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비오는 대관령 목장도 터졌다…LG유플 태양광 LTE 기지국 가보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LG유플 태양광 LTE 기지국 서비스 시작
연내 국내 산간·도서지역 20여곳 설치
비오는 산 속에서도 잘 터지는 LTE
연내 국내 산간·도서지역 20여곳 설치
비오는 산 속에서도 잘 터지는 LTE
[ 박희진 기자 ] 장마가 시작된 지난 24일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은 한 치 앞을 내다보기 힘들었다. 트랙터 마차를 타고 15분을 올라 도착한 곳은 해발 1057m에 위치한 하늘목장. 굵은 빗줄기와 자욱한 안개로 숲과 길을 구분하기 어려웠다.
앞 사람의 발을 좇아 울퉁불퉁한 길을 조심스럽게 걸어가자 커다란 철제탑과 태양광 패널 일부가 보였다. 대관령 깊은 산 속에서 태양광 롱텀에볼루션(LTE) 기지국이 서서히 모습을 드러냈다.
LG유플러스는 최근 전기와 광케이블이 없는 오지에서 무선으로 운영되는 태양광 LTE 기지국을 독자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대관령을 포함해 충남 오서산과 계룡산 등 4개 기지국을 설치하고 서비스를 시작했다. 올해 안에 전국 산간·도서 지역 20여곳에 기지국을 추가로 개통한다는 계획이다.
산과 섬이 많은 우리나라는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이동통신 서비스의 커버리지 지역이 전체 국토 면적의 80%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인구 기준 커버리지는 99.9%로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산간·도서 지역은 아직도 이동통신 서비스 환경이 열악한 셈이다. 최근엔 취미활동으로 등산이나 트래킹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오지에서의 안정적인 통신망 연결이 더 중요해졌다.
LG유플러스는 이 같은 수요를 반영해 태양광 LTE 기지국을 개발하고 설치하는 데 팔을 걷어 붙였다. 구축·운영 비용을 반으로 줄이고 환경 피해를 최소화한 게 특징이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전기 선로나 전신주 등을 설치하지 않아도 돼 구축 비용과 기간이 크게 줄었다"며 "약 2주면 기존 기지국 대비 절반의 비용으로 기지국 하나를 세울 수 있다"고 말했다.
주변 환경과 자연경관 훼손이 적은 데다 이산화탄소도 발생하지 않는다. 태양광 발전이 어려운 지역엔 풍력 발전과 연계도 가능한 친환경 기지국이다. 원격으로 관제와 조정을 할 수 있어 오지까지 사람이 직접 오지 않아도 된다.
기지국엔 국내외 최고 수준인 LG전자의 태양광 패널 기술과 LG화학의 배터리 기술이 적용됐다. 이를 통해 과거 태양광 기지국의 한계로 지적됐던 태양광 패널의 효율과 배터리 수명 문제를 해결했다.
태양광 패널에서 생산된 전력은 에너지저장장치(ESS)를 통해 일부는 기지국 작동에 사용되고 남은 양은 배터리로 충전된다. 기상 악화로 태양광 발전이 어려운 날엔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기지국에 공급하는 방식이다.
완전히 충전된 ESS는 전력 공급이 차단된 기지국을 최대 48시간 돌릴 수 있다. 기상 상황이 오래 좋지 않을 때는 시간대별로 전력 공급량과 배터리량을 원격 조정하면서 365일 차질 없이 기지국을 운영한다.
기지국을 찾은 당시에도 하늘엔 비구름이 가득했지만 현장에서 LG유플러스의 LTE는 안정적으로 빠른 속도를 보였다. 스마트폰 무선인터넷 속도 측정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해보니 초당 68메가비트(Mbps) 수준의 속도가 측정됐다.
하늘목장 관계자는 "예전엔 휴대폰 통화나 인터넷이 잘 터지지 않아서 불편한 점이 많았다"며 "기지국이 설치된 이후엔 빠른 LTE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늦은 밤 퇴근할 때도 안심이 된다"고 말했다.
평창=박희진 한경닷컴 기자 hotimpact@hankyung.com
앞 사람의 발을 좇아 울퉁불퉁한 길을 조심스럽게 걸어가자 커다란 철제탑과 태양광 패널 일부가 보였다. 대관령 깊은 산 속에서 태양광 롱텀에볼루션(LTE) 기지국이 서서히 모습을 드러냈다.
LG유플러스는 최근 전기와 광케이블이 없는 오지에서 무선으로 운영되는 태양광 LTE 기지국을 독자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대관령을 포함해 충남 오서산과 계룡산 등 4개 기지국을 설치하고 서비스를 시작했다. 올해 안에 전국 산간·도서 지역 20여곳에 기지국을 추가로 개통한다는 계획이다.
산과 섬이 많은 우리나라는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이동통신 서비스의 커버리지 지역이 전체 국토 면적의 80%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인구 기준 커버리지는 99.9%로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산간·도서 지역은 아직도 이동통신 서비스 환경이 열악한 셈이다. 최근엔 취미활동으로 등산이나 트래킹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오지에서의 안정적인 통신망 연결이 더 중요해졌다.
LG유플러스는 이 같은 수요를 반영해 태양광 LTE 기지국을 개발하고 설치하는 데 팔을 걷어 붙였다. 구축·운영 비용을 반으로 줄이고 환경 피해를 최소화한 게 특징이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전기 선로나 전신주 등을 설치하지 않아도 돼 구축 비용과 기간이 크게 줄었다"며 "약 2주면 기존 기지국 대비 절반의 비용으로 기지국 하나를 세울 수 있다"고 말했다.
주변 환경과 자연경관 훼손이 적은 데다 이산화탄소도 발생하지 않는다. 태양광 발전이 어려운 지역엔 풍력 발전과 연계도 가능한 친환경 기지국이다. 원격으로 관제와 조정을 할 수 있어 오지까지 사람이 직접 오지 않아도 된다.
기지국엔 국내외 최고 수준인 LG전자의 태양광 패널 기술과 LG화학의 배터리 기술이 적용됐다. 이를 통해 과거 태양광 기지국의 한계로 지적됐던 태양광 패널의 효율과 배터리 수명 문제를 해결했다.
태양광 패널에서 생산된 전력은 에너지저장장치(ESS)를 통해 일부는 기지국 작동에 사용되고 남은 양은 배터리로 충전된다. 기상 악화로 태양광 발전이 어려운 날엔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기지국에 공급하는 방식이다.
완전히 충전된 ESS는 전력 공급이 차단된 기지국을 최대 48시간 돌릴 수 있다. 기상 상황이 오래 좋지 않을 때는 시간대별로 전력 공급량과 배터리량을 원격 조정하면서 365일 차질 없이 기지국을 운영한다.
기지국을 찾은 당시에도 하늘엔 비구름이 가득했지만 현장에서 LG유플러스의 LTE는 안정적으로 빠른 속도를 보였다. 스마트폰 무선인터넷 속도 측정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해보니 초당 68메가비트(Mbps) 수준의 속도가 측정됐다.
하늘목장 관계자는 "예전엔 휴대폰 통화나 인터넷이 잘 터지지 않아서 불편한 점이 많았다"며 "기지국이 설치된 이후엔 빠른 LTE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늦은 밤 퇴근할 때도 안심이 된다"고 말했다.
평창=박희진 한경닷컴 기자 hotimpac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