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우환 "경찰이 13점 중 4점만 위작으로 하자고 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 화백, 경찰과 진실 공방…누가 이길까
그림의 호흡·리듬은 지문과 같아…13점은 모두 내가 그린 작품
경찰 "회유 사실 없었다" 반박
그림의 호흡·리듬은 지문과 같아…13점은 모두 내가 그린 작품
경찰 "회유 사실 없었다" 반박
세계적인 현대미술가 이우환 화백(80)이 경찰과 ‘진실 공방’을 벌이게 됐다. 이 화백은 ‘점으로부터 No.780217’ 등 작품 13점을 둘러싼 위작(僞作) 논란에 대해 경찰이 수사 과정에서 “4점은 ‘위작’이라고 인정하고, 다른 작품은 진품인 걸로 하자”고 자신을 회유했다고 주장했다.
이 화백은 30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내 작품을 내 것이 아니라고 하는 건 자기 자식을 죽이라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논란이 된 13점 모두 자신의 작품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호흡과 리듬, 붓을 쓰는 방법 등은 그림의 ‘지문’과 같은 것”이라며 “제3자가 아무리 잘 그려도 베낄 수 없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생존 작가의 의견이 우선돼야 하는 것은 전 세계적으로 일반적인 상식”이라며 “작가인 나 이우환의 말을 믿어달라”는 말을 여러 차례 반복했다.
경찰의 위작 인정 제의에 대해서는 “13점이 모두 내 호흡으로 그린 작품인데 어떻게 몇 점은 위작이고, 몇 점은 진품일 수 있느냐”고 반문했다. 진작과 위작을 구분하는 방법과 관련해 이 화백은 “나는 여러 색을 섞은 군청색을 주로 사용한다”며 “경찰이 작품을 위조했다는 사람이 그림을 그리는 동영상과 완성품을 보여줬는데, 그 사람은 하나의 색만을 썼다”고 설명했다. 위조화가와 대질 심문도 불사하겠다는 입장도 내놨다.
서명이 위조된 작품이 여러 점 발견되고, 일련번호가 같은 작품이 3점이나 발견되는 등 작품 유통 구조가 투명하지 못한 데 대해서도 의견을 밝혔다. 그는 “1970년대 후반에는 작품을 1년에 300~400점씩 그렸다”며 “먹고살기도 힘들었을 때였고, 작품이 잘 팔릴 때도 아니어서 화랑에 작품을 주면 작품이 팔려도 돈을 받지 못할 만큼 관리가 잘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시중에 유통되는 작품 중 위작이 한 점도 없다는 것이냐는 물음에는 “내가 확인한 범위 내에서는 없다는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작품 거래가 끊길까 봐 진품이라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냐고 묻자 “나는 유럽, 미국에서 판매되는 그림 덕분에 먹고사는 만큼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일축했다. 이 화백의 작품은 위작이 유통된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지난해 초부터 경매에서 자취를 감췄다.
그는 “렘브란트든 다빈치든 작품을 만드는 비밀을 공개하는 일은 세계 어디에서도 있을 수 없다”며 “국가 권력이 합심해서 한 작가를 떡으로 만드는 일은 없어야 한다”며 경찰 수사에 불편한 기색을 드러냈다.
경찰은 즉각 반발했다. 이 화백 위작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 김성운 지능2계장은 “경찰이 이 화백에게 ‘4점은 위작인 것으로 하고 나머지는 진품인 것으로 하자’고 회유했다는 말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김 계장은 “경찰은 위작 의혹을 받은 13점 모두를 위작으로 판단하고 수사하고 있다”며 “논란이 되니 일부만 인정하고 끊고 가자는 식의 생각을 하는 수사관은 아무도 없다”고 강조했다.
이 화백의 주장과 별개로 경찰은 위작 수사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다. 경찰은 이날 이 화백의 위작이라고 판명한 그림을 유통한 총책 이모씨(68)에 대해 사서명위조 및 사기 등의 혐의로 사전구속영장을 신청하기로 했다. 그간 불구속 상태에서 수사해온 위조화가 이모씨(39)는 체포했다.
고재연/마지혜 기자 yeon@hankyung.com
이 화백은 30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내 작품을 내 것이 아니라고 하는 건 자기 자식을 죽이라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논란이 된 13점 모두 자신의 작품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호흡과 리듬, 붓을 쓰는 방법 등은 그림의 ‘지문’과 같은 것”이라며 “제3자가 아무리 잘 그려도 베낄 수 없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생존 작가의 의견이 우선돼야 하는 것은 전 세계적으로 일반적인 상식”이라며 “작가인 나 이우환의 말을 믿어달라”는 말을 여러 차례 반복했다.
경찰의 위작 인정 제의에 대해서는 “13점이 모두 내 호흡으로 그린 작품인데 어떻게 몇 점은 위작이고, 몇 점은 진품일 수 있느냐”고 반문했다. 진작과 위작을 구분하는 방법과 관련해 이 화백은 “나는 여러 색을 섞은 군청색을 주로 사용한다”며 “경찰이 작품을 위조했다는 사람이 그림을 그리는 동영상과 완성품을 보여줬는데, 그 사람은 하나의 색만을 썼다”고 설명했다. 위조화가와 대질 심문도 불사하겠다는 입장도 내놨다.
서명이 위조된 작품이 여러 점 발견되고, 일련번호가 같은 작품이 3점이나 발견되는 등 작품 유통 구조가 투명하지 못한 데 대해서도 의견을 밝혔다. 그는 “1970년대 후반에는 작품을 1년에 300~400점씩 그렸다”며 “먹고살기도 힘들었을 때였고, 작품이 잘 팔릴 때도 아니어서 화랑에 작품을 주면 작품이 팔려도 돈을 받지 못할 만큼 관리가 잘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시중에 유통되는 작품 중 위작이 한 점도 없다는 것이냐는 물음에는 “내가 확인한 범위 내에서는 없다는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작품 거래가 끊길까 봐 진품이라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냐고 묻자 “나는 유럽, 미국에서 판매되는 그림 덕분에 먹고사는 만큼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일축했다. 이 화백의 작품은 위작이 유통된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지난해 초부터 경매에서 자취를 감췄다.
그는 “렘브란트든 다빈치든 작품을 만드는 비밀을 공개하는 일은 세계 어디에서도 있을 수 없다”며 “국가 권력이 합심해서 한 작가를 떡으로 만드는 일은 없어야 한다”며 경찰 수사에 불편한 기색을 드러냈다.
경찰은 즉각 반발했다. 이 화백 위작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 김성운 지능2계장은 “경찰이 이 화백에게 ‘4점은 위작인 것으로 하고 나머지는 진품인 것으로 하자’고 회유했다는 말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김 계장은 “경찰은 위작 의혹을 받은 13점 모두를 위작으로 판단하고 수사하고 있다”며 “논란이 되니 일부만 인정하고 끊고 가자는 식의 생각을 하는 수사관은 아무도 없다”고 강조했다.
이 화백의 주장과 별개로 경찰은 위작 수사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다. 경찰은 이날 이 화백의 위작이라고 판명한 그림을 유통한 총책 이모씨(68)에 대해 사서명위조 및 사기 등의 혐의로 사전구속영장을 신청하기로 했다. 그간 불구속 상태에서 수사해온 위조화가 이모씨(39)는 체포했다.
고재연/마지혜 기자 y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