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렉시트, 남아있는 위험은?…"파운드·유로 환율 추가 하락 '관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KTB투자증권은 1일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위험의 확산 경로는 외환 시장이라며 진행 과정에 따라 파운드화와 유로화 가치하락이 신흥국 통화가치 하락으로 번질 위험이 남아있다고 분석했다.
김한진 연구원은 "지난달 29일 기준 미 달러화 대비 파운드화와 유로화의 가치는 각각 8%, 6% 안팎의 추가 절하 위험이 남아있다"며 "이 경우 달러 인덱스와 엔·달러 환율은 모두 3~4% 추가 절상 될 수 있고, 원·달러 환율은 5% 이상 추가 절하(1230원) 압력이 남아있다"고 설명했다.
파운드화 가치 하락으로 시작해 신흥국 통화 약세로 번질 경우 국내 증시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김 연구원은 "위안화 약세 등 신흥국 통화 약세는 증시에 부정적이겠지만, 재정환율인 원·엔 환율 약세도 같이 진행될 경우 증시 지지력을 주는 '양면성'이 있는 변수"라고 말했다.
이민하 한경닷컴 기자 minari@hankyung.com
김한진 연구원은 "지난달 29일 기준 미 달러화 대비 파운드화와 유로화의 가치는 각각 8%, 6% 안팎의 추가 절하 위험이 남아있다"며 "이 경우 달러 인덱스와 엔·달러 환율은 모두 3~4% 추가 절상 될 수 있고, 원·달러 환율은 5% 이상 추가 절하(1230원) 압력이 남아있다"고 설명했다.
파운드화 가치 하락으로 시작해 신흥국 통화 약세로 번질 경우 국내 증시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김 연구원은 "위안화 약세 등 신흥국 통화 약세는 증시에 부정적이겠지만, 재정환율인 원·엔 환율 약세도 같이 진행될 경우 증시 지지력을 주는 '양면성'이 있는 변수"라고 말했다.
이민하 한경닷컴 기자 mina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