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EU 탈퇴 현실화하면 단기적 무역손실 발생 우려"

삼성, 현대차, SK, LG 등 4대 그룹이 해외법인 4곳 중 한 곳을 중국에 전진 배치한 것으로 파악됐다.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 투표로 세계적 이슈를 모은 영국에는 29곳의 해외법인을 뒀다.

22일 한국2만기업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4대 그룹 해외법인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들 그룹 계열사에서 단 한 곳이라도 해외법인을 둔 나라는 모두 85개국으로 집계됐다.

해외법인 수는 총 1천402곳으로 작년(1천332곳)보다 70곳 늘었다.

가장 많은 법인이 있는 나라는 중국(홍콩 포함)으로 353곳(25.2%)이나 됐다.

아시아 권역이 682곳(48.6%)으로 절반 가까이 차지했고 미주 지역이 370곳(24.6%), 유럽 279곳(26.4%), 아프리카 29곳(2.1%), 대양주 24곳(1.7%) 순이었다.

해외법인 수가 많은 '빅 5' 국가는 중국, 미국, 캐나다, 멕시코, 독일이다.

브렉시트 투표를 앞둔 영국에는 4대 그룹 해외법인 29곳(2.1%)이 진출했으며 삼성이 18곳, 현대차·LG 각 4곳, SK 3곳이었다.

삼성물산이 영국에 3개 회사를 운영 중이며 삼성전자와 제일기획이 각 2곳, 삼성SDS·호텔신라·삼성증권·삼성자산운용·삼성화재도 영국에 법인을 뒀다.

현대차는 현대차와 이노션, LG는 LG전자·범한판토스, SK는 SK하이닉스·SK해운 등이 영국에 법인을 진출시켰다.

2만기업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영국이 EU를 탈퇴하게 되면 세금 인상이 일어날 수 있는데다 우리나라와 새로운 무역협정을 체결해야 하는 등 복잡한 상황이 전개되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무역 손실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경고했다.

4대 그룹 중 해외법인을 가장 많이 둔 기업은 삼성으로 71개국에 489곳을 운영 중이다.

삼성은 법인 수를 작년보다 딱 한 곳만 늘렸다.

중국에 세운 법인이 87곳(17.8%)으로 가장 많다.

현대차는 작년 268곳에서 올해 293곳으로 해외법인을 25곳 늘렸다.

중국(61곳)과 미국(55곳)에 많은 법인을 뒀다.

SK는 작년 284곳에서 올해 289곳으로 해외법인 수를 5개 늘렸다.

중국 법인이 121곳(41.9%)으로 중국시장에 유난히 공을 들이는 편이다.

LG는 해외법인 수를 작년보다 39곳이나 늘려 331곳을 운영 중이다.

중국에 85곳(25.1%)을 운영하고 있다.

한편, 4대 그룹 해외법인 중 120곳(8.6%)이 케이만군도, 버진아일랜드, 버뮤다, 파나마, 마카오, 네덜란드, 모로코, 홍콩, 싱가포르 등 10개국에 소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국가는 흔히 조세피난처로 인식되는 곳이다.

케이만군도, 버진아일랜드 등이 대표적인 곳으로 알려져 있다.

(서울연합뉴스) 옥철 기자 oakchul@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