궈타이밍 훙하이그룹 회장(사진)은 지난 22일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훙하이정밀 주주총회에서 “샤프가 2018년 이전에 OLED 패널을 고객사에 공급할 준비를 마칠 것”이라고 밝혔다. 궈 회장은 OLED 패널이 스마트폰용인지, 애플이 그 패널을 쓸 것인지는 언급하지 않았다.
훙하이는 지난 4월 35억달러를 투자해 샤프 지분 66%를 인수했다. 샤프는 그동안 LCD 패널만을 생산해왔으나 3월 중소형 OLED 연구·생산에 2019년까지 2000억엔(약 2조100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가장 큰 고객인 애플이 OLED 패널을 채택할 움직임을 보여서다.
궈 회장이 2017년 OLED 출하를 기정사실화하면서 23일 도쿄증권시장에서 샤프 주가는 6.4% 상승한 133엔을 기록했다. 장중 한때 9%까지 오르기도 했다. 이는 아이폰을 조립해온 훙하이와 애플의 특수 관계를 고려할 때 샤프가 OLED 패널을 애플에 납품할 가능성이 높다고 관측돼서다. 궈 회장은 “샤프는 많은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만 제대로 된 마케팅을 못 하고 있다”며 “특허를 기술로 바꾸고, 그 기술을 상품으로 바꾸는 것이 훙하이가 잘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애플은 내년에 나올 아이폰부터 OLED 패널을 쓰기 위해 올초 삼성디스플레이와 계약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기존에 애플에 LCD 패널을 납품해온 LG디스플레이와 대만 AUO 등은 OLED 투자를 서두르고 있다. LG디스플레이는 경북 구미에 1조3600억원을 투자해 중소형 OLED 라인을 짓고 있다. 내년 상반기 가동이 목표다. 또 10조원 이상을 투자해 건설 중인 경기 파주 10라인에도 중소형 OLED 라인을 넣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