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20년…시총 206조원으로 '몸집' 28배 늘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상장사 331개→1168개
하루 평균 거래대금 3조4000억
"덩치 커진 만큼 내실 갖춰야"
하루 평균 거래대금 3조4000억
"덩치 커진 만큼 내실 갖춰야"
‘한국판 나스닥’을 표방하며 출범한 코스닥시장이 1일 ‘개설 스무돌’을 맞는다. 코스닥은 20년간 시가총액이 약 28배 늘어나는 등 외형적으로 크게 성장했다. 하지만 작은 충격에도 시장 전체가 흔들리는 등 한계가 여전해 체질 개선이 더욱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30일 기준 코스닥 시가총액은 약 206조원이다. 시장이 개설된 1996년 7조6000억원에 비해 28배 가까이 커졌다. 상장사는 331개에서 1168개로 늘었다. 하루 평균 거래대금은 20년 전 23억원에서 3조4000억원까지 불어났다.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코스닥 시총 규모는 세계 주요 신시장 중 미국 나스닥과 중국 차이넥스트에 이은 글로벌 3위”라고 설명했다.
주요 상장사의 면면도 많이 바뀌었다. 1996년 시총 상위 종목은 현대중공업, 기업은행, 평화은행 등이었다. 2006년엔 NHN과 LG텔레콤, 하나로텔레콤 등 정보기술(IT)·통신주가 강세였다. 현재 시총 상위 5개 종목은 셀트리온, 카카오, 동서 CJ E&M, 메디톡스다. 시장 선도 업종이 제조업에서 바이오, 디지털콘텐츠 중심으로 재편됐다.
커진 덩치에 비해 내실은 튼튼하지 못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벤처산업 성장 기대에 자금이 몰렸던 2000년엔 지수가 2925까지 오르기도 했지만 거품이 꺼지며 525까지 폭락한 뒤 한참 동안 지수가 오르지 않았다. 상장기업 경영진의 횡령, 배임, 불공정 행위 등이 잇달아 발생하면서 전체적인 시장의 신뢰도가 크게 개선되지 못했다.
개인투자자 매매비중이 88%(2015년 기준)에 달하는 점이 코스닥시장의 한계로 꼽힌다. 기업가치 대신 테마에 휘둘리는 종목 때문에 투자심리가 급격히 나빠지는 경우도 잦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코스닥은 추세가 있다기보다 테마주 등 몇몇 종목에 과도하게 휘둘리는 종목 장세 중심”이라며 “불안정하고 예측하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거래소는 코스닥시장의 변동성을 줄이고 유망기업 상장 유치에 노력하는 등 체질 개선에 힘쓰고 있다. 거래소 관계자는 “시장 건전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 개선을 꾸준히 해와 코스닥에 대한 신뢰도가 과거 벤처 거품 시대에 비해 크게 상승했다”며 “앞으로는 양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질적인 도약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육성에도 나선다. 지난해 12월 코스닥시장본부 아래 창업지원센터를 세우고 모험자본 생태계 구축에 팔을 걷어붙였다.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
주요 상장사의 면면도 많이 바뀌었다. 1996년 시총 상위 종목은 현대중공업, 기업은행, 평화은행 등이었다. 2006년엔 NHN과 LG텔레콤, 하나로텔레콤 등 정보기술(IT)·통신주가 강세였다. 현재 시총 상위 5개 종목은 셀트리온, 카카오, 동서 CJ E&M, 메디톡스다. 시장 선도 업종이 제조업에서 바이오, 디지털콘텐츠 중심으로 재편됐다.
커진 덩치에 비해 내실은 튼튼하지 못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벤처산업 성장 기대에 자금이 몰렸던 2000년엔 지수가 2925까지 오르기도 했지만 거품이 꺼지며 525까지 폭락한 뒤 한참 동안 지수가 오르지 않았다. 상장기업 경영진의 횡령, 배임, 불공정 행위 등이 잇달아 발생하면서 전체적인 시장의 신뢰도가 크게 개선되지 못했다.
개인투자자 매매비중이 88%(2015년 기준)에 달하는 점이 코스닥시장의 한계로 꼽힌다. 기업가치 대신 테마에 휘둘리는 종목 때문에 투자심리가 급격히 나빠지는 경우도 잦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코스닥은 추세가 있다기보다 테마주 등 몇몇 종목에 과도하게 휘둘리는 종목 장세 중심”이라며 “불안정하고 예측하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거래소는 코스닥시장의 변동성을 줄이고 유망기업 상장 유치에 노력하는 등 체질 개선에 힘쓰고 있다. 거래소 관계자는 “시장 건전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 개선을 꾸준히 해와 코스닥에 대한 신뢰도가 과거 벤처 거품 시대에 비해 크게 상승했다”며 “앞으로는 양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질적인 도약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육성에도 나선다. 지난해 12월 코스닥시장본부 아래 창업지원센터를 세우고 모험자본 생태계 구축에 팔을 걷어붙였다.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