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권과 한강변에 인접한 동작구가 ‘강남 4구’로 떠오르고 있다. 개발이 본격적으로 이뤄지고 교통 호재가 이어지고 있어서다.

대림산업이 서울 동작구 흑석뉴타운 7구역에서 분양 중인 ‘아크로 리버하임’ 부지 전경.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대림산업이 서울 동작구 흑석뉴타운 7구역에서 분양 중인 ‘아크로 리버하임’ 부지 전경.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동작구에서는 최근 지지부진하던 재개발 뉴타운 등의 도심재정비 사업이 본격화하고 있다. 흑석동에서 2025년까지 1만1032가구를 수용하는 흑석재정비촉진지구 개발이 진행 중이다. 노량진재정비촉진지구에선 2구역과 6구역 등이 사업시행인가 절차를 밟고 있다. 착공에 들어가면 도심 속 미니신도시로 떠오를 전망이다. 교통 호재도 있다. 서울 금천구 독산동에서 서초구 우면동을 잇는 강남순환고속도로 1단계 구간(13.8㎞)이 이달 개통될 예정이다. 서초와 강남을 연결하는 장재터널은 2019년 개통될 예정이다. 동작구에서 강남구까지의 이동시간이 20분가량 줄어든다. 경전철 서부선도 추진되고 있다. 서울지하철 7호선 장승배기역을 통과하고 1·9호선이 교차하는 노량진역을 연결할 것으로 보인다.

지리적인 장점과 다양한 호재로 아파트 매매가는 오름세다. 동작구는 준강남권 지역으로 꼽히는 강동구, 광진구 등보다 높은 매매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최근 1년간(2015년 6월~2016년 6월) 동작구 매매가 상승률은 4.05%(3.3㎡당 1529만원→1591만원)를 기록했다. 강동구의 3.72%(3.3㎡당 1667만원→1729만원), 광진구의 2.49%(3.3㎡당 1767만원→1811만원)를 웃도는 수준이다. 동작동 ‘이수 힐스테이트’(2013년 2월 입주) 전용면적 84㎡의 분양가는 6억8000만~7억6000만원이었지만 최근에는 7억6500만~7억7500만원으로 올랐다. 동작구의 투자 가치까지 높아지자 미분양 물량도 없는 상태다. 2014년 6월 이후 미분양이 한 건도 나타나지 않았다. 분양 물량이 2014년 471가구, 2015년 668가구였고 올해 상반기 2020가구 등으로 적지 않았음에도 꾸준히 잘 팔리고 있다는 얘기다.

이런 분위기에 힘입어 신규 분양도 활발하다. 대림산업은 흑석뉴타운 7구역에서 ‘아크로 리버하임’(1073가구)을 분양한다. 일반분양분은 전용면적 59~84㎡ 405가구다. 서울지하철 9호선 흑석역을 도보로 이용할 수 있다. KCC건설은 하반기 동작동 동작1주택재건축을 통해 ‘이수교 2차 KCC스위첸’(가칭)을 선보일 예정이다. 전용면적 59~84㎡ 366가구 규모로 이 중 185가구를 일반에 선보인다.

롯데건설은 오는 9월 사당동 사당2구역 주택재건축사업인 ‘사당2구역 롯데캐슬’(가칭)을 공급할 예정이다. 전용면적 49~108㎡ 964가구 규모다. 이 중 전용면적 49~84㎡ 602가구가 일반분양 대상이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