고 있다. 그 사이 배출가스 조작이 이뤄진 아우디 폭스바겐 디젤 차량 12만5000대는 여전히 국내 도로를 달리고 있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마티아스 뮐러 폭스바겐그룹 회장이 직접 나서 조작 사실을 시인하고 배상금이나 세금을 부담하기로 한 것과는 사뭇 다른 대응이다.
디젤 게이트의 추문은 닛산으로 옮겨붙었다. 닛산 캐시카이는 이미 판매된 차량 824대 인증취소, 리콜명령, 신차 판매정지, 과징금 3억4000만원 부과 등 행정처분을 받았다. 실제 도로주행때 배기가스 재순환장치 작동을 멈추도록 불법 설계했다는 것이 이유.
작년부터 시작된 디젤 논란이 해결 기미없이 오히려 확대되면서 수입차 성장을 견인하던 경유 차량 점유율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달 수입차 등록 통계에 따르면 전체 수입차 1만9470대 중 경유차는 1만2238대로 62.9%를 차지했다. 지난해 5월(65.1%)이나 올해 4월(64.3%)보다 감소했다.
경유 차량의 인기가 시들해지면서 디젤 모델의 비중이 높던 아우디와 폭스바겐의 판매량도 떨어졌다. 올 1~5월 아우디는 17.4%, 폭스바겐의 25.7% 감소했다. 수입차 판매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던 3, 4위 업체가 어려움을 겪으면서 수입차 시장 전반의 판매세도 둔화됐다.
이에 더해 BMW의 화재 사건은 수입차 시장 전반을 침체에 빠져들게 했다. BMW의 화재는 지난해 11월 자유로에서 달리던 차량에서 불이 난 이후 올 4월까지 총 9건 발생했다. ◆ 뿔난 소비자들 집단 소송전 나서
폭스바겐의 불성실한 태도에 소비자들은 실망감을 감추지 못했다. 닛산의 추가 적발이 이어지는 등 디젤 이슈가 지속되자 이들은 집단 소송으로 대응중이다.
법무법인 바른은 폭스바겐와 아우디 국내 소비자 500명을 대신해 마틴 빈터콘 전 폭스바겐그룹 회장, 볼프강 하츠 엔진개발총책임자 등 12명에 대한 고소장을 서울중앙지검에 접수했다. 이에 검찰은 아우디·폭스바겐 소비자 500여 명의 형사고소 건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
폭스바겐 게이트는 하반기까지 계속될 전망이다. 사건이 디젤 차량에서 가솔린 차량에까지 확대되고 있기 때문. 폭스바겐코리아는 가솔린 차량인 7세대 골프의 배출가스 인증 시험을 통과하기 위해 관련 소프트웨어를 두차례나 몰래 바꿔 판매했다.
이에 해당 차량을 보유한 소비자들은 아우디폭스바겐을 상대로 부당이득 반환 청구 소송을 내기로 했다. 이 차량은 지난해 3월부터 국내 시장에 1567대가 판매됐다.
업계에서는 폭스바겐 게이트가 장기화될 조짐이 보이면서 하반기 수입차 시장의 전망을 어둡게 보고 있다.
한 수입차 업체 관계자는 "폭스바겐 가솔린 차량까지 문제가 제기되면서 디젤 차량에 대한 불신이 차종을 가릴 것 없이 수입차 전반으로 번질 기미가 보이고 있다"며 "개별소비세 인하 종료에 내수 침체, 디젤게이트까지 각종 악재가 겹치면서 하반기 수입차 시장의 전망이 캄캄하다"고 내다봤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